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연소의 과학적 모형형성 수업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문화적, 언어적 상호작용, 토론유형도(map)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중학생의 연소에 대한 모형형성 과정을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CLEQ (Cultural Learning Environment Questionnaire)를 살펴보고 모형형성 측면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토론유형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문화적 특징은 경쟁보다는 협동 측면에서의 집단주의를 선호하지만 과학학습 태도는 타인의존적인 경향이 높고, 모형형성 과정에서 스스로의 의견을 소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은 모형형성에 관련된 지식을 단순하게 제시한 형태가 많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응과 피드백을 하는 메타인지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토론유형도는 특정한 학생에 의존하여 의견제시만 하는 개념제시 상호작용과 응답진술을 반복하며 이루어지는 반응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견교환 할 때 새로운 의견제시, 수정,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등의 정교화 상호작용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모형형성에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이해와 우리나라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action on cultural aspects, verbal interaction, and discussion maps in scientific modeling instruction on combustion in middle school. Revised-CLEQ (Cultural Learning Environment Questionnaire), verbal interaction framew...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연소라는 용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선행 연구에 의하면, 연소에 대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은 ‘탄다’라는 익숙한 일상적 용어와 유사하게 생각하고, 학생들은 그을음이 물질의 연소로부터 생성된다고 생각하거나 양초가 연소할 때 생성되는 물은 상태변화로 이해하고, 연소물이 고체인 경우에도 연소와 소화의 조건을 양초와 같은 기체 연소의 경우로 일반화하는 특징을 보인다.24 또한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연소’라는 용어를 ‘물질이 빛과 열을 내며 타는 현상’이라고 제시하고 있다.25 이처럼 연소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교 과정에서 연소에 대한 오개념을 많이 다루고 있지만 학생들의 모형 변화에 대한 상호작용은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과학 교육의 학습 과정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이유는? 또한 과학교육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의미 형성과정, 참여의 형태, 학습의 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 등과 같은 학습의 사회 맥락적 중요성 및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사회문화적 맥락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한채 새롭게 시도되는 교수-학습 과정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19 이러한 맥락에서 과학 교육의 학습 과정에서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GEM 순환모형이란 무엇인가? 또한 공동 구성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 나가감으로써 모형이 이론의 추상성을 구체화하여 실재(realism)와 이론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과학본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탐구 중심의 과학교육에 효과적이다.16 Clement17는 사례 연구를 통하여 모형이 구성되는 과정을 모형의 생성(generation), 평가(evaluation), 수정(modification)의 순환적 과정으로 설명하고, 이를 GEM 순환모형이라고 명명하였고, Rea-Ramirez등18은 이를 명료화하여 Fig. 1과 같이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Education, National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2011-361, 2011. 

  2. Schwarz, C.; White, B. Cognition and Instruction 2005, 23, 165. 

  3. Kang, S.; Noh, T.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0, 250. 

  4. Bae, J.; Ok, 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9, 28, 519. 

  5. Lee, T. Cultural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 Inquiry Practices. M.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6. Kang, E.; Kim, C.; Choe, S.; Yoo, J.; Park, H.; Lee, S.; Kim, H.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2, 32, 372. 

  7. Kim, M. Understanding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ing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Focusing on Situation Definition and Inter-subjectivity. M.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8. Yu, H.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Interacting Role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ocial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Class. M.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9. Lee, S.; Kim, C.; Choe, S.; Yoo, J.; Park, H.; Kang, E.; Kim, H.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2, 32, 805. 

  10. Jeong, Y. An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by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as Learning Inquiry. M.D. Thesis, Chosun University, 2012. 

  11. Ham, D. The Process of Students' Model Evolution through Peer-centered Interaction in Model Construction Class of the Astronomy Domain. M.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12. Harrison, A.; Treagust, D. Science Education 2000, 84, 352. 

  13. Justi, R. S.; Gilbert,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2, 24, 1273. 

  14. Or-Bach, R.; Van Joolingen, W.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004, 9, 355. 

  15. Clement, J. J. Six Levels of Organization for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 Springer: New York, 2008; p 255. 

  16. Gilbert, J.; Boulter, C.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0; p 119. 

  17. Clement, J. J.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 Springer: New York, 2008; p 35. 

  18. Rea-Ramirez, M.; Clement, J.; Nunez-Ovedo, M. An Instructional Model Derived from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Theory; Springer: New York, 2008; p 23. 

  19. Chan K.; Chan, C. Chinese Culture, Social Work and Education and Research. International Social Work 2005, 48, 381. 

  20. Lee, H. The Korean Jounal of Science Education 2002, 22, 660. 

  21. Driver, R. Constructivist Approaches to Science Teaching; In Constructivism in Education, Steffe, L., Gale, J., Eds.;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Hillsdale, NJ, 1995; p 385. 

  22. Harkirat S. Dhindsa. Research Report. 2005, 27, 575. 

  23. Hofstede, G.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986, 46, 632. 

  24. Moon, M. An Investigation of Conceptions on Combustion and a Proposal of Correction Teaching Programs Using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D.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25. Um, 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0, 19, 75. 

  26. Bae, D.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a Force and Motion Phenomenon. M.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27. Hogan, K., Nastasi, B., Pressley, M. Cognition and Instruction 2000, 17, 379. 

  28. Seong, S.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in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M.D.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29. Kang, K.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4, 25, 239. 

  30. Maykut, P.; Morehouse, R. Beginning Qualitative Research a Philosophic and Practical Guide; The Falmer Press: Washington, DC, 1994. 

  31. Than-Pham, H.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2011, 33, 5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