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2, 2014년, pp.89 - 96  

박혜미 (고신대학교복음병원) ,  허명진 (부산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easured speech intelligibility in relation to the vowel space area and the perception of the listener through acoustic analysis of children who had received cochlear implants. It also provided basic data in the evalu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완전한 모음공간은 각 꼭지점에 있는 모음/아, 이, 우, 애/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되어지며, 각 4개의 모음이 유의미한 F1과 F2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이 모음들은 말소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음으로 알려져 본 연구에서는 모음사각도에 기초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연구 결과, 모음/애/가 모음/아/와 모음/이/ 사이에 포함되어 모음사각도가 아닌 모음삼각도의 형태를 띄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각장애아동의 치료의 목표를 말명료도 향상에 두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청각장애인의 말 산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는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를 낮추는 원인이 된다. 심도 이상의 청각장애 아동은 청자가 화자의 의사를 얼마나 명확하게 알아듣는가 하는 말명료도에서 20%정도의 명료도를 보여 건청아동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Osberger, 1992), 이러한 낮은 말명료도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감소시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져온다. 또한 말명료도는 자존감, 위축, 언어발달과 같은 내적인 문제부터 또래와의 상호작용, 교육배정, 취업의 여부 및 승진 등과 같은 인생의 외적인 문제까지 다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청각장애아동의 치료의 목표를 말명료도 향상에 둘 만큼 말명료도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영미 외, 2011).
청각장애인의 말 산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는 어떤 현상의 원인이 되는가? 자음과 모음의 오류를 보이며, 특히 모음의 경우, 청각장애 집단의 모음공간이 더 좁게 나타나 각 모음이 정확한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중앙화 된다고 한다(오영자, 1999). 이러한 청각장애인의 말 산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는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를 낮추는 원인이 된다. 심도 이상의 청각장애 아동은 청자가 화자의 의사를 얼마나 명확하게 알아듣는가 하는 말명료도에서 20%정도의 명료도를 보여 건청아동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Osberger, 1992), 이러한 낮은 말명료도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감소시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져온다.
청력손실로 인하여 생기는 청각장애는 어떤 문제를 동반하는가? 청각장애는 청력손실로 인하여 청각적 신호의 약화 또는 결함이 생겨 언어의 습득뿐만 아니라 조음 및 음성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동반한다. 첫째, 호흡측면에서 발성 시 흡기와 호기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둘째, 음성측면에서 음도(pitch), 강도(intensity), 음질(voice quality)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셋째, 공명측면에서 과대비성(hypernasality), 과소비성(hyponasality), 맹관공명(cul-de-sac)등 공명문제가 나타난다. 넷째, 음운측면에서 다양한 음소에서의 오류를 보인다. 자음과 모음의 오류를 보이며, 특히 모음의 경우, 청각장애 집단의 모음공간이 더 좁게 나타나 각 모음이 정확한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중앙화 된다고 한다(오영자, 1999). 이러한 청각장애인의 말 산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는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를 낮추는 원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rolyn, M., Megan, M. (2002). Vowel area and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ysarthria.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10(4), 271-277. 

  2. Chin, S. B., Bergeson, T. R., & Phan, J. (2012). Speech intelligibility and prosody produc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Journal Communication Disorder, 45(4), 355-66. 

  3. Higgins, C., Hodge, M. (2002). Vowel area and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ysarthria.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10, 4. 

  4. Huh, M. J. (2010). Auditory perception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ed in terms of CI use.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2(1), 67-80. (허명진(2010). 인공와우 착용기간에 따른 청각장애 영유아의 청각적 기능변화. 특수아동교육연구, 12(1), 67-80.) 

  5. Huh, M. J., Choi, S. K., Lee, S. H. (2007). The phonetical change by auditory feedback for congenital profoundly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point of vowel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1(4), 21-35. (허명진, 최성규, 이상흔(2007). 인공와우 착용기간에 따른 청각장애아동의 모음 산출 특성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1(4), 21-35.) 

  6. Huh, M. J., Lee, D. (2009). A review of transitions to cochlear implants in korea.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8(2), 123-144. (허명진, 이드보라(2009). 국내 인공와우 이식 변천에 대한 소고. 언어치료연구, 18(2), 123-144.) 

  7. Kim, G. E., Ko, D. H. (2007).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ome vowels produced by the CI children of various age groups. Speech Science, 14(4), 203-212. (김고은, 고도흥(2007). 인공와우 이식 시기에 따른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음성과학, 14(4), 203-212.) 

  8. Kim, J. S. (2006). Consonant development of young cochlear implant users in post-implant periods. Ewha Womans University. (김정서(2006). 인공와우 이식 영유아의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음소 발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Kim, Y. K., Park, M. H., Seok, D. I. (2005). Development of articulation in pediatric user of cochlear implant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6(2). 67-83.) (김유경, 박미혜, 석동일(2005).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조음 발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6(2), 67-83.) 

  10. Kwon, M. J., Ko, Y. O., Kim, H. K., Lee, E. J., & Jeong, O. R. (2007). A study on the pitch and formants of vowels produced by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Speech Science, 14(3), 47-57. (권미지, 고영옥, 김혜경, 이은정, 정옥란(2007). 이중언어환경아동의 모음 포먼트 특성에 관한 연구. 음성과학, 14(3), 47-57.) 

  11. Ladefoged, P., Maddieson, I. (1996).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Blackwell, Malden, MA). 

  12. Lee, O. B., Han, J. Y., Park, S. H. (2010). Speech intelligibility in syllables and vowel space according to dysarthric sever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2(2), 85-92. (이옥분, 한지연, 박상희(2010). 마비말장애 심각도에 따른 음절단위 말명료도와 모음공간. 말소리와 음성과학, 2(2), 85-92.) 

  13. Lee, O. B. (2010).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Cogito, 69. 7-26. (이옥분(2010). 말소리 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의 상관성. 코기토, 69, 7-26.) 

  14. Lee, Y. M., Sung, J. Y., Park, J. M., Sim, H. S. (2011). Effect of listener's experience, severity of speaker's articulation and linguistic cues on speech intelligibility in congenitally deafened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3(1), 125-134. (이영미, 성지은, 박정미, 심현섭(2011). 청자의 경험, 화자의 중증도, 단서유형이 인공와우이식 선천성 농 성인의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학, 3(1), 125-134.) 

  15. Liu, H. M., Taso, F. M., & Kuhl, P. K. (2005). The effect of reduced vowel working space on speech intelligibility in Mandarin-speaking young adults with cerebral palsy. Journal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17(6), 3879-3889. 

  16. Oh, Y. J. (1999). Acoustic comparisons of vowel and plosive productions between the normal and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오영자(1999).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모음 및 파열음 산출의 음향 음성학적 특성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Osberger, M. (1992). Speech intelligibility in the hearing impaired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R. Kent(Ed.). Intelligibility in speech disorders. Philadeplhia, PA : John Benjamins. 

  18. Park, H. J.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qual-appearing interval scales for speech intelligibility test of dysarthria. Yonsei University. (박혜진(2007). 마비말장애 환자의 말명료도 측정을 위한 등간척도법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Serry, T. A., Blamey, P. (1999). A 4-year investigation into phonetic inventory development in young cochlear implant use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asearch, 42, 141-154 

  20. Shim, H. J., Park, W. K., Ko, D. H. (2012). Characteristics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vowel space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Disorders, 4(3), 161-169. (심희정, 박원경, 고도흥(2012). 파킨슨병 환자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4(3), 161-169.) 

  21. Tobey, E., Greeres, A., & Bremmer, C. (1996). Speech producton results: Speech feature acquisition. The Volta Review, 96(5), 109-129. 

  22. Tova, M., Sara, I., & Einat., H. A. (2012). Social Competence, Sense of Loneliness,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in individual Inclusion and Group Inclusion,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17(2), 259-272. 

  23. Turner, G. S., Tjaden, K., & Weismer, G. (1995). The influence of speaking rate of vowel working space and speech intelligibility for individual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Journal of Speech Hearing. Reserch. 38, 1001-1013. 

  24. Yang, B. G. (1998). A study on vowel formant variation by vocal tract modification. Speech Science, 3, 83-92. (양병곤(1998). 성도 변형에 따른 모음 포먼트의 변화 고찰. 음성과학, 3, 83-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