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정보교과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은 문제해결력이다. 정보교과가 갖는 범 교과적 성향과 더불어 정보교과의 지식이 내포한 전이가(轉移價)를 강조하기 위한 특성이 문제해결력이기 때문이다. 교과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지식임에도 불구하고, 정보교과는 문제해결력이 지식에 앞서 있는가? 본 연구는 정보과학에 대한 지식을 근간으로 교과기반, 지식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정한 2014년 영국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논의하였다. 핵심지식에 대한 영국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정보교과에서 지식과 문제해결력은 어떤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An important element to consider in information subjects is problem solving skills. It is problem solving skills that emphasize "practical usage of learning" in which knowledge of information subjects is integrated along with the cross curr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ubjects. What is usually considered paramount in a subject is knowledge, so the question is, should problem solving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information subjects? This study discusses the foundation of subjects based on knowledge in information science, and the specifics of the 2014 amendment to the U.K. curriculum. And based on the core subjects of the U.K. curriculum, this study also offer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to how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skills should be discuss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범 교과적 역량을 중요시 한 문제해결력의 관점에서 교과의 지식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개정한 영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을 토대로 어떤 이슈들이 제기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014년 9월에 시작되는 영국의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국내 정보교과에서 지식과 문제해결력의 쟁점에 대해 어떤 함의를 제공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of Education, 이하 DfE)[15]. 본 연구는 범 교과적 역량을 중요시 한 문제해결력의 관점에서 교과의 지식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개정한 영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을 토대로 어떤 이슈들이 제기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014년 9월에 시작되는 영국의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국내 정보교과에서 지식과 문제해결력의 쟁점에 대해 어떤 함의를 제공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직도 ‘어떻게’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4 영국의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정보 교육에서 제시하는 문제해결, 문제해결력과 정보 과학에 대한 지식이 갖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익숙해진 ‘어떻게’를 기반으로 실제 상황에 필요한 적절한 지식을 생성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교과의 목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국가교육과정 | 영국에서 국가교육과정은 처음에 어떤 교과로 구성되었나? |
영어, 수학, 과학, 미술, 지리, 역사, 현대외국어, 음악, 체육, 기술
영국 최초의 국가교육과정3)은 1989년 초등학교에 도입되었고, 1991년에는 국가교육과정에 따른 국가수준의 시험이 시행되었다. 국가교육과정은 처음에 10개의 기본교과(foundation subjects: 영어, 수학, 과학, 미술, 지리, 역사, 현대외국어, 음악, 체육, 기술)로 구성되었다. 교과별로는 각 단계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10단계의 척도로 평가하였다. |
국가 수준 교육과정 |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국가의 사회적, 정치적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왜 그런것인가? |
교육내용에는 해당 국가의 문화적 맥락이 내재되어 있고, 교육과정은 사회적ㆍ정치적 맥락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
교육과정은 교육의 방향에 대한 패러다임과 관련이 있으며,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3]. 교육내용에는 해당 국가의 문화적 맥락이 내재되어 있고, 교육과정은 사회적ㆍ정치적 맥락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 또한 국가의 사회적, 정치적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이다. |
영국 최초의 국가교육과정 | 영국 최초의 국가교육과정은 언제 도입되었나? |
1989년 초등학교에 도입
영국 최초의 국가교육과정3)은 1989년 초등학교에 도입되었고, 1991년에는 국가교육과정에 따른 국가수준의 시험이 시행되었다. 국가교육과정은 처음에 10개의 기본교과(foundation subjects: 영어, 수학, 과학, 미술, 지리, 역사, 현대외국어, 음악, 체육, 기술)로 구성되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