$\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동영상과 게임 사용이 대학생의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1, 2014년, pp.12 - 23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최미정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마지은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문지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문효정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randomized comparison group pre-post design is used. Sixty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video or a game group. Frequen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과 게임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과 게임에 따른 안구건조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비교군 전후설계(randomized comparison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올바르게 인식시키고, 눈 건강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동영상 시청과 게임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한 무작위 비교군 전후설계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과 게임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신체적 건강문제로 눈의 피로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신체적 문제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으로 보아 복합적인 문제 발생의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개선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사용자들에게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안구건조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시키고, 눈 건 강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과 게임이 눈 깜박임 횟수, 안구건조 자각증상점수 및 눈물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스마트폰과 건강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로는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스마트폰 중독수준[5],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의 관계[6], 스마트폰 사용이 생리, 심리학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7],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과 게임,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눈 건강을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이 기존의 미디어와 비교하여 중독적으로 사용할 우려가 크다고 알려진 이유는 무엇인가? 스마트폰은 쌍방향성, 간편성, 이동성, 즉시성 등의 특징으 로 인해 기존의 미디어와 비교하여 중독적으로 사용할 우려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4]. 청소년은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라고 생각하고 있고, 신규매체를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기존매 체를 대체하는 경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성인에 비해 스마트폰 중독에 더 취약할 수 있다[4].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유발되는 신체적 건강 문제의 분포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스마트 폰 사용의 부작용으로 안구문제, 근골격계 문제 및 두통 등의 신체적 문제와 중독 및 의존과 같은 정신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6].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유발되는 신체적 건강문제 중 눈의 피로가 31%로 가장 많았고, 손목과 손가락의 통증, 목과 어깨 결림이 각각 15%였으며, 두통 5%, 기타 2%로 나타났으며[5], 특히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눈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안구건조증 및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7].
스마트폰 사용 40분이 지나기 전에 휴식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동영상 시청군과 게임군 간에 스마트폰 사용 전-후의 안구건조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두 군 모두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눈 깜박임 횟수가 유의하게 변화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40분경과 후 가장 낮은 눈 깜박 임 횟수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Wire/wireless tele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s statistics [Internet]. Gwacheon: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2013 [cited 2013 July 4]. Available from:http://www.kcc.go.kr/user.do?modeview& pageA02060400&dcK02060400&boardId1030&cp1& boardSeq36008 

  2. Gwon GD, Im TY, Choi US, Park SB, O DH. The future opening by smartphone. CEO Information. 2010;741:1-22. 

  3. Jeong YC. Media utilization behavior of smart generation 20s [Internet]. Gwacheon: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3 [cited 2013 July 4]. Available from http://www.kisdi.re.kr/kisdi/fp/kr/board/sel ectSingleBoard.do?cmdselectSingleBoard&boardIdGPK_ PRESS&curPage5&seq28277&reStep1305799&ctx_ 

  4. Kim DI, Lee YH, Lee JY, Kim MC, Keum CM, Nam JE, et al. New patterns in media addiction: is smartphone a substitute or a complement to the interne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2;20(1):71-88. 

  5. Yun JY, Mun JS, Kim MJ, Kim YJ, Kim HA, Heo BR, et al. Smart 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 in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2011;3(2):94-104. 

  6. Lee BI, Kim SW, Kim YJ, Bae JY, Woo SK, Woo H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3;26(1):45-53. 

  7. Lee SH. Evaluating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th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 [master's thesis]. [Seoul]: Konkuk University; 2011. 41 p. 

  8.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The Ocular Surface. 2007;5(2):75-92. 

  9. Lee BJ, Hong JH, Jung DI, Park MJ. A study on the confidence of dry eye diagnosis methods.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08;13(1):15-20. 

  10. Cho YA, Won JS, An GJ. The effect on the dryness of eye during VDT work.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1996;37(12):13-17. 

  11. Park HJ, Yi K.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using time and dry eye.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2;43(3):449-454. 

  12. Kim JS, Cho KJ, Song JS. Influences of computer works on blink rate and ocular drynes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7;48(11):1466-1472. 

  13. Suh YW, Kim KH, Kang SY, Kim SW, Oh JR, Kim HM, et al. The objective methods to evaluate ocular fatigue associated with computer work.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0;51(10):1327-1332. 

  14. Cho YA, Sin JY. The influence of type of computer and VDT work on the dryness of eye.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2;43(11):2280-2287. 

  1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8. 567 p. 

  16. Woo HK, Moon BY, Cho HG. Ocular symptoms on VDT syndrome and symptoms-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11;16(3):351-356. 

  17. Kim TG. Analysis of the changes of smart-phone game genre preference [master's thesis]. [Seoul]: Hongik University; 2012. 86 p. 

  18. Lee JH, Lee HB, Heo W, Hong YJ. Ophthalmology. 9th ed. Seoul: Iljogak; 2011. 549 p. 

  19. Lee SC, Jin KH. Reviews: Dry eye syndrome. The Journal of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2006;22(2):107-111. 

  20. Kanski J. Clinical ophthalmology. Jin KH, Park IG, Yu SY, Nam UH, Gwak HU, Translator. Seoul: Jeongdam; 2005. p. 56-61. 

  21. Lee JW. The influence of uninterrupted VDT work on visual functions [master's thesis]. [Gumi]: Kyungwoon University; 2012. 47 p. 

  22. Toda I, Yagi Y, Hata S, Itoh S, Tsubota K.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patients with contact lens intolerance caused by dry eye.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1996;80(7):604-609. 

  23. Plugfelder SC, Beuerman RW, Stern ME. editors. Dry eye and ocular surface disorders. New York, Basel: Marcel Dekker, Inc; 2004. 428 p. 

  24. Kim WJ, Kim HS, Kim MS. Current trends in the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dry eye: a survey of ophthalmologist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7;48(12): 1614-1622. 

  25. Chung SH, Na KS, Kwon HG, Lee HS, Kim SY, Kim EC, et al. Levels of severity in dry eye syndrome according to delphi panel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0;51(9):1179-1183. 

  26. Nakamori K, Odawara M, Nakajima T, Mizutani T, Tsubota K. Blinking is controlled primarily by ocular surface conditions.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997;124(1):24-30. 

  27. Tsubota K. Tear dynamics and dry eye.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1998;17(4):565-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