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ing the Effects of Grouping by Learning Style of Gifted-Student in Science on the Verbal Interaction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8 no.4, 2014년, pp.406 - 417  

이은경 (충북과학고등학교) ,  윤지현 (단국대학교) ,  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최근 소통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탐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과학 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소집단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과학 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에 기반한 소집단 구성이 소집단 활동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쟁형, 협동형, 의존형 학습양식과 협동형, 협동형, 의존형 학습양식을 지닌 6명의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을 각각 소집단 1과 소집단 2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1의 경우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낮은 비대칭적 형태의 상호작용이 나타난 반면, 소집단 2에서는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높은 대칭적 형태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소집단 1보다 소집단 2에서 심층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았고, 학생들이 소집단 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 방법이 소집단 활동의 참여 여부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small group activity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because of the increased needs to foster the human resources that could explore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al inte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고 학생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학습 양식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소집단활동에 기반한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실험 중 제시된 실험 과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다양한 실험 오차가 발생하여 학생들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실험들을 프로그램의 탐구 주제로 선정하였다(Table 2)
  • 23,24 그러나 과학 영재들과 같이 과학 분야에서 유사한 수준의 학업 성취 능력을 나타내고, 개념 학습이 아닌 탐구 활동을 통한 공동의 결과물을 산출해내야 하는 과제의 성격을 고려해 볼 때, 학업 성취 요인으로 소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 영재교육에서는 학업 성취가 아닌 다른 요인에 기반한 소집단 구성 방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들의 행동 양식을 고려해 보고자 한다.
  • 26 특히 일반 학생에 비하여 독특한 재능, 학습 요구, 학습특성 등을 지니고 있는 과학 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는 각 영재들의 고유한 양식이 일반 학생들보다 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과학 영재들의 고유 양식에 기반한 소집단 구성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과학 영재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간주되어야 할 개인 양식으로서 보고되고 있는 학습양식을 고려해 보고자 한다.27
  • 이에 대한 원인 중 하나로서,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인 소집단 구성 방법에 대한 전략 미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들의 효과적인 소집단 활동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들의 학습 양식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하고,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집단 활동의 특징은? 15,16 따라서 앞으로는 문제를 개별적으로 해결하는 한 사람의 창의적인 인물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함께 생산하고 탐구할 수 있는 인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17 그러므로 과학 영재교육에서도 이와 같은 시대·사회적 요구에 적합한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되는데, 이 때 소집단 활동은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한 탐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 영재들은 소집단 활동을 좀 더 체계적이면서 의미 있게 경험할 필요가 있다.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또한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는 지식 경쟁을 넘어 소통과 협력을 통한 새로운 시너지 효과 창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15,16 따라서 앞으로는 문제를 개별적으로 해결하는 한 사람의 창의적인 인물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함께 생산하고 탐구할 수 있는 인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특성 상 소집단 구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2,21 그런데 일반적으로 다른 학교 출신들이 한 곳에 모여 수업을 받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특성으로 인해 소집단구성 과정에서 영재들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8 그 결과, 항상 리더 역할만을 수행해 왔고, 동질 집단에서 소집단 활동을 해 본 경험이 거의 없는 과학 영재들은 활동 과정 중 많은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2 따라서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한 소집단 구성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데, 지금까지 과학 영재들의 소집단 활동 관련 선행 연구는 영재들의 인성 함양을 목적으로 하거나 개발된 영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소집단 활동을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im, Y. C.; Jeon, H. S.; Park, K. 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02, 40, 129-158. 

  2. Jeong, H. C.; Park, Y. S.; Hwang, D. J. Journal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8, 29, 151-162. 

  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Future of Korean Education; Hakjisa Publishers: Seoul, 2011; pp39-53. 

  4. Park, I. S.; Kang,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2, 32, 210-235. 

  5. Seong, J. 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03, 11, 219-237. 

  6. Hwang, S. G.; Rim, S. H.; Kim, I. P.; Kim, A. S. Research of Secondary Education 2004, 52, 383-396. 

  7. You, J. Y.; Noh, T.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2, 32, 671-685. 

  8. Ju, C. Y.; Choi, S. B. Journal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8, 29, 474-486. 

  9. Engleberg, J. N.; Wynn, D. R. Working in Groups: Communication Principles and Strategies, 2nd ed.; Houghton Mifflin Publishers: Boston, 2000. 

  10. Kim, S. H.; Kim, K. Y.; Lee, C. H. The Mathematical Education 2005, 44, 113-124. 

  11. Lee, J. C.; Kang, S. M.; Huh, H. W.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09, 19, 138-159. 

  12. Han, K. S.; Heo, J. W.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2008, 7, 169-189. 

  13. Ryu, S. J. The Analysis of the Process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iologists' and Science-Gifted Students' Designing Experiment Activities. M.D.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14. You, J. Y.; Park, Y. O.; Noh, T.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1, 31, 986-997. 

  15. Shuen, A. Web 2.0: A Strategy Guide; O'Reilly Media Publishers: CA, 2008. 

  16. Siemens, G.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 2005, 2, 3-10. 

  17. Shalley, C.; Zhou, J.; Oldham, R. G. Journal of Management 2004, 30, 933-958. 

  18. Han, K. L.; Park, H. G.; Ryu, J. I.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1, 30, 51-60. 

  19. Park, J. Y.; Lee, K. 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2, 32, 686-702. 

  20. Oetzel, J. G. Small Group Research 2001, 32, 19-54. 

  21. Chung, D. H.; Cho, K. S.; Yoo, D. Y. Journal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13, 34, 148-161. 

  22. Yoo, M. H.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2012, 4, 43-64. 

  23. Ko, Y. N.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004, 10, 239-259. 

  24. Johnson, D. W.; Johnson, F.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Allyn and Bacon Publishers: Boston, 1994. 

  25. Hirsh, S.; Kummerow, J. Life Types; Warner Books Publishers: New York, NY, 1989. 

  26. Zimmerman, B. J.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000, 25, 82-91. 

  27. Sternberg, R. J. Thinking Style; Cambridge University Publishers: New York, 1997. 

  28. Keefe, K. W. Learning Style Theory and Practice; NASSP Publishers: Virginia, 1987. 

  29. Shin, J. H.; Seo, J. H.; Choi, J. H.; Kim, Y. N.; Kim, Y. K.; Lee, H. J.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7, 25, 495-506. 

  30. Grigorenko, E. L.; Sternberg, R. J. Exceptional Children 1997, 63, 295-312. 

  31. Lim, H.; Noh, T.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1, 21, 668-676. 

  32. Lee, E. K.; Kang, S.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8, 28, 130-138. 

  33. Lee, H. Y.; Chang, S. S.; Seong, S. K.; Lee, S. K.; Kang, S. J.; Choi, B.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2, 22, 660-670. 

  34. Chin, C.; Brown, D. 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0, 37, 109-138. 

  35. Burns, J. C.; Okey, J. R.; Wise, K. C.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85, 22, 169-177. 

  36. Hur, 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93, 13, 334-340. 

  37. Fraser, B. J. Science Education 1978, 62, 509-515. 

  38. Grasha, A. F.; Reichmann, S. W. Student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University of Cincinatti Faculty Resource Center Publisher: Cincinatti, OH, 1975. 

  39. Lim, C. J. Learning Style; Hyungseul Publishers: Seoul, 1996. 

  40. Beebe, S. A.; Masterson, J. T. Communicating in Small Groups: Principles and Practices, 5th ed.; Addison-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New York, 1997. 

  41. Gouran, D. S. Central States Speech Journal 1973, 24, 9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