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 창원시를 대상으로 -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3, 2014년, pp.1 - 12  

백수경 (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의 공원녹지는 지역 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다양한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거주하는 541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원녹지의 이용패턴과 주관적인 근린환경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사례지역에 대한 공원녹지의 접근성과 물리적 근린환경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자가인식 건강수준, 그리고 체질량지수(BMI)와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주지로부터 2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출입구와 공원의 개수, 집 주변에서 운동하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거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시설이 많다고 느낄수록 신체활동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 주변 공원녹지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공원녹지의 개수가 많고, 면적이 넓을수록, 보행이 편리할수록, 공동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자가인식 건강수준(perceived health level)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로부터 4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개수, 보행환경의 안전성, 공동주거지역의 비율, 도로비율, 교차로 밀도 등이 BMI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공원녹지의 특성과 종속변수인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및 자가인식 건강수준 사이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수준 10% 이내에서 의미가 있는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공원녹지와 근린환경의 특성이 지역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의 이용을 증진하고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의 조경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Green space takes charge of the important role for the physical activity and promotion of health to the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try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and green space usage for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promotion.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용적 범위는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대상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신체활동, 건강수준 등의 개인적 특성과 신체활동 장소로서의 공원녹지 이용패턴, 집 주변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분석하고, GIS 기법을 이용하여 공원녹지와 집 주변 물리적 환경의 특성의 공간자료를 구축 및 분석한다. 다음으로 통계분석을 통해 설문조사 및 GIS 분석에 의한 공원녹지의 특성이 주민들의 신체활동 패턴과 비만 등의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다.
  • 반면에, 국내적으로는 관련된 연구사례도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공원녹지의 개수 등과 같은 단순한 변수를 적용하거나, 설문조사 자료만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이라는 관점에서의 공원녹지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체계와 공원녹지 계획·설계에 활용가능한 실증적 연구사례의 축적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신체활동 및 건강 증진 장소로서 공원녹지의 이용 패턴과 유형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서 살펴보고, 공원녹지 계획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물리적 환경 특성이 지역 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GIS 기반 공간분석과 통계분석을 통해서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공원녹지는 다양한 신체활동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도시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공원녹지의 환경 특성을 평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신체활동 장소로서 공원녹지의 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공원녹지의 특성들이 거주민들의 신체활동 패턴과 건강수준, 그리고 비만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 인구의 증가 원인은? 현대인들의 자동차 의존적 생활패턴과 불균형적 영양섭취 등으로 인한 비만 인구의 증가는 인류의 건강한 삶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http://www.who.
우리나라의 성인 비만율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int). 우리나라의 경우도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에 의하면, 성인 비만율이 1998년도 대비 4.8% 증가한 반면, 걷기 활동은 2005년도 대비 19.6%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신체활동의 감소와 비만 인구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다양한 접근에는 무엇이 있는가? 신체활동의 감소와 비만 인구의 증가 문제는 주로 공중보건 분야를 중심으로 다루어 왔으나, 최근 들어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의 특성들이 신체활동과 비만 등의 건강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되고 있다. 특히 비만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미국, 영국, 호주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공간을 다루는 도시계획, 조경, 환경, 교통 등의 분야와 신체활동과 비만 또는 건강에 관련된 공중보건, 체육 분야와의 학제 간 융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활동친화적 삶 연구사업(Active Living Research)’을 통해 시민들의 일상생활 중 신체활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건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http://activelivingresearch.org). 또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공간 디자인 차원에서의 가이드라인으로서 영국의 ‘활동친화적 디자인(Active Design)’, 호주의 ‘건강한 디자인(Healthy-by-Design)’, 미국 뉴욕시의 ‘활동친화적 디자인 가이드라인(Active Design Guidelines)' 등이 제시되고 있다(http://www.sportengland.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hoi, G. A., S. M. Jang and H. W. Nam(2008)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32: 280-289. 

  2. Choi, J. A. and Y. H. Kim(2011)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erformance of public health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4(1): 73-92. 

  3. City of New York(2010) Active Design Guidelines: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in Design. NYC. 

  4. Cohen, D. A., T. L. Mckenzie, A. Sehgal, S. Williamson, D. Golinelli and N. Lurie(2007) Contribution of public parks to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3): 509-514. 

  5. Coombes, E., A. P. Jones and M. Hillsdon(2010)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overweight to objectively measured green space accessibility and use. Social Science & Medicine 70: 816-822. 

  6. Ewing, R., T. Schmid, R. Killingsworth, A. Zlot and S. Raudenbush (2003)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rawl and physical activity, obesity, and morbidity.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47-57. 

  7. Exercise Requirements and Guideline Settlement Association(2006) Exercise Standards for Promoting Health. 

  8. Frank, L. D., T. L. Schmid, J. F. Sallis, J. Chapman and B. E. Saelens (2005) Linking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with objectively measured urban form.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S2): 117-125. 

  9. Fuzhong Li, P. A. Harmer, B. J. Cardinal, M. Bosworth, A. Acock, D. Johnson-Shelton and J. M. Moore(2008) A built environment, adiposity, and physical activity in adults aged 50-75.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5(1): 38-46. 

  10. Giles-Corti, B., M. H. Broomhall, M. Knuiman, C. Collins, K. Douglas, K. Ng, A. Lange and R. J. Donovan(2005) Increasing walking: How important is distance to, attractiveness, and size of public open spac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S2): 169-176. 

  11. Heinrich, K. M., R. E. Lee, R. R. Suminski, G. R. Regan, J. Y. Reese-Smith, H. H. Howard, C. K. Haddock, W. S. C. Poston and J. S. Ahluwalia(2007) Associations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in public housing resi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4(1): 56. 

  12. Hillsdon, M., J. Panter, C. Foster and A. Jones(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quality of urban green space with population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The Roy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120: 1127-1132. 

  13. Jeon, E. J.(2009) A Survey of Urban-Based Elementary School's Outdoor Space Green and Walking Environment for Healthy Community Planning. Ph. 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14. Jung, S. G. and W. S. Lee(2008) Establishing a green space management zone for an environmental city: Focusing on Changwon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6): 64-73. 

  15. Kaczynski, A. T., L. R. Potwarka and B. E. Saelens(2008) Association of park size, distance, and features with physical activity in neighborhood park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451-1456. 

  16. Kelly-Schwartz, A. C., J. Stockard, S. Doyle and M. Schlossberg(2004) Is sprawl unhealthy?: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etropolitan sprawl to the health of individuals.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24: 184-196. 

  17. Kim, M. H.(2011) Effect of Public Sports Facilities on Health Related Variables and Perception in Community Resident.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18. Lee, B. S. and E. J. Kim(2009) The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obesit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9. Lee, C. and A. V. Moudon(2006) The 3Ds+R: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11): 204-215. 

  20. Lee, K. H.(2008)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Walking Time and Health: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1. Lee, K. H. and K. H. Ahn(2007)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king of residents: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6): 105-118. 

  22. Lee, K. H. and K. H. Ahn(2008)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3): 249-261. 

  23. Lee, K. I.(1992) A study on the pocket park as the urban open sp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5(1): 7-20. 

  24. Lee, Y. J(1994) Testing main effects in interactive multiple reg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4): 183-210. 

  25. Maller, C., M. Townsend, L. S. Leger, C. Henderson-Wilson, A. Pryor, L. Prosser and M. Moore(2009) Healthy parks, healthy people: The health benefits of contact with nature in a park context. The George Wright Forum 26(2): 51-83. 

  26. McCormack, G. R., B. Giles-Corti and M. Bulsara(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proximity, destination mix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rs. Preventive Medicine 46: 33-40.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2010 National Health Statistic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8.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2004) Healthy by Design: A Planners' Guide to Environments for Active Living.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 

  29. Norman, G. J., S. K. Nutter, S. Ryan, J. F. Sallis, K. J. Calfas and K. Patrick(2006) Community design and access to recreational facilities as correlates of adolescent physical activity and Body-Mass Index.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1): 118-128. 

  30. Paquet, C., T. P. Orschulok, N. T. Coffee, N. J. Howard, G. Hugo, A. W. Taylor, R. J. Adams and M. Daniel(2013) Are acce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spaces associated with a better cardiometabolic healt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8: 70-78. 

  31. Park, K. H., W. S. Lee and J. H. Byeon(2010) An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walking environment using GIS method: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 78-90. 

  32. Park, S. H., Y. M. Choi, H. L. Seo and J. H. Kim(2009)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An impact study based on four residential communities in Seoul,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8): 253-261. 

  33. Park, S. H., H. L. Seo and Y. M. Choi(2007) Measuring walkability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Development of walkability indicators to promote planning for more walkable communities.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34. Rutt, C. D. and K. J. Coleman(2005) The impact of the built environment on walking as a leisure-time activity along the U.S/Mexico border.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 257-271. 

  35. Stahl, T., A. Rutten, D. Nutbeam, A. Bauman, L. Kannas, T. Abel, G. Luschen, D. J. A. Rodriquez, J. Vinck and J. Van Der Zee(2001)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for physically active lifestyle-results from an international study. Social Science & Medicine 52(1): 1-10. 

  36. Talen, E.(2003) Neighborhoods as service providers: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pedestrian acces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0: 181-200. 

  37. Van Dyck, D., B. Deforche, G. Cardon and I. D. Bourdeaudhuij(2009) Neighbourhood walkability and its particular importance for adults with a preference for passive transport. Health & Place 15: 496-504. 

  38. http://map.daum.net 

  39. http://activelivingresearch.org 

  40. http://map.daum.net 

  41. http://www.sportengland.org 

  42. http://www.who.in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