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rhinosinusitis by showing OMU(ostiomeatal unit) CT(computed tomography). Methods : The clinical study was done on 5 cases of rhinosinusitis patients diagnosed by OMU CT.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T로 진단된 비부비동염 환자에게 한약 및 침치료 후 CT 상에서 병변이 소실됨을 확인한 보고이다. 비록 5례의 소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증례보고이나 이전의 보고들과는 달리 진단과 치료의 평가에 주관적인 증상 외에 객관적인 평가지표인 CT를 사용하였다는 점이 차별화될 수 있으며, 향후 한의계에서도 객관적인 진단과 평가에 진단기기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진료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CT는 부비동의 해부학적 구조, 연부조직의 변화, 부비동과 상악동구 복합과 안와 및 두개 내의 합병증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모든 연령대의 환자에서 추천되는 검사법이다4). 이에 저자들은 CT 촬영으로 진단 및 치료 종결을 확인한 비부비동염 환자의 한방 치험 5례를 CT 촬영 소견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비부비동염이란 무엇인가? 만성 비부비동염은 한 개 이상의 부비동 점막의 비가역적 병변이 초래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1) 전 세계적으로 흔하게 진단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2). 최근 유럽이나 북미에서는 비폐색이나 농성 비루와 같은 주관적 증상을 진단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객관적인 근거로 비내시경을 통해 중비도의 부종이나 농성 비루, 혹은 비 용종을 확인하거나,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통해 부비강내 염증 소견을 확인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3).
CT검사가 비부비동염 환자에게 추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부비동염의 한의학적 치료법에 관한 기존 연구로는 실험 연구, 증례 보고, 임상 연구 등이 소수 있으나, 대부분 환자의 증상 호소에만 기반하여 진단하였고, 일부는 단순방사선 촬영으로 진단하여 치료결과를 확인하였다. CT는 부비동의 해부학적 구조, 연부조직의 변화, 부비동과 상악동구 복합과 안와 및 두개 내의 합병증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모든 연령대의 환자에서 추천되는 검사법이다4). 이에 저자들은 CT 촬영으로 진단 및 치료 종결을 확인한 비부비동염 환자의 한방 치험 5례를 CT 촬영 소견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 비부비동염의 진단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만성 비부비동염은 한 개 이상의 부비동 점막의 비가역적 병변이 초래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1) 전 세계적으로 흔하게 진단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2). 최근 유럽이나 북미에서는 비폐색이나 농성 비루와 같은 주관적 증상을 진단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객관적인 근거로 비내시경을 통해 중비도의 부종이나 농성 비루, 혹은 비 용종을 확인하거나,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통해 부비강내 염증 소견을 확인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aylor A. Sinusitis. Pediatr Rev. 2006;27:395-7. 

  2. Zacharisen M, Casper R. Pediatric sinusiti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5;25:313-32. 

  3. Leung RM, Chandra RK, Kern RC, Conley DB, Tan BK. Primary care and upfront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in the diagnosis of chronic rhinosinusitis: a cost-based decision analysis. Laryngoscope. 2014;124(1):12-8. 

  4. Leo G. Rhinosinusitis and associated disorders in children: an introduction. Pediatr Allergy Immunol. 2007;18(Suppl 18):5-6. 

  5. Messerklinger W. Endoscopy of the nose. Baltimore:Urban and Schwarzenberg. 1978:6-33. 

  6. Fokkens WJ, Lund VJ, Mullol J, Bachert C, Alobid I, Baroody F, et al. European Position Paper on Rhinosinusitis and Nasal Polyps 2012. Rhinol Suppl. 2012 ;23:1-298. 

  7. Chiapasco M, Felisati G, Zaniboni M, Pipolo C, Borloni R, Lozza P. The treatment of sinusitis following maxillary sinus grafting with the association of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FESS) and an intra-oral approach. Clin Oral Implants Res. 2013;24:623-9. 

  8. Benninger MS, Ferguson BJ, Hadley JA, Hamilos DL, Jacobs M, Kennedy DW, et al. Adult chronic rhinosinusitis: definitions, diagnosis, epidemiology, and pathophysiology.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29:S1-S32. 

  9. F Triulza, S Zirpoli. Imaging techniques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rhinosinusitis in children. Pediatr Allergy Immunol. 2007;18(Suppl 18):46?9. 

  10. Lee SJ, Shin SH, Kim CG, Ye MK, Chang HW.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variation of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iti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2;45(11):1069-72. 

  11. Pokharel M, Karki S, Shrestha BL, Shrestha I, Amatya RC. Correlations between symptoms, nasal endoscopy computed tomography and surgical findings in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Kathmandu Univ Med J (KUMJ). 2013;11(43):201-5. 

  12. Eggesbo HB. Radiological imaging of inflammatory lesions in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Eur Radiol. 2006;16(4):872-88. 

  13. Tahamiler R, Canakcioglu S, Ogreden S, Acioglu E. The accuracy of symptom-based definition of chronic rhinosinusitis. Allergy. 2007;62:1029?32. 

  14. Leung R, Chaung K, Kelly JL, Chandra RK. Advancements in computed tomography management of chronic rhinosinusitis. Am J Rhinol Allergy. 2011;25(5):299-302. 

  15. Leo G, Triulzi F, Incorvaia C. Diagnosis of chronic rhinosinusitis. Pediatr Allergy Immunol. 2012;23(22):20-6. 

  16. Bhattacharyya N, Fried MP. The accuracy of computer tomography in the diagnosis of chronic sinusitis. Laryngoscope. 2003;113:125-9. 

  17. Likness MM, Pallanch JF, Sherris DA, Kita H, Mashtare TL Jr, Ponikau JU. Computed tomography scans as an objective measure of disease severity in chronic rhinosinusit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150(2):305-11. 

  18. Pallanch JF, Yu L, Delone D, Robb R, Holmes DR 3rd, Camp J, et al. Threedimensional volumetric computed tomographic scoring as an objective outcome measure for chronic rhinosinusitis: clinical correlations and comparison to Lund-Mackay scoring. Int Forum Allergy Rhinol. 2013;3(12):963-72. 

  19. Russell PT, Bekeny JR. Oral antibiotics and the management of chronic sinusitis: what do we know?.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22(1):22-6. 

  20. Blanc PD, Trupin L, Earnest G, Katz PP, Yelin EH, Eisner MD. Alternative therapies among adults with a reported diagnosis of asthma or rhinosinusitis: data from a population-based survey. Chest. 2001;120:1461-7. 

  21. Rotenberg BW, Bertens KA.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therapies for chronic rhinosinusitis: a canadian perspective.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0;39(5):586-93. 

  22. Yakirevitch A, Bedrin L, Migirov L, Wolf M, Talmi YP. Use of alternative medicine in Israeli chronic rhinosinusitis patients.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9;38(4):517-20. 

  23. Newton JR, Santangeli L, Shakeel M, Ram B.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patients attending a rhinology outpatient clinic. Am J Rhinol Allergy. 2009;23(1):59-63. 

  24. Guo R, Canter PH, Ernst E. Herb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rhinosinusitis: a systematic review.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5(4):496-506. 

  25. Lee SG. New Korean Medicine Clinical Otolaryngology. 1st ed. Seoul:Jung dam publishing. 2007:57, 68, 92, 98, 116, 138, 145. 

  26. Kim JH, Kim TB, Chae BY. 12 Cases of Paranasal Sinusitis by Oriental Medicine. J Korean Med. 1994;19(2):113-21. 

  27. Lee HJ, Park EJ. A Clinacal Study on the Herbal Medicine Therapy Treating Pediatric Chronic Sinusitis and Otitis Media. J Pediatr Korean Med. 1999;13(1):205-26. 

  28. Kim JB. Oriental Medical pathology and clinical treatment in throat pain. Korean J Oriental Medical Pathology. 1996;10(2):41-9. 

  29. Park MC, Hong SU. The Effects of Sunbanghwalmyung-eum Extract on Acute Sinusitis-induced Mouse. J Korean Oriental Med 2009;30(2):133-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