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가루 제분용 백미 내 잠재적 위해 세균에 대한 살균 및 세척 효과
Antibacterial and Rinsing Activities Against Potentially Harmful Bacteria in Rice during Rice Flour Produ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2, 2014년, pp.117 - 122  

한재광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차민희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주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근성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습식 쌀가루의 제분과정 중에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에 사용되는 물에 천연살균제인 쌀뜨물발효액 혹은 화학살균제인 chlorine dioxide (CD)와 sodium benzoate (SB)를 각각 첨가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 중 쌀에 잔류 미생물의 증식억제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원료 쌀의 잔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공정 전과 후 세척 횟수별 잔류 미생물의 제거 정도를 파악하였다.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백미 내 잔류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해 세균들로 선정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비교적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쌀뜨물발효액이나 SB와 비교하였을 때 CD가 액체배양액 내에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침지과정 중에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하면서 백미 내 잔류세균에 대하여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위에서 언급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이들 천연살균제와 화학살균제들이 나타낸 항균력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백미 검체의 침지 전과 후 세척 횟수에 따른 백미 잔류 세균의 제거효과는 백미 검체를 침지하지 않고 세척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세척을 한 후 침지를 시켰을 때는 세척 횟수가 증가하여도 잔류 세균의 수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결론적으로 백미의 살균 및 제균 방법으로는 살균제에 의한 살균방법보다는 물 등으로 세척하여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can be the contaminating with soil-borne bacteria. Furthermore, the contaminated bacteria can be grown during immersion process for produce wet-milled rice flour. Therefore, disinfectants can be added during the immersion process.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natural disinfectant, fermen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습식 쌀가루의 제분과정 중에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에 사용되는 물에 천연살균제인 쌀뜨물발효액 혹은 화학살균제인 chlorine dioxide (CD)와 sodium benzoate (SB)를 각각 첨가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 중 쌀에 잔류 미생물의 증식억제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원료 쌀의 잔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공정 전과 후 세척 횟수별 잔류 미생물의 제거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미란? 쌀은 세계적으로 주요한 곡식으로서 벼의 알곡으로부터 도정되며, 도정 정도에 따라서 불리는 이름과 영양성분 조성이 각각 다르다. 볍씨에서 왕겨를 제거하면 현미가 되며 일반적으로 도정도가 92% 이상인 경우를 백미라고 한다1). 쌀은 밀과 함께 세계인의 주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밀은 가루로 제분하여 다양한 제품으로 가공해 섭취하는 반면, 쌀은 도정하여 낱알의 상태로 물을 넣어 밥을 지어 먹어왔다2).
쌀 소비 확대의 일환으로 쌀가루를 주원료로 한 새로운 쌀 가공식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는 이유는? 쌀은 밀과 함께 세계인의 주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밀은 가루로 제분하여 다양한 제품으로 가공해 섭취하는 반면, 쌀은 도정하여 낱알의 상태로 물을 넣어 밥을 지어 먹어왔다2). 그러나 최근 식생활이 서구화 혹은 다양화됨에 따라 수세나 취반을 필요로 하는 쌀밥 보다는 육류, 패스트푸드 등의 가공식품의 소비가 늘고 있어 1인당 쌀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이다3). 따라서 최근 쌀 소비 확대의 일환으로 쌀가루를 주원료로 한 새로운 쌀 가공식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최근 농림식품부에서는 쌀 가공식품 시장규모가 1조 8,000 억원대에 이르는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발표하였다4).
일반적으로 저장 및 유통되는 쌀의 수분함량은? 쌀은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12-14%의 상태로 저장 및 유통되며8) 이와 같이 수분 함량이 낮은 쌀에서도 B. cereus를 포함한 대부분 미생물들의 생존이 가능하며 지금까지 쌀 함유 식품류로부터 기인된 식중독이 간헐적으로 발생하였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금준석: 쌀의 영양과 쌀 가공식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38-54 (2010). 

  2. 신말식: 미래의 녹색 식품산업을 주도할 쌀 가공산업의 활성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16-37 (2010). 

  3. 최봉규, 금준석, 이현유, 박종대: 쌀가루 제분방법 및 입자크기에 따른 백설기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 230-234 (2005). 

  4. 금준석: 미곡 가공기술 혁신을 통한 쌀 소비확대방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49-59 (2010). 

  5. Kim, S.H., Kim, K.P., Jang, S.S., Shin, E.M., Kim, M.J., Oh, S., and Ryu, S.: Prevalence and toxigenic profile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dried red peppers, rice, and Sunsik in Korea. J. Food Prot., 72, 578-582 (2009). 

  6. Park, Y.B., Kim, J.B., Shin, S.W., Kim, J.C., Cho, S.H., Lee, B.K., Ahn, J., Kim, J.M., and Oh, D.H.: Prevalence, genetic diversit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rice and cereals collected in Korea. J. Food Prot., 72, 612-617 (2009). 

  7. 박석규, 고용덕, 권선화, 손미예, 이상원: 쌀과 취반백미의 고온성 세균 분포 및 이상취 발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0, 70-74 (2003) 

  8. 김경애, 전은례: 도정도에 따른 쌀의 수화와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8, 959-964 (1996). 

  9.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중독 통계 시스템. http://www.mfds.go. kr/e-stat/index.do. Accessed January 21, 2012. 

  10. 김민주, 김병훈, 박성수, 박성희, 김동호, 김근성: 시판 백미의 미생물학적 프로파일 정량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6, 198-202 (2011). 

  11. Adebolu, T.T., and Oladimeji, S.A.: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Ocimum gratissimum on selected diarrhea causing bacteria in southwestern Nigeria. Afr. J. Biotechnol., 4, 682-684 (2005) 

  12. 하지형, 이유시, 이석주, 황선순, 하상도: 행주 내 식품위해미생물에 대한 쌀뜨물발효액의 살균 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2, 365-369 (2007). 

  13. Kim, K.S., Park, K.S., Kim, M.J., and Kim, S.Y.: Free phenolic content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of fresh and fermented rice spent water. Food Sci. Biotechnol., 19, 1415-1420 (2010). 

  14.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첨가물공전. (2012). 

  15. 박종숙, 남은숙, 박신인: 과일류의 염소 소독 농도 및 세척 횟수에 따른 미생물 제거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1, 167-183 (2008). 

  16. 이우원, 김병지, 임기재, 신종백: Listeria monocytogenes 의 생존성에 관한 식육보존료의 효과. 한국가축위생학회지, 16, 20-33 (1993). 

  17. Lee, S.Y., Chung, H.J., Shin, J.H., Dougherty, Richard, H., and Kang. D.H.: Survival and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during cooking and storage of oriental-style rice cakes. J. Food Prot., 69, 3037-3042 (2006). 

  18. 김세리, 심원보, 박선자, 하광수, 윤혜숙, 하상도, 김근성, 이규호, 김민곤, 김광엽, 김철호, 정덕화, 이규효: 생딸기주스 제조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37, 287-293 (2005). 

  19. 홍윤희, 김민기, 송경빈: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삼계용 닭의 저온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5, 769-773 (2008). 

  20. Ogiehor, I.S., and Ikenebomeh, M.J.: Antimicrobial effects of sodium benzoate on the growth, survival and aflatoxin production potential of some species of Aspergillus in garri during storage. Pak. J. Nutr., 3, 300-303 (2004). 

  21. Wu, V.C.H., and Kim, B.C.: Effect of a simple chlorine dioxide method for controlling five foodborne pathogens, yeasts and molds on blueberries. Food Microbiology, 24, 794-800 (2007). 

  22. 김소희, 정수열: 단체금식에서 채소류 전처리를 위한 식초 소독의 미생물적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 230-237 (2003). 

  23. 오소영, 최선태, 김지강, 임채일: 쌈채소의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농약 및 미생물 제거 효과. 원예과학기술지, 23, 250-25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