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방제지역 식생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Managed Area by Oak Wilt Disease in Bukhan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3, 2014년, pp.342 - 356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염정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 중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2006~2011년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 중 예비답사를 통해 관리년도가 명확하고 조사 및 관리가 용이한 탐방로 인접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지는 소귀천계곡, 무수골, 다락원, 원도봉, 도봉계곡, 도선사 등 6개 지역 이었다. 조사구는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18개소 ($20m{\times}20m$)를 설정하였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밀도 및 피도, 아교목층의 상대우점치, 도시화적응종 및 외래종의 상대우점치 등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벌채 후 4년 이상 경과된 소귀천계곡과 무수골에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밀도 및 피도가 모두 크게 증가하였으며 벌채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지역 중 다락원, 원도봉, 도봉계곡, 도선사 등은 벌채 및 훈증 작업시 하층이 훼손되어 대조구에 비해 아교목 및 관목층 밀도가 낮았다. 하지만 원도봉과 도선사는 관목층의 밀도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는데 다수의 유목이 이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교목층의 세력 경쟁 측면에서는 다락원과 원도봉을 제외하고는 신갈나무가 쇠퇴하면서 졸참나무와 팥배나무가 우점하였다. 다락원은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원도봉은 신갈나무가 지속적으로 우점하였다. 외래종은 일본목련, 아까시나무 등이 수관층이 개방된 곳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며, 소귀천계곡에서는 덩굴식생인 칡이 생육하였다. 토양환경에서는 전 지역에서 토양의 산성화(pH 4.49)와 더불어 유기물함량(3.23%), 유효인산(1.40mg/kg) 및 치환성양이온 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어 수목생육에는 불량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resto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 for managed area with deforest and fumigation among the places damaged by oak wilt disease in Bukhansan National Park. Study areas were selected in six damaged areas with 18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내 연도별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을 대상으로 수관개방에 따른 외래종 및 도시화 적응종의 유입 등 식생 변화를 관찰하고 아교목 및 관목층의 식생구조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바람직한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산국립공원은 어떤 국립공원인가? 북한산국립공원은 1983년 우리나라에서 15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으로서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등 4개의 지자체에 인접하여 있으며 연평균 탐방객수가 774만명(2012년 기준)에 이르는 대표적 도심형 국립공원이다. 또한, 대도시에 인접한 북한산국립공원은 과도한 이용에 따른 양호한 생태계에 대한 보전 및 기후변화에 의한 동식물생태계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해야 하는 보호지역이다.
참나무시들음병을 방제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 2013)에서도 2006년 발생한 이후 피해가 급증하여 2011년에는 정릉지구, 수유지구, 우이지구, 도봉지구, 원도봉지구 등 북한산의 주능선을 경계로 서울시가 인접한 동측에 집중되었다(Bukhansan National Park Office, 2012). 참나무시들음병이 공원 전 지역에 확산됨에 따라 지자체와 국유림관리소 등을 중심으로 방제규모가 확대 되고 있으며 감염목에 대한 약제살포, 끈끈이롤트랩 설치, 벌채 및 훈증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위적 관리에 대한 생태계의 영향을 최소화시켜야 하는 보호지역인 만큼 방제규모는 제한적이며 생태계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는 벌채 및 훈증관리의 경우, 식생훼손으로 인한 외래종의 유입 및 확산 등 자연식생에 대한 교란이 우려되고 있다.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 중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특성을 분석한 연구에서 대상지는 어디인가?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 중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2006~2011년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 중 예비답사를 통해 관리년도가 명확하고 조사 및 관리가 용이한 탐방로 인접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지는 소귀천계곡, 무수골, 다락원, 원도봉, 도봉계곡, 도선사 등 6개 지역 이었다. 조사구는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18개소 ($20m{\times}20m$)를 설정하였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밀도 및 피도, 아교목층의 상대우점치, 도시화적응종 및 외래종의 상대우점치 등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H.H.(2009) Studies on Forest Community Structure and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 -Case of Outbreak area of Oak Wilt disease-. Master's Thesis, Sang Ji University, 5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ray, R.H and L.T. Kurtz(1945)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and Available forms of Phosphorus in Soil. Soil Science 59:39-45. 

  3. Bukhansan national park office(2012) Outbreak Status and Management of Oak Wilt Disease , Bukhansan national park office, 175pp. (in Korean) 

  4. Choi, E.H.(2010) Comparison in Characteristics of Raffaelea Species causing Oak Wilt Disease, and Analysis Efficacy of Fungicides Injection.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7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6. Glass, N. R.(1979) U.S. Federal Program on Effects of Acid Rain: Proceedings of ASCE National Conversat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92-110pp. 

  7. Han Y.H.(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lanning model for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in urban housing complexe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ong, K.J., Y.D. Kwon, S.W. Park and D.P. Lyu (2006)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Platypodidae; Coleoptera),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45(2): 113-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ng, S.J. and C.S. Choi(2000) Regeneration Process in Gap of Quercus mongolica Forest.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3(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G.H., J.Y. Yun and S.H. Yoo(1993)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y of Uncultivated Soil, Korea -Gyeongsang Do and Jeolla Do-.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pp.160. (in Korean) 

  11. Kim, H.J.(2007) Cultural Characterization and Genetic Diagnosis of Raffaelea sp.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using ITS-specific Primer in Korea.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5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W.(2004) Introduction of Soil Fertilizer. Sunjin Munhawsa.208pp. (in Korean)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8) Outbreak Status and Measure of Oak Wilt Diseas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9pp. (in Korean)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0) Research of Occurrence Status and Control of Oak Wilt Disease. Korea Forest Servic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37pp. (in Korean) 

  15. Korea Forest Service(2000) Foreat and Forest Technical. Korea Forest Service, 620pp. (in Korean) 

  16. Kwak, J.I.(2011)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Succession Trends of Seoul Urban Forest, Korea. Ph. D. Dissertation, Univ. of Seoul, 31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C.Y.(2000) Soil Science of Forest Environemnt. Boseong cultural company, 350pp. (in Korean) 

  18. Lee, K.J., B.H. Han and S.D. Lee(2000) A Study on the Plant Ecosystem Decline of Urban Forest(I) -Namsan, Changdockkung-.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Kor. J. Env. Ecol. pp.91-94. (in Korean) 

  19. Lim, S.U.(2006) Fertilizer Science, Ilsinsa, 472pp. (in Korean) 

  20. Miller, W.P. and D.M. Miller(1987) A Micro Pipette Method for Soil Mechanical Analysis.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18:1-15. 

  21. Ministry of Environment(2011) 2011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726pp. (in Korean) 

  22.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0) Report of Status of Oak Wilt Disease's Outbreak and Prediction of Spread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67pp. (in Korean) 

  23. Oh, K.S., J.H. Koo and C.J. Cho(2005) The Effects of Urban Spatial Elements on Local Air Pollutio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0(3): 159-1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J.E.(2009)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Isolated from Wilt-Diseased Oak Wood and the Wilt Disease-vectoring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7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M.Y. and D.S. Cho(2007) Gap Dynamaics of a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Mt. Jumbong. Journal of Natural Science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8: 3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S.B., M.J. Yoo and J.Y. Kim(1988) The Ionic Composition of Rainwater to Implicate Acidif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neers 10(3): 19-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Rengel, Z.(1992) Role of Clacium in Aluminum Toxicity. New Phytol, 121: 499-513. 

  28. Ulrich, B., R. Mayer and P. K. Khanna(1980) Chemical Changes due to Acid Precipitation in a Loss-Derived Soil in Central Europe. Soil Science 130(4): 193-199. 

  29. Um, T.W., J.H. Chun and K.H. Kim(2009) Stand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Oak Wilt Infected Forest, Korea. Kor. J. Env. Eco. 23(2): 220-2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Yeum, J.H., B.H. Han, J.W. Choi and H.E. Jeong(2013) Mapping of the Damaged Forest by Oak Wilt Disease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7(6): 704-7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Yoo, H.D.(2009)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easts Isolated from the Oak Infesting Insect Pest Platypus koryoensis and the Pest-inested Oak Woo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Microbiolog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6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吉田稔, 川畑洋子(1988) 酸性雨の土壤による中和機構. 日本土壤肥料學會誌 59: 413-415.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