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지각된 건강상태,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Grandparent Caregiv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3, 2014년, pp.310 - 319  

정우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grandparent caregiv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their life.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The data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스스로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좋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을 보여준다. 또한 사회적 지지도 삶의 질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어서 대상자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반면, 양육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Oh (200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 본 연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손자녀 양육 조부모들의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신체, 심리, 그리고 사회적 차원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지각된 건강상태가 손자녀 양육 조부모들의 삶의 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들의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이에 따른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 조부모들의 삶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손자녀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들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인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부터 생활만족도, 안녕, 복지 등과 같은 개념을 이용하여 국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오고 있는데, 손자녀 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조부모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은 자신뿐만 아니라 이들이 양육하고 있는 손자녀의 인성 발달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Kim, 2004)더 나아가 가족 전체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하지만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거나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맞벌이 가족의 증가는 어떠한 사회적 이슈를 불러왔는가? 이렇듯 고령화의 속도가 어느 선진국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또 하나 두드러진 사회적 변화는 맞벌이 가족의 급격한 증가이다. 부부-자녀 중심의 단순 핵가족 증가와 맞물린 맞벌이 가족의 증가는 가사와 양육의 문제라는 하나의 커다란 사회적 이슈를 낳았다. 그 중에서도 직장 생활과 자녀 양육을 병행해야 하는 맞벌이 여성에게는 어린 자녀를 안전하고 건강 하게 양육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큰 부담일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부담을 반영하듯 기혼여성의 20.
손자녀 양육 조부모들의 삶의 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은 자신뿐만 아니라 이들이 양육하고 있는 손자녀의 인성 발달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Kim, 2004)더 나아가 가족 전체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하지만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거나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손자녀 양육 조모와 비양육 조모를 비교한 Cheo (2011)의 연구에서는 손자녀 양육 조모가 우울 지수가 더 높고 자녀와의 갈등도 많았지만 지각된 건강상태와 삶의 질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고, 국외 연구에서도 양육이 조부모의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낳지 않는다고 보고 하고 있다(Lo & Liu, 2009). 반면에 자녀 양육을 마치고 자유로울 수 있는 시기에 조부모로서 다시 양육자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은 심리적으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신체적 노화가 일어나는 시기와 맞물림으로써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부담을 증가시켜 결국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도 있다(Leder, Grinstead, & Torres, 2007). 이와 같이 상반된 연구결과는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들의 삶의 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rry, J. O., & Jones, W. H. (1995). The Parental Stress Scale: Initial psychometric evidenc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2(3), 463-472. 

  2. Cheo, H. J. (2011). The comparison of grandmothers'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depending on whe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3. Choi, Y. J., Park, Y. S., Kim, C., & Chang, Y. K.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37(3), 223-235. 

  4. Conway, P., Boeckel, J., Shuster, L., & Wages, J. (2010). Grandparent caregivers' use of resources and services, level of burden, and factors that mediate their relationships. Journa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8(2), 128-144. 

  5. Cooney, T. M., & An, J. S. (2006). Women in the middle: Generational position and grandmothers' adjustment to raising grandchildren. Journal of Women & Aging, 18(2), 3-24.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7. Gerard, J. M., Landry-Meyer, L., & Roe, J. G. (2006).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coping with caregiving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62(4), 359-383. 

  8. Kelley, S. J., Whitley, D. M., & Campos, P. E. (2010).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Results of an intervention to improve health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379-386. 

  9. Kim, C. G., & Park, H. J. (2007).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the senior welfare center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4), 535-546. 

  10. Kim, H. S. (2004). A study of the influence of grandparent's attitude to bring up, care stress on grandchildren's adjustment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18, 85-117. 

  11. Kim, M. J. (2007). A study of the caregiving burden on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A phenomenological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6), 915. 

  12. Kwon, I.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6(2), 212-223. 

  13. Kwon, J. Y. (2007). Parents' perception of very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2), 1-19. 

  14. Leder, S., Grinstead, L. N., & Torres, E. (2007). Grandparets raising grandchildren stressors, social support, and health outcomes. Journal of Family Nursing, 13(3), 333-352. 

  15. Lo, M., & Liu, Y. H. (2009). Quality of life among older grandparent caregivers: a pilot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7), 1475-1484.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May). Korea's National Survey on Childcare 2012. Retrieved March 5,2014 from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eb site: http://www.mw.go.kr/front_new/sch/index.jsp?coll 

  17. Mossey, J. M., &Shapiro, E. (1982). Self-rated health: A predictor of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2(8), 800-808. 

  18. Musil, C. M., Gordon, N. L., Warner, C. B., Zauszniewski, J. A., Standing, T., & Wykle, M. (2011). Grandmothers and caregiving to grandchildren: Continuity, change, and outcomes over 24 months. Gerontologist, 51(1), 86-100. 

  19. Oh, J. N. (2006). Ca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d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in employment mother's hom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2(3), 368-376. 

  20.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1. Shin, S. H., & Sok, S. R. (2012). A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between Korean older people living with family and living alon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9(2), 252-258. 

  22. Statistics Korea. (2009, November). Report on the social survey 2009. Retrieved March 5, 2014, from the Statistics of Korea Web sit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177458 

  23. Statistics Korea. (2013-a, November). Statistics of women's career breaks in 2013. Retrieved March 5, 2014 from the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board?bmoderead&aSeq310385 

  24. Statistics Korea. (2013-b, September). 2013 Statistics on the Aged. Retrieved March 5, 2014 from the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kostat.go.kr/portal/english/news/1/23/2/index.board?bmoderead&bSeq&aSeq309840&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5. Stoker, M. J., Dunbar, G. C., & Beaumont, G. (1992).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Quality of Life Research, 1(6), 385-395. 

  26. Taylor, J. Y., Washington, O. G., Artinian, N. T., & Lichtenberg, P. (2007). Urban hypertensive African American grandparents: Stress, health, and implications of child care. Clinical Gerontology, 30(4), 39-54. 

  27. Yoon, J. S., Kook, S. H., & Lee, M. S. (1998).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KvSBQOL).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2), 280-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