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논문에서는 달 탐사위성을 위한 발사체로 한국형발사체(KSLV-II)와 나로호(KSLV-I)를 이용한 새로운 발사체에 대한 개념 연구를 수행하였다. 달 궤도 진입은 300 km 저고도에서 TLI를 수행해야 하므로 발사체의 목표성능을 한국형발사체와 동일하게 300 km 저고도에 2.6 ton의 물체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발사체는 나로호의 1단부와 한국형발사체의 2-3단부를 결합한 형태로서 검증된 발사체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한국형발사체에 비해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발사체의 선택의 폭을 ?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paper, a conceptual design of a launch vehicles is proposed by combining Naro-1 and KSLV-II. For trans-lunar injection (TLI) to lunar orbit at 300 km LEO, the target performance is defined same as that of KSLV-II, which delivers an object of 2.6 tons into 300 km LEO. The proposal launch vehicle concept of this study is combination of 1st stage of KSLV-I and 2-3rd stage of KSLV-II.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elopment time and also could expand the options for national launch vehicle capabilities with proven technologie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주자원 선점 | 장기적으로 우주자원 선점의 기반이 되는 것은? |
달 탐사
달 탐사는 발사체와 인공위성으로 대표되는 우주과학기술을 향상시키고 국가의 위상과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장기적으로 우주자원 선점의 기반이 된다. 국제적으로 달 탐사는 1957년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한 직후인 195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역사적인 아폴로 계획 이후로 달 탐사 계획이 중단되었다가, 1994년 미국의 클레멘타인을 시작으로 루나프로스펙터, LRO등 달 탐사가 새로이 시작되고 있다. |
달 탐사 | 국제적으로 달 탐사는 언제 되었는가? |
1958년
달 탐사는 발사체와 인공위성으로 대표되는 우주과학기술을 향상시키고 국가의 위상과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장기적으로 우주자원 선점의 기반이 된다. 국제적으로 달 탐사는 1957년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한 직후인 195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역사적인 아폴로 계획 이후로 달 탐사 계획이 중단되었다가, 1994년 미국의 클레멘타인을 시작으로 루나프로스펙터, LRO등 달 탐사가 새로이 시작되고 있다. 일본은 1990년 기술실증 위성인 히텐을 달에 보내 달 탐사에 성공하였으며, 또한 2007년 아폴로 계획이후 가장 큰 규모의 탐사로 셀레네 위성을 보냈다. |
달 탐사 | 인도는 어떤 위성으로 달 탐사를 하였는가? |
찬드라얀-1 위성
중국은 2007년 창어-1을 달에 보내며 달 탐사의 막을 열었다. 인도는 3차원 고해상도 지도 제작이 가능한 찬드라얀-1 위성을 달에 보내는데 성공하였다[1-3].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