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간호학 실험연구의 동향분석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창간호~2012년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
Trend 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on Community Health Nursing - Based on Research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89~2012 -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2, 2014년, pp.146 - 157  

김춘미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임승주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trends of experimental researches in the area of community health nursing. Methods: This is a study based on literature review, which analyzed 137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지역사회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중 실험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된 논문분석연구(literature review study)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간호학회지가 창간된 이후 40여 년간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실험연구들을 분석하여 지역사회 간호중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지역사회 간호중재에 대한 발전적 차원에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간호영역에서 실시된 실험연구들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역사회간호중재연구에 대한 실증적 근거와 연구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간호학회가 창립된 이래 40년 동안 학회지를 통해 발표된 지역사회간호 실험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향후 지역사회간호중재연구가 근거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간호란? 간호실무영역 중 임상간호와 차별화되는 지역사회간호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간호실무 즉, 공공보건기관, 학교, 산업장, 기타 조직 등에서 이루어지는 건강관리사업을 의미한다[6].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다양한 양적, 질적 간호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예측과 처방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유용한가? 그런데 연구목적의 상위단계인 예측과 처방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과성을 밝히거나 중재효과를 규명하는 실험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유용하다[2]. 실험연구로부터 생성된 경험적 지식체는 임상실무에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지식체로 간호현상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해주며, 이론적 기틀에 기초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를 제시해주기 때문이다[3].
간호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간호연구는 현존지식의 검증과 정련, 그리고 간호실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는 과학적인 과정이다. 이는 간호가 질적인 측면과 비용효과적인 근거 중심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학적 지식을 개발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근거중심 실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에 필요한 현상을 서술, 설명, 예측,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으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The history of 40 years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Internet]. Yangsan: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 [cited 2014 May 31]. Available from: http:// www.kchn.or.kr/new/community/ community02_2.php 

  2. Lee EO, Y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Y,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Publishing Company; 2009. 773 p. 

  3. Shin HS, Hyun MS, Ku MO, Cho MO, Kim SY, Jeong JS, et al.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focused on research tren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139-149. 

  4. Park MH.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Seoul: Koonja Publishing Company; 2006. 261 p. 

  5. Suh MJ, Jeong JS, Oh HS. Analysis on content and trend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in adult nursing area.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3;5(2): 41-51. 

  6. Ryu HS, Song NH, So AY, Kim EJ, Im MY, Suk MH, et al. Community health nursing I. Seoul: Soomoonsa Publishing Company; 2011. 706 p. 

  7. Kim SJ, Kim KB, Yi MS, Lee KJ, Ahn YH, Kim HS, et al. The trends of nursing in research in the journals of seven branches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1):114-130. 

  8. Lee IS, Kim YN, Choi KW, Chin YR. A trend of research in community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1;12(1):288-298. 

  9. Kim CM, Park MS, Kim SH. Analysis of trends in non-pharmacological studies for elders with dementia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129-141. 

  10. Lee MH, Chung MS, Lim JY, Lee SJ.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ajor korean nursing Journ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ological Mental Health Nursing. 2006;15(4):420-433. 

  11. Choi MA, Hong KJ, Han KJ, Park YS, Park SA, Hah YS, et al.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of one college of nursing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9;15(1):32-43. 

  12. Kim HS. Identifying alternative linkages among philosophy, theory, and method in nursing sci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3;18(5):793-800. 

  13. Bang KS, Kang HJ, Kim MY, Min SJ, Lee SJ, Lee HE, et al.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pediatric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2000-2011.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8;19(1):24-32. 

  14. Suh MJ, Jeong JS, Oh HS. Analysis on content and trend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in adult nursing area.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3;5(2): 41-51. 

  15. Suh YO, Park JS, Yang JH, Kim HW, Suk MH, Shin HS, et al.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1013-1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