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덜꿩나무(Viburnum erosum) 줄기를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이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 중 EtOAc및 n-BuOH 분획에 대하여 $SiO_2$,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수행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는 NMR, IR, 및 MS data를 해석하여, betulinic aldehyde (1), koaburside (2), (6R,7E,9R)-9-hydroxymegastigma-4,7-dien-3-one-9-O-${\beta}$-D-glucopyranoside (3), 그리고 byzantionoside B (4)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 모두 덜꿩나무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ems of Viburnum erosum were extracted with 80% MeOH.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From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O_2$, octadecyl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덜꿩나무는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서 자생 및 재배하여 원료의 확보가 용이하지만 다른 인동과 식물에 비해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아 성분과 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저자는 덜꿩나무 줄기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을 분리 및 동정하고 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덜꿩나무 줄기로부터 4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과정과,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구조를 결정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 따라서 저자는 덜꿩나무 줄기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을 분리 및 동정하고 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덜꿩나무 줄기로부터 4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과정과,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구조를 결정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 입체구조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하여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덜꿩나무는 무엇인가? 덜꿩나무(Viburnum erosum)는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중부 이남의 해발 100−1,600 m 지역에서 자라며, 원산지는 한국이지만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하고 있다.
덜꿩나무의 뿌리에서 지금까지 분리 보고된 성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덜꿩나무로부터 지금까지 분리 보고된 성분으로는 뿌리로부터 praderin, busaliol 등의 lignan 화합물, luteoforol 등의 flavonoid 화합물, 그리고 arbutin 등의 phenolic 화합물 등이 있다(Wu 등, 2008). 줄기와 잎으로부터는 loganin 등의 iridoid 화합물과 (+)-lyoniresinol-3α-O-β-D-glucoside 등의 lignan 화합물 등이 보고되어 있다(Li 등, 2011).
덜꿩나무의 원산지와 분포지역은 어떠한가? 덜꿩나무(Viburnum erosum)는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중부 이남의 해발 100−1,600 m 지역에서 자라며, 원산지는 한국이지만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하고 있다. 높이는 2m까지 자라며 어린 가지에는 성모가 밀생하며, 잎은 대생하고 장란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심장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hn DK(1998) In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Korea. 

  2. Jung MS, Kang KA, Zhang R, Chae SW, Yoo BS, Yang YT et al. (2005) Protective activity against oxidative stress of plants indigenous to Korea, J Toxicol Pub Health 21, 279-84. 

  3. Kosuge K, Mitsunaga K, Koike K, and Ohmoto T (1994)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ilanthus integrifolia, Chem Pharm Bull 42, 1669-71. 

  4. Lee DY, Jung LH, Ryu HN, Jeong TS, Lee YH, and Baek NI (2009) Triterpenoids from the fruits of Cornuskousa Burg.as human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s, Food Sci Biotechnol 18, 223-7. 

  5. Lee TB (2003) In Coloured flora of Korea, (2nd ed). Hyangmoon, Korea. 

  6. Li WW, Shi HM, Wang MY, Wang XY, and Li XB (2011) Chemical constituents of Viburnum erosum var. erosum and Viburnumodoratissimum var. awabuki, Chin Pharm 46, 1234-7. 

  7. Matsunami K, Otsuka H, and Takeda Y (2010) Structural revisions of blumenol C glucoside and byzantionoside B.,Chem Pharm Bull 58, 438-41. 

  8. Mohamed KM, Mohamed MH, Ohtani K, Kasai R, and Yamasaki K (1999) Megastigmane glycosides from seeds of Trifoliumalexandrium, Phytochemistry 50, 859-62. 

  9. Monaco P and Previtera L (1984) Isoprenoids from the leaves of Quercussuber, J Nat Prod 47, 673-6. 

  10. Pabst A, Barron D, Semon E, and Schreier P (1992) Two diastereomeric 3-oxo- ${\bullet}{\cdot}$ -ionol- ${\bullet}$ ?-D-glucosides from Rasberry fruit, Phytochemistry 31, 1649-52. 

  11. Shin JE, Jin Q, Jin HG, and Woo ER (2011) Phytochemical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stems of Chaenomelessinensis Koehne, Kor J Pharmacogn 42, 223-8. 

  12. Takeda Y, Zhang H, Masuda T, Honda G, Otsuka H, Sezik E et al. (1997) Megastigmaneglucosides from Stachysbyzantine, Phytochemistry 44, 1335-7. 

  13. Wu B, Wu S, Qu H, and Cheng Y (2008) Secondary metabolites from Viburnum erosum, Biochem. Syst Ecol 36, 81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