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생각에 대한 가족주의의 영향분석 -청·장년 집단과 노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Familism on Suicide Ideation: Focusing on Difference between young Adults and Old Adul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7, 2014년, pp.419 - 430  

박준식 (한림대 사회학과) ,  김영범 (한림대 고령사회연구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주의 가치관(familism)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자살생각은 가족 간 갈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회정서선택이론(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에 의하면 가족관계는 청 장년층에 비해 노년층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가족주의 가치관과 자살생각과의 관계가 청 장년층에 비해 노년층에서 부각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실시된 한국인의 성공적 노년에 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2008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의 표본은 1,000명이며 표준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일 대 일 면접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은 청 장년 집단과 노인 집단에서 상이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생각은 우울이나 스트레스 등 정신적 건강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년층에서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자살생각과 부적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청 장년층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 the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because of limitation of life time, the family relationship is more important for elderly than young or middle aged group. Based on this theory authors hypothe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족 간 갈등이 자살 혹은 자살생각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에 주목하여 가족주의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가족주의 가치관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으며, 급속한 사회변동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인의 행위1)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2010년 인구 십만 명당 자살은 우리나라의 경우 남성 49.
  • 본 연구는 가족주의 가치관, 가족 간 갈등 그리고 자살 생각의 관계에 주목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가족주의 가치관이 자살 생각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지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이 청·장년층과 노년층에서 상이한 모습을 보이는지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층과 청 · 장년층의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토함으로써 생애 주기별로 나타나는 자살 생각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자살 예방 정책 개발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청․장년층과 노년층으로 구분하여 가족주의 가치관의 수준과 자살생각의 가능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가족주의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해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것일 뿐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점에 주목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가족주의가 자살생각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사회정서선택이론의 주장을 바탕으로 청․장년 집단과 노인 집단에서 가족주의의 영향이 다른 모습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주의 가치관이 자살생각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가족주의가 자살생각과 관련성이 있다는 주장에 의하면 가족주의가 내면화될수록 가족 간 갈등이 감소하기 때문에 자살생각 역시 감소한다고 설명한다.
  • 조사는 표준화된 설문을 통한 일 대 일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4).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생각과 가족주의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가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5) 본 자료를 활용한 이유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조사의 경우 가장 중요한 변수인 가족주의를 측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자살생각 유무에 따라 가족주의 가치관 합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살 생각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는 가족주의 가치관 합계 점수가 34.
  •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이 청·장년층과 노년층에서 상이한 모습을 보이는지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청․장년층은 가족주의 가치관과 자살생각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 가설 2: 노년층은 가족주의 가치관과 자살생각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이가 들수록 자살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자살률은 증가하고 있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많이 자살한다[8][9]. 나이나 성별에 따른 자살률 차이는 성취지향 정체성(performance-oriented self concept)의 위기를 통해 설명되기도 하는데, 나이가 들어갈수록 자살률이 증가하는 것은 나이가 들수록 성취지향 정체성이 위기에 빠지는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정체성을 개발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즉 중년기에 실업자가 되는 것은 직업의 상실과 더불어 직업활동 과정에서 쌓아온 정체성이 위기에 직면함을 의미하는데, 기존 정체성이 장기간의 헌신을 통해 형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이를 대체할만한 것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자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 거론되어 왔나? 자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제시되어 왔는데, 소득수준이나 실업 등과 같은 경제적 변수와 더불어 건강, 심리상태, 사회관계등 많은 요인들이 거론되어 왔다[3][4][5][6][7][8][9]. 다양한 사회적 요인 중 가족관계도 자살 혹은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거론되어 왔는데, 이는 뒤르케임[10]이 주장한 바처럼 연대감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제도가 가족이기 때문이다.
가족주의 가치관(familism)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은 청 장년 집단과 노인 집단에서 상이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생각은 우울이나 스트레스 등 정신적 건강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년층에서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자살생각과 부적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청 장년층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OECD, OECD factbook 2013: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pp. 236-237, 2012. 

  2. Chong-Sup Kim, Economic crisis and suic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three latin american countries, Asian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Vol. 23, No. 3, pp. 46-65, 2010. 

  3. Eunok Park and Su Jung Choi,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2 No. 2, pp. 88-96, 2013. 

  4. Hyun Soon Kim and Byeong Seok Kim, A comparative study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8, No. 2, pp. 325-343, 2008. 

  5. Jee Hwan Mo and Jin Hee Bae, Factors affecting suicidal behavior: Focused on comparison gender and age Differe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2, pp. 121-145, 2011. 

  6. R. A. Easterlin, Birth and Fortune: The Impact of Numbers on Personal Welfa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7. J. Stockard, and R. M. O'Brien, Cohort variations and changes in age-specific suicide rates over-time: explaining variation in youth suicid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s of Pacific Sociological Association, 1999. 

  8. C. Girard, Age, gender, and suicide: a cross-national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8, No. 4, pp. 553-574, 1993. 

  9. F. C. Pampel, and J. B. Williamson, Age patterns of suicide and homicide mortality rates in high-income nations, Social Forces Vol. 80, No. 1, pp. 251-282, 2001. 

  10. E. Durkheim, Suicide, Free Press, 1997. 

  11. Seong Yong Kim, Trends in elderly suicide rates and social factors in Korea, Social Welfare Policy, Vol. 8, pp. 181-205, 2004. 

  12. Jung-Kyun Ryu, Regional differentials in elderly suicide rate: The focusing on effects of family instability, 1995-2005,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1, No. 2, pp. 21-44, 2008. 

  13.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revalence of Conflicts and Social Pathologies at Individual Level and Counter Measures in Korea,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14. M., Waern, E. Rubenowitz, and K. Wilhelmson Predictors of suicide in the old elderly" Gerontology, Vol. 49, pp. 328-324, 2003. 

  15. S. C. Shagle and B. K. Barber, Effects of Family, marital, and parent-child conflict on adolescent self-derogation and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 55, No. 4, pp. 964-974, 1993. 

  16. J. B. Pena, J. A. Kuhlberg, L. H. Zayas, A. B. Baumann, L. C. Gulbas, Hausmann-Stabile, and A. P. Nolle, Familism, family environment, and suicide attempts among latino Youth,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 41, No. 3, pp. 330-341, 2011. 

  17. Jeong Hye Choi, Familism, filial piety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among adolescent, middle, and old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Vol. 37, No. 9, pp. 85-101, 1999. 

  18. Kyun-Sup Chang, Accidental pluralism in family ideology: compressed modernity and Korean families, Korean Studies Quarterly, Vol. 24, No. 2, pp. 161-202, 2001. 

  19. Laura L. Carstensen, H. H. Fung, and S. T. Charles,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and the regulation of fmotion in the second half of life" Motivation and Emotion, Vol. 27, pp. 103-123, 2003. 

  20. Tong Hee Park, Construction of Korean familism: familism, family egoism, quasi- familism, Family and Culture, Vol. 16, No. 2, pp. 93-125, 2004. 

  21. Seok-Choon Lew, Woo-Young Choi and Hye-Suk Wang, Confucian ethics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in Korea - Focused on filial pie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39, No. 6, pp. 52-86, 2005. 

  22. Yong Shin Park, History and Social Change, Seoul: Minyoungsa, 1987. 

  23. Sung Yong Lee, Familism and filial pie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9, No. 2, pp. 215-240, 2006. 

  24. Hye-Kyung Kim, Failure of the patrilineal stem family system?: familialism and individualization among the generation of economic crisis of Korea in 1998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47, No. 2, pp. 101-141, 2013. 

  25. Bo-Kyoung Kim, A confucian view of suicide and addiction in contemporary Korea, Jou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Vol. 25, pp. 153-181, 2012. 

  26. Ki-Soo Eun, A Comparative study on family values: Focusing on sex and generational difference, Family and Culture, Vol. 18, No. 3, pp. 1-31, 2006. 

  27. Ji Hyun Cho, Se-Geun Oh and Chulho Ya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supporting for the elderly in East Asia: Focused on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22, No. 1, pp. 7-42, 2012. 

  28. Sun Wha Ok, Research : a study on familism in rural families, Journal of the Home Economic Association, Vol. 28, No. 3, pp. 161-170, 1990. 

  29. Jae Hong Heo, The effects of familism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on of self esteem,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0, No. 4, pp. 1769-1782, 2009. 

  30. Ok Kyung Yang, Familism and welfare consciousnes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1, pp. 229-256, 2002. 

  31. Hyun Sook Yoon, Jae Yeon Park and Yeon Ok Lim, Suicidal impulse caused by stress in Korea: focusing on mediational effects of existent spirituality,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Vol. 41, No. 4, pp. 81-105, 2010. 

  32. Jae Hyun Jin and Hyu Yon Go, The Korean suicide rate trend by population group comparing with the OECD countri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 pp. 141-154, 2013. 

  33. Ji Yoen Lee and So Yon Kim, Suicide in Korea: Age, period, cohort effect 1983-2003,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44, No. 4, pp. 83-94, 2010. 

  34. Ki-Soo Eun,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suicide rate in Korea,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8, No. 2, pp. 97-129, 2005. 

  35. Eun Jung Kang,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by age group,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9, pp. 81-86, 2006. 

  36. Min-Ah Lee, Seokho Kim, Jae Hyun Park and Eun-Jung Sim,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ocial relationships and famil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3, No. 2, pp. 61-84, 2010. 

  37. W. C. Seelbach, Correlates of aged parent's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realizations, The Family Coordinator, Vol. 27, No. 4, pp. 341-350, 1978. 

  38. A. E. Cosby, P. C. Mark, J. S. Jeffrey, Incid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in the United States, 1994"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 29, No. 2, pp. 131-140, 1990. 

  39. R., Vilhjalmsson, G. Kristjansdottir, and E. Sveinbjarnardottir, Factor associated with Suicide Ideation in Adults, Soc Paychiatry Psychiatr Epidemiol, Vol. 33, pp. 97-103, 1998. 

  40. S. Stace and D. Lester, The effect of religion on suicide ideatio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 26, No. 4., pp. 168-170, 1991. 

  41. Young Bum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port exchange with childre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Korean Regional Sociology, Vol. 13, No. 2, pp. 173-194. 2012. 

  42. Hee Kyoung Jang and Young Hye Kim, Elder abuse perception and cargiving stress of the adult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3, pp. 358-367. 

  43. OECD, Doing Better for Families-Korea. http://www.oecd.org/els/family/,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