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용유지류 중 벤조피렌의 함량 분석 및 안전성 평가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of Benzo(a)pyrene in Edible Oil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2, 2014년, pp.141 - 145  

장미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홍미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정소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최부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경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금진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일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정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채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유지류의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PAHs의 대표적인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는 288건의 식용유지제품에 함유된 벤조피렌 함량을 분석한 후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사용된 제품은 옥수수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들기름, 미강유, 참기름, 콩기름, 해바라기유 등이며 벤조피렌의 검출 범위는 불검출 ${\sim}4.78{\mu}g/kg$이었고 평균 농도는 $0.11{\mu}g/kg$로 나타났다.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 2차년도(2011) 자료를 이용하여 전체인구집단과 섭취군의 식용유지류 섭취량을 산출하여 만성 1일 인체노출량을 평가한 결과 식용유지류 섭취로 인한 벤조피렌 노출량은 전체인구집단의 경우 $4.26{\times}10^{-3}ng/kg$ b.w./day, 식용유지류 섭취군의 경우 $7.64{\times}10^{-3}ng/kg$ b.w./day로 나타났다. 인체 위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벤조피렌의 mouse 위상부암에 대한 $BMDL_{10}$값인 0.31~0.74 mg/kg b.w./day와 만성 1일 인체노출량을 이용하여 산출한 MOE 값은 전체인구집단에서는 $7.28{\times}10^7{\sim}1.74{\times}10^8$, 섭취자군에서는 $3.95{\times}10^7{\sim}9.42{\times}10^7$ 수준이었다. 따라서 식용유지류 섭취로 인한 벤조피렌 인체노출의 위해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the health risk for benzo(a)pyrene by the intake of edible oils, 288 cases of edible oils collected from food markets were analysed using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or. The levels of benzo(a)pyrene were from non-detection to $4.78{\mu}g/k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 중인 식용유지류의 벤조피렌 함량을 조사하고 식용유지 섭취로 인한 벤조피렌의 만성 1일 인체노출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인체노출량결과와 벤조피렌의 발암력을 고려한 Margin Of Exposure (MOE)를 산출하여 식용유지 섭취에 따른 벤조피렌의 안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 중인 식용유지류의 벤조피렌 함량을 조사하고 식용유지 섭취로 인한 벤조피렌의 만성 1일 인체노출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인체노출량결과와 벤조피렌의 발암력을 고려한 Margin Of Exposure (MOE)를 산출하여 식용유지 섭취에 따른 벤조피렌의 안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중 벤조피렌의 특징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는 2개 이상의 벤젠고리 구조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로서 200여종의 유도체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공장이나 화학연료, 담배, 숯불에 구운 육류와 같은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로 생성된다1,2). 다양한 PAHs 중 벤조피렌(benzo(a)pyrene)은 황색의 결정성 고체로 300~600oC의 온도에서 불완전연소 시 생성되어 유전독성과 발암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2006년 국제 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 발암물질(Group 1)로 분류하였다3). 또한 벤조피렌은 PAHs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물질로 Scientific Committee on Food (SCF)에서는 식품에서 PAHs의 발암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4). 벤조피렌의 오염원은 매우 다양하여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가공하지 않는 농산물 및 수산물 등의 식품에도 존재하고 식품을 조리·가공할 때 식품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열분해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Santodonato 등의 자료를 인용한 미국의 ATSDR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보고서에서는 일반인의 벤조피렌 인체노출 기여도가 공기 5.
다환방향족탄화수소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는 2개 이상의 벤젠고리 구조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로서 200여종의 유도체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공장이나 화학연료, 담배, 숯불에 구운 육류와 같은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로 생성된다1,2). 다양한 PAHs 중 벤조피렌(benzo(a)pyrene)은 황색의 결정성 고체로 300~600oC의 온도에서 불완전연소 시 생성되어 유전독성과 발암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2006년 국제 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 발암물질(Group 1)로 분류하였다3).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생성 원인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는 2개 이상의 벤젠고리 구조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로서 200여종의 유도체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공장이나 화학연료, 담배, 숯불에 구운 육류와 같은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로 생성된다1,2). 다양한 PAHs 중 벤조피렌(benzo(a)pyrene)은 황색의 결정성 고체로 300~600oC의 온도에서 불완전연소 시 생성되어 유전독성과 발암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2006년 국제 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 발암물질(Group 1)로 분류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unther FA and Buzzetti F.: Occurrenc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lynuclear hydrocarbons as residues. Residue Rev., 23, 90-113 (1965). 

  2. Tilgner DJ and Daun 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moked foods. Residue Rev., 27, 19-41 (1969). 

  3.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92 (2006). 

  4. Scientific Committee on Food.: Opinion of the scientific committee on food on the risks to human health of polycyclic aromatic in food. SCF/CS/CNTM /PAH/29 Final, Bussels, Belgium (2002). 

  5. Cho Y.H., Song K.Y., Baek M.K., Lee J.W., Lee G.W.: Study on extraction condition and analysis methods of benzo(a)pyrene in black ginseng. Yakhak Hoeji, 56, 145-151 (2012). 

  6. Reports on tasks for scientific cooperation.: Report of participating in Task 3.2.12 October (2004). 

  7. Larsson B, Eriksson A, Cervenka M.: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crude and deodorized vegetable oils. J. Am. Oil Chem. Soc., 64, 365-370 (1987). 

  8. Chung S.Y., Sho Y.S., Park S.K., Lee E.J., Suh J.H., Choi W.J., Kim J.S., Kim M.H., Kwon K.S., Lee J.O., Kim H.Y., Lee C.W.: Concentration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vegetable oils and f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68-691 (2004). 

  9. Hu S.J., Kim M.H., Oh N.S., Ha J., Choi K.S., Kwon K.S.: Level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fish, shellfish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66-872 (2005). 

  10. Hu S.J., Oh N.S., Kim S.Y., Lee H.M.: Determining of Level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domestic vegetables and fruits. Anal. Sci. Technol., 19, 415-421 (2006). 

  11. Kim H.Y., Chung S.Y., Sho Y.S., Park S.S., Lee E.J., Suh J.H., Lee Y.D., Choi W.J., Kim J.S., Eom J.Y., Park H.O., Jin M.S., Kim D.S., Ha S.C., Lee J.O.: Concentration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cereals, pulses, potatoes and their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37-541(2005). 

  12. Korean Food Code :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p. 2-1-21 (2012). 

  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pp. 492(2012). 

  14. Cortesi. N. and Fusari. P.: Determinazione degli idrocarburi policilici aromatici:utilizzo di fasi eluenti la matrice lipidica a minor impatto ambientale. Riv. Ital. Sostanze Grasse 82 (LUGLIO/AGOSTO), 167-172 (2005). 

  15. Kim M.S.: Determination of benzo(a)pyrene in sesame oils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9). 

  16. Jung S.Y., Park J.S., Chang M.S., Kim M.S., Lee S.M., Kim J.H., Chae Y.Z.: A simpl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 in edible oil employing solid phase extraction(SPE) cartridge purification. Food Sci. Biotechnol., 22(S), 241-248 (2013). 

  17. Rubert S, Soja P, Elke A.: Single-laboratory validation of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 for quantitation of 15 European priorit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piked smoked flavourings. J. Chromatogr. A, 1103,307-313 (2006). 

  18. GEMS/Food-Euro.: Report on a workshop in the frame of GEMS/Food-Euro. In: second workshop on reliable evaluation of low-level contamination of food. March 26-27, Kulmbach. Federal Republic of Germany (1995). 

  19.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1). 

  20. 이철호, 이효민, 박용호, 박경진, 김형진, 권중호 : 식품의 안정성 평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출판부, pp. 60 (2009). 

  21. 식품의약품안전청: 유전독성 발암물질 위해평가 가이드. pp. 30 (2011). 

  22. Hur S., Woo G.J., Choi D.: Determination of benzo(a)pyrene in olive oils. Analytical science &technology, 20(2), 170-175 (2007). 

  23. Kim H.Y., Song D.S.: Minimizing benzo(a)pyrene contents in the manufacturing of sesame oil and perilla oil. Korean J. Food Preserv. 14(4), 556-561 (2008). 

  24. Lee BM and Shim GA.: Dietary exposure estimation of benzo(a)pyrene and cancer risk assessment. J. Toxicol Environ Health A, 70(15-16), 1391-1394 (2007). 

  25. Sung T., Lee J.S., Lee H.G.: Benzo(a)pyrene contents in commercial vegetables oils and changes during processing of vegetable oi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 269-273 (2012). 

  26. Jeong J.Y., Jung Y.K., Hwang M.S., Jung K.K., Yoon H.J.: Prioritizing management ranking for hazardous chemicals reflecting aggregate exposure. J. Fd Hyg. Safety, 27(4), 349-35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