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3, 2014년, pp.292 - 301  

신경미 (동아대학교대학원) ,  권정옥 (동아대학교대학원) ,  김은영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reality shock in new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16 newly graduated nurses with less than 1 year experience in 5 university and 10 general hospital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도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자인 Kramer의 승인를 받은 후 연구자가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간호학과 교수 2인이 한국어판 설문지에서 번역의 정확성과 문화적 차이로 수정이 필요한 문항이 있는지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수정된 설문지를 다시 미국에서 간호사로 다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는 영어와 한국어에 모두 능통한 간호학 전공자 1인이 다시 역번역하였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신규간호사 현실 충격의 영향요인은 간호근무환경, 취업을 위해 거주지 이동, 희망부서 배치유무, 희망일에 휴무 가능성 등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은 4점 만점에 2.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현실충격을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무환경이란 무엇인가? 근무환경은 병원의 근무상황을 비롯한 개인이 지각하는 물리적 환경, 개인의 상호작용, 조직이나 기관 및 정책적 측면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17]. 근무환경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정의되는데, 최근 많이 사용되는 것이 “간호근무 환경”이다.
간호근무 환경이 잘 갖추어지지 않을 경우 어떠한 영향이 발생하는가? Lake[18]는 좋은 간호근무환경을 병원운영에 간호사 참여”,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간호관리자의 능력, 리더쉽, 간호사에 대한 지지”, “충분한 인력과 물리적 지원”,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가 잘 갖추어진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이 잘 갖추어지지 않은 환경, 즉 열악한 간호 근무환경은 간호사로 하여금 전문직 역할 수행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간호사의 불만족과 소진을 가져오고 결국 간호사의 이직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최근 미국 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 IOM)의 보고서[20]에서도 안전하며 질적 수준이 높은 환자간호를 제공하는데 있어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Lake는 좋은 간호근무환경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근무환경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정의되는데, 최근 많이 사용되는 것이 “간호근무 환경”이다. Lake[18]는 좋은 간호근무환경을 병원운영에 간호사 참여”,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간호관리자의 능력, 리더쉽, 간호사에 대한 지지”, “충분한 인력과 물리적 지원”,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가 잘 갖추어진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이 잘 갖추어지지 않은 환경, 즉 열악한 간호 근무환경은 간호사로 하여금 전문직 역할 수행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간호사의 불만족과 소진을 가져오고 결국 간호사의 이직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wles C, Candela L. First job experiences of recent RN graduate: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35(3):130-137. 

  2. Kramer M. Reality shock; why nurses leave nursing. Saint Louis, CV Mosby; 1974. 

  3. Kim H. A study of reality shock and teacher efficacy among inservice teachers: Focus o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17(2):151-173. 

  4. Zapf D, Gross C. Conflict escalation and coping with workplace bullying: A replication and extension.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 Psychology. 2001;10(4):497-522. http://dx.doi.org/10.1080/13594320143000834 

  5. Moran CM. Preceptor programs [Internet]. King of Prussia, PA: ADVANCE Newsmagazines. 2002 [cited 2014 March 23]. Available form: http:// nursing.advanceweb.com/Article /Preceptor- Programs.aspx 

  6. Knecht PA. New Grads: You Are not alone [Internet]. King of Prussia, PA: ADVANCE Newsmagazines. 2002 [cited 2014 March 23]. Available from: http://nursing.advanceweb.com/ Article/New-Grads-You-Are-Not-Alone.aspx 

  7. Stacey G, Hardy P. Challenging the shock of reality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1;(2):159-164. http://dx.doi.org/10.1016/j.nepr.2010.08.003 

  8. Yoon SH.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2;8(1):55-72. 

  9.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work report: Hospital Nurses staffing state survey.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2. 

  10. Yun HM, Kim JS.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Global Health and Nursing. 2012;2 (2):52-61. 

  11. Hwang SY, Lee EJ, Na DM, Lee GS, Sun GS, Lee CS. The Clinical experiences of newly-qualified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2;8(2): 261-271. 

  12. Kim JY, Kim IS. Experience of preceptorship for newly employed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0(2):75-88. 

  13. Park JH, Chun IS.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Qualitative Research. 2008; 9(2):99-110. 

  14. Kramer M, Brewer BB, Maguire P. Impact of healthy work environments on new graduate nurses'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3;35(3):348-383. http://dx.doi.org/10.1177/0193945911403939 

  15. Kang YB. The effects analysi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chievement. [master's thesis]. Gyungsan: Yeungnam University; 2010. 

  16. Lee EH, Chang SJ, Kim HY, Roh JH, Park EJ, Won JU.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7;19(2):93-104. 

  17. Christmas K.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2008;26:316-318. 

  18.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 25(3):176-188. http://dx.doi.org/10.1002/nur.10032 

  19. Baernholdt M, Mark BA. The nurse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ates in rural and urban nursing uni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9;17:994-100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27.x 

  20. Committee on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Initiative on the Future of Nursing at the Institute of Medicine (IOM).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2011. 

  21. Byun E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ly graduated nurses' intention to turnover and job stress/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2. Suh Y, Lee K. Lived experience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 19(2):227-238.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227 

  23.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25-33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24. Lake ET, Friese CR.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2006;55(1):1-9. 

  25. Sung MH, Kim HW, Kim JW. A comparison of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between preceptors and new graduate nurses. Korean Journal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2007;7(2):131-138. 

  26. Yang SG. Relationship on the stres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orientation program of new nurses. [master's thesis]. Sunch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06. 

  27. Lee SJ, Kang MK, Kwon SH, Song KH, Lee JH, Choi JR. et al. A study on job stress between experienced versus new nurs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2002;6(1):89-99. 

  28. Kwon KJ, Lee SH.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yles as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 (4):383-39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383 

  29. Lacey SR, Teasley S, Cox KS, Olney A, Kramer M, Schmalenberg C.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 job satisfaction tool: Increasing precision for strategic improvemen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41:15-22.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002871 

  30.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Lake ET, Cheney T.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 (5):223-229. http://dx.doi.org/10.1097/01.NNA.0000312773.42352.d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