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피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Dried Tangerine Peel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3, 2014년, pp.284 - 290  

안기정 (경주대학교 외식조리과) ,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moisture content and color values of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4 types of tangerine peel powder; 0% (TP-0 group), 1% (TP-1 group), 2% (TP-2 group), 3% (TP-3 group), and 4% (TP-4 group). As a resul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버려지고 있는 진피를 활용하여 현대인의 입맛에 부합하는 기능성 떡인 진피설기를 개발하고자 진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후 진피 설기떡의 수분함량, 색도, 텍스쳐, 관능검사 등을 측정하여 레시피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품질이 우수한 진피 설기떡 제조와 함께 떡의 소비증진에 기여하고 나아가 귤의 버려지는 부분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경제적 발전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이 뛰어난 진피분말을 이용하여 진피첨가 설기떡을 개발하고자 진피 분말 첨가 수준을 각각 0, 1, 2, 3, 4%로 달리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후 설기떡의 수분 함량, 색도, 텍스쳐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 하여 최적의 배합비를 구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진피 설기떡의 기능성 향상과 폐진피의 소비이용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버려지고 있는 진피를 활용하여 현대인의 입맛에 부합하는 기능성 떡인 진피설기를 개발하고자 진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후 진피 설기떡의 수분함량, 색도, 텍스쳐, 관능검사 등을 측정하여 레시피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품질이 우수한 진피 설기떡 제조와 함께 떡의 소비증진에 기여하고 나아가 귤의 버려지는 부분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경제적 발전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떡이란 무엇인가? 떡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식 중의 하나로 청동기시대부터 이용되어 그 종류나 제조방법 및 모양들이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의례내용 중 각종 행제와 무의, 절식 등에 널리 애용되며 절기와 지방에 따라 이용되는 떡의 종류와 조리법과 그 의미가 다양하다(Yoon SS 1986). 떡은 멥쌀과 찹쌀 및 차조 외에 재료 배합비에 따라 두류, 깨 및 잡곡, 견과류와 한약재, 향신료 등이 첨가되어 제조됨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 함에 따라 여러 종류와 형태의 떡 제조가 가능하다(Lee HG 1998).
최근 과학적으로 규명된 진피의 기능성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진피에는 carotenoid류, bioflavonoid류, pectin 및 terpene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hesperidin이나 naringin과 같은 flavonoid 물질이 암세포 증식 억제 작용을 하며, 모세혈관의 수축과 고혈압 예방, 혈액 내의 LDL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을 가지고 있어 건강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제품으로 보고 되고 있다(Bok SH 등 1999, Kim HJ 등 1999). 최근에는 영양공급, 노화억제, 면역력 증진 등의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Yoon CH와 Jwa SM 2006). 이러한 중요한 생리적 기능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는 진피는 그 일부가 한약재로 쓰이는 것 외에는 대부분 폐기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기능성 떡의 제조는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고 여겨진다.
떡에 첨가되는 부재료는 무엇이 있는가? 떡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식 중의 하나로 청동기시대부터 이용되어 그 종류나 제조방법 및 모양들이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의례내용 중 각종 행제와 무의, 절식 등에 널리 애용되며 절기와 지방에 따라 이용되는 떡의 종류와 조리법과 그 의미가 다양하다(Yoon SS 1986). 떡은 멥쌀과 찹쌀 및 차조 외에 재료 배합비에 따라 두류, 깨 및 잡곡, 견과류와 한약재, 향신료 등이 첨가되어 제조됨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 함에 따라 여러 종류와 형태의 떡 제조가 가능하다(Lee HG 1998). 우리음식은 예로부터 약식동원과 의식동원 사상에 입각한 조리법으로 발달, 떡도 예외는 아니어서 건강유지에 특히 도움을 주는 떡이 개발되어 전해지고 있고 이것을 약떡이라고 불리고 있다(Kang IH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G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by different amount of bamboo leaf flour. Korean J Culinary Res 16(1):104-111 

  2. Bok SH, Lee SH, Park YB, Bae KH, Jeong TS, Choi MS. 1999.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and hepatic activities of 3-hydroyl-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nd acyl CoA : Cholesterol transferase are lower in rat fed Citrus peel extract on a mature of citrus bioflavonoids. J Mutr 129:1182-1185 

  3. Cho JS, Choi MY, Chang YH.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added with Lentinus Edodes sing powder. Korean J East Asian Dietary Life 12(6):55-64 

  4. Cho KO, Kim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Yam (Dioscorea Aponica)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6):801-809 

  5. Choi GY, Kim HD, Bae J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occurred with percentages of persimmon leaves powder added. Korean J Culinary Res 13(4):269-278 

  6. Choi KS, Oh YJ. 2008. Effect of steam-dried Hizikia Fusiformis powder o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file of bread. Korean J Culinary Res 14(1):11-20 

  7. Eun JB, Jung YM, Woo GJ. 1996.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of korean Tangerine (Citrus aurantium var.).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371-377 

  8. Hong HJ, Choi JH, Yang JA, Kim GY, Rhee SJ.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eo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 Sci 15(3):224-230 

  9. Hyon JS, Kang SM, Mahinda S, Koh WJ, Yang TS, Oh MC, Oh CK, Jeon YJ, Kim SH.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ried and fresh citrus peels in Jeju. Korean J Soc Food Cook Sci 26(1):88-94 

  10. Jhee OH, Choi Y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n var. Gom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4(5):601-607 

  11. Joo HK, Jo KS, Jo KH, Chae SK, Park CG, Ma SJ. 1990. Analysis of Food. Yulim Cultural Publisher. Seoul. pp 152-155 

  12. Joung HS. 2004.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Paeksulgis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6):93-98 

  13. Jung JS, Shin SM, Kim A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Korean J Food Nutr 23(2):147-153 

  14. Kang IH. 1997. Korean Rice Cake And Oil-And-Honey Pastry. DaehanKyogoase, Seoul, p 19 

  15. Kim HJ, Lee HJ. 2000.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angjabyung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Soc Food Cook Sci 16(4):342-351 

  16. Kim HJ, Bae KH, Lee HJ, Eun JB, Kim MK. 1999. Effects of hesperidin extracted from Tangerine Peel on Cd and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Nutr Soc 32:137-149 

  17. Kim HK. 2009. The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Zinpi of Korean traditional tea products. MS Degree Kyungwoon University. pp 10-21 

  18. Kim HS, Lyu ES. 2010. Optimization of Sulgidduk with green laver powder using a responce sul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 Sci 26(1):54-61 

  19. Kim JY, Cha GH, Lee HG. 1997.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am-dduk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 of the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 Sci 13(4):427-433 

  20. Kim NY, Yu AR, Min JY, Han MJ. 201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inpi wine with different levels of added Ginpi. Korean J Dietary Culture 26(2):178-183 

  21. Lee HG, Jung RW, Shin SJ. 2004.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ckHapbyung by different rations of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5):480-488 

  22. Lee HG, Lee EM,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Soc Food Cook Sci 21(4):422-432 

  23. Lee HG. 1998. Korean Food Culture. Shinkwang publisher, Seoul, pp 297-301 

  24. Lee HJ, Lee ES,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aneul-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Soc Food Cook Sci 21(2):180-189 

  25. Lee YJ, Kim E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Hizikia fusiformi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6):723-733 

  26. Lee YJ, Kim E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9(2):203-214 

  27. Masaki H, S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 Pharm Bull 18:162-166 

  28. Min SH, Park HO, Oh HS. 2002.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Korean dried tangerine peel and development of beverage by using it. Korean J Soc Food Cook Sci 18(1):371-377 

  29. Park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addition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3):259-267 

  30. Park MK, Lee JM, Park CH, In M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Chlorell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225-229 

  31. Seo BI, Choi HY. 2004. Clinical oriental herbal medicine. YoungLim Co., Seoul, pp 466-469 

  32. Yoo KM, Kim CE, Kim DI, Huh D, Hwang IK. 2005a.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tea prepared with citrus unshiu cultivated in Cheju. Korean J Soc Food Cook Sci 21(3):354-359 

  33. Yoo KM, Kim SH, Chang JH, Hwang IK, Kim KI, Kim SS, Kim YC. 2005b.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ves and roots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 Sci 21(1):110-116 

  34. Yoon CH, Jwa SM. 2006. Isolation of antitumor promoters from citrus pee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0):25-29 

  35. Yoon SS. 1986. Korean Cuisine (History and Cook). Soohaksa, Seoul pp 331-333 

  36. Yun SJ. 1999.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umpkin. Korean J Soc Food Cook Sci 15:586-5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