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체중 및 비만 여성에서 한방비만변증에 따른 체성분 및 대사관련 지표의 상관성
Relation betwee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and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4 no.1, 2014년, pp.24 - 28  

송미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김호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이명종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conducted this study to analysis obesity pattern and obesity related blood parameters. Methods: A total of 64 overweight and obese (body mass index [BMI] ${\geq}23cm/kg^2$) women who had no other disease was recruited. Body composition and obesity related blood parameter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설문점수 중 최고 점수의 변증을 대표변증으로 하여 평가하였기에, 비슷한 점수로 여러 변증이 중복된 경우를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방비만변증과 관련 혈액검사지표와의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시도된 연구이며, 비만도와 혈액검사지표의 상관성이 변증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이다. 한방비만변증의 진단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후속 보완 연구가 뒤따라야겠다.
  • 그러나 비만과 관련한 혈액검사지표와 한방비만변증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인데,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중성지방과 한방비만변증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8), 그 외 관련 연구는 찾을 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 관련 혈액검사지표와 한방비만변증과의 상관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기 위하여 과체중 혹은 비만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방비만변증지표와 비만 관련 혈액검사지표와의 관련성을 연구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증이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 주된 진단법의 하나인 변증은 증상에 의한 변별로서 임상에서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과 한의사들이 주요한 지표로 보는 증상을 통해 병리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한국한의학연구원과 한방비만학회에서는 비만증의 한의학 진단을 객관화하기 위하여 비만변증 도구에 대한 공동연구를 지속하였고2-4), 그 결과 2009년 비만 변증 판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 부적절한 식습관, 운동부족, 정신적 문제, 유전적인 원인 및 내분비계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지방조직이 과잉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비만의 유병률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2012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의하면 20세 이상 성인의 비만 인구 비율은 32.
한방비만변증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한방비만변증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는데, 폐경 전과 갱년기의 변증지표 차이에 대한 연구5), 변증에 따른 복부 내장지방량의 차이에 대한 연구6) 및 성인 여성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변증지표 특성에 대한 연구7) 등이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비만과 관련한 혈액검사지표와 한방비만변증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인데,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중성지방과 한방비만변증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8), 그 외 관련 연구는 찾을 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 관련 혈액검사지표와 한방비만변증과의 상관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기 위하여 과체중 혹은 비만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방비만변증지표와 비만 관련 혈액검사지표와의 관련성을 연구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Cheongw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4 [cited 2014 Apr 30].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pageNo 1&classType7.2. 

  2. Moon JS, Kang BG, Ryu EK, Choi SM. A study of syndrome of index differentiation in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07 ; 7(1) : 55-69. 

  3. Moon JS, Kang BG, Kang KW, Sim WH, Shin MS, Choi SM. Weighting method based on experts opinion for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questionnaire. J Korean Med Obes Res. 2008 ; 8(1) : 53-61. 

  4. Kang KW, Moon JS, Kang BG, Kim BY, Shin MS, Choi SM. The comparison of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is according to symptom scale based o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J Korean Med Obes Res. 2009 : 9(1) : 37-44. 

  5. Chung WS, Hwang MJ, Lee AR, Moon JS, Choi SM, Song MY. The differentiation patterns between premenopausal and climacteric obese Korean women. J Korean Med Obes Res. 2008 : 8(2) : 37-47. 

  6. Kim EJ, Lee AR, Hwang MJ, Jo JH. Choi SM, Chung SH, et al. Relationship between visceral adipose tissue and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in obese Korean women. J Korean Med Obes Res. 2011 : 21(2) : 279-88. 

  7. Hwang MJ, Moon JS, Park KS, Song MY. Analysis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on over weight and obese Korean adult women. J Korean Med Obes Res. 2008 ; 8(2) : 63-72. 

  8. Yoo JE, Cho YH, Gu HG, Kim BY, Yun YJ. 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in middle-aged health check-up examiners. J Korean Med. 2014 : 35(1) : 123-34. 

  9.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nd ed. Seoul : Kunja Publisher. 2006 : 384-96. 

  10. Lee AR, Chung WS, Chung SH, Song MY.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 of localized fat and traditional diagnostic method in Korean high school girls. J Korean Med Obes Res. 2007 ; 7(2) : 4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