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 논의 재배양식별 잡초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도 농업기술원, 농업 대학 및 관련 연구소 등 11개 기관에서 전국 8도 155개 시 군의 3,434지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2013년 현재 우리나라 논에는 일년생잡초가 52종, 월년생잡초 3종, 다년생잡초 35종을 포함한 28과 90종의 잡초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잡초의 과별구성을 보면 화본과 18종, 사초과 17종, 현삼과 8종 마디풀과 6종 순으로 상위 4개 과가 포함하는 49종이 전체의 54%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잡초는 피 17.4%, 물달개비 12.4%, 올방개 7.8%, 올챙이고랭이 6.2%, 벗풀 6.1%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전국 논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veys of weed species in paddy fields were conducted in Korea to identify weed occurrence from June to September 2013. Total 3,434 sites of paddy fields in 155 City/Gun, eight Provinc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nation-wide survey, 90 weed species in 28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10년 주기로 진행하는 전국 논잡초 정밀 분포조사로 논잡초의 발생 분포양상을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생력적인 잡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 발생 잡초 종의 변화에 기후변화가 새로운 요인으로 부각되는 이유는? 최근에는 이상기온으로 인해 기후변화가 논 발생 잡초 종의 변화에 새로운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량, 일사량 등의 변화는 식물의 생육 및 분포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맞는 잡초방제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잡초분포조사는 농경지에서의 잡초 발생 현황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인 잡초관리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하며, 잡초군락변화를 통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지표식물 선발로의 활용가능성이 있다.
농경지에서 잡초 발생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농경지에서의 잡초 발생은 작물 수량감소 및 품질저하, 병해충 서식지 제공, 수확 시 농작업 방해 등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초종과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잡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위해 해야 할 것은? 농경지에서의 잡초 발생은 작물 수량감소 및 품질저하, 병해충 서식지 제공, 수확 시 농작업 방해 등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초종과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p. 865. 

  2.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3. Kim, C.S., Lee, J.R., Won, T.J., Seo, Y.H., Kim, E.J., et al. 2012. Fact-finding survey on occurrence of paddy field weed and the use of paddy field herbicide at farmer's level in Korea. Weed Turf Sci. 32(1):6-12. (In Korean) 

  4. Kim, D.S and Shin, D.H. 2007. The principles of weed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Daegu. Korea. pp.80-81. 

  5. KNA(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6. Kim, S.C. 1983. Statu of paddy weed flora and community dynamics in Korea. Korean J. Weed Sci. 3(2):223-245. (In Korean) 

  7. Lee, I.Y., Lee, H.K., Kim, C.S and Lee, J. 2012. Special lecture of weed and herbicide. Korean J. Weed Sci. 32(2):24-25. (In Korean) 

  8. Lee, I.Y., Oh, Y.J., Park, J.S., Choi, J.K., Kim, E.J., et al. 2014. Current status of paddy fiels weeds and changes in weed flora over the last 50 years in Korea. Korean J. Weed Sci. 34(1):23- 26. (In Korean) 

  9. Oh, Y.J., Ku, Y.C., Lee, J.H.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Korean J. Weed Sci. 1(1):21-29. (In Korean) 

  10.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2.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ean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11. Park, J.E., Lee, I.Y., Moon, B.C., Park, T.S., Lim, S.T., et al. 2001.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ean J. Weed Sci. 21(4):327-334. (In Korean) 

  12. Park, K.H., Oh, Y.J., Ku, Y.C., Kim, H.D., Sa, J.K., et al. 1995.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Korean J. Weed Sci. 15(4):254-261. (In Korean) 

  13.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In Korean) 

  14.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15.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000. Weed control skill (Standard agriculture textbook-41). (In korean) 

  16. Song, S.B., Hwang, J.B., Hong, Y.K., Park, S.T. and Kim, H.Y. 2006. Loss of rice growth and yield affected by weed competition in machine transplanted rice cultivation. Korean J. Weed Sci. 26(4): 407-41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