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추 및 포도 발효물의 생리활성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Jujube and Grape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2 no.2, 2014년, pp.106 - 113  

박태순 ((재)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방화장품개발팀) ,  김동희 ((재)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방화장품개발팀) ,  권오준 ((재)대경지역산업평가원) ,  손준호 ((재)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방화장품개발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추 및 포도를 이용하여 고부가가치성 소재 개발 및 특화작물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이들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와 초산 발효를 한 후 발효물들의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결과 초산 발효물보다 알코올 발효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대추의 알코올 발효물이 다른 발효물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 측정결과 또한 대추의 알코올 발효물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나, immunofluorecence를 이용한 미백효과측정결과 대추의 초산 발효물이 미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대추 및 포도의 발효물들은 대식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생성된 nitric oxide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알코올 발효물이 초산 발효물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발효물들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포도의 초산 발효물이 Propionibacterium acne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포도의 알코올 발효물과 대추의 알코올 발효물이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 consumables utilizing jujube and grape,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a variety of existing fermentation products of jujube and grape. The results revealed that ethanol fermentation products of jujube and grape had a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대추 및 포도는 이들을 이용한 발효물에 대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대추 및 포도를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와 초산 발효를 하여 생리활성 탐색을 통해 대추 및 포도의 고부가가치성 소재 개발 및 특화작물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들은 무엇인가? 포도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가치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atechin, (−)-epicatechin, procyanidin, viviferin 및 resveratrol 등의 polyphenol 물질들이 포도의 주요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포도 과피와 종자 추출물의 oral tumor cell에 대한 세포독성, proanthocyanidin의 free radical 소거능, 포도 종자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ic fraction의 antitumor 촉진활성, 그리고 resveratrol의 암세포성장 억제 등의 생리활성 연구가 진행되었다[1, 20, 22, 28, 33]. 그러나 대추 및 포도는 이들을 이용한 발효물에 대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약용 및 식용 작물들이 발현하는 다양한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에서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방식은? 그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약용 및 식용 작물들이 발현하는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4]. 특히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발효는 최근 상당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일부 또는 다수의 유효성분이 대부분 당이 붙은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럴 경우에는 체내 흡수에 지장이 있어 발효를 하면 당이 떨어져 나가면서 저분자화 되어 체내 흡수율이 증가되고, 새로운 활성 성분의 생성, 독성의 감소, 풍미의 향상 및 저장성 향상, 식물섬유소의 활성 증진 등 많은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17, 23, 29].
포도란? 포도는 갈매나무목(Rhamnales) 포도나무과(Vitaceae)에 속하는 나엽성 덩굴식물로, 포도나무과에는 11속, 700여종의 포도가 있다12. 포도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가치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gchi D, Garg A, Krohn RL, Bagchi M, Tran MX, Stohs SJ. 1997. Oxygen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vitamins C and E, and a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in vitro. Res. Commun. Mol. Pathol. Pharmacol. 95: 179-189. 

  2. Bal JS, Jawanoda JS, Singh SN. 1979. Development physiology of ber (Zizyphus mauritina) var. urman. IV. Change in amino acids and sugar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t different stages of fruit ripening. Ind. Food. Pack. 33: 3335-3337.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120. 

  4. Busca R, Ballotti R. 2000.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 Cell Res. 13: 60-90. 

  5.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6. Conner DE, Beuchat LR. 1984. Sensitivity of heat-stressed yeasts to essential oils of plants. Appl. Environ. Microbiol. 47: 229-233. 

  7. Han HS, Park JH, Choi HJ, Son JH, Kim YH, Kim S, et al. 2004. Biochemical analysi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erilla leaves. Korean J. Food Culture. 19: 94-105. 

  8. Hong JY, Nam HS, Shin SR. 2010. Chang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17: 712-719. 

  9. Imokawa G, Mishima Y. 198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and their differential action on melanogenic subcellular compartments in amelanotic and melanomas. Br. Japan Dermatol. 103: 625-633. 

  10. Imokawa G, Mishima Y. 1981.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using tyrosinase binding affinity chromatography. Br. Japan Dermatol. 104: 531-539. 

  11. Kameyama KC, Sakai C, Kuge S, Nishiyama S, Tomita Y, Ito S, et al. 1995.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s 1 and 2 (TRP 1 and TRP 2), the silver protein, and a melanogenic inhibitor in human melanoma cells of differing melanogenic activies. Pigm. Cell Res. 8: 97-104. 

  12. Kim WS. 1995. Grape processing industries. In New Cultivation Method of Grape, pp. 58-92. Munun Publishing Co, Seoul. 

  13. Krigaya N, Kato H, Fujimaki M. 1971. Studieson antioxidant activity of nonenzym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Part III. Fractionation of browning reaction solution between ammonia and D-glucos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resulting fractions. J. Agric. Chem. Soc. Japan 45: 292-298. 

  14. Kwon OW, Kim CH, Kim HS, Kwon MC, Ahn JH, Lee HJ, et al. 2007. Comparison of immuno modulatary and anticanc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arts of the Styrax japonica Sieb. et Zucc. Korean J. Med. Crop Sci. 15: 170-176. 

  15.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6. Moncada S, Palmer RM, Higgs EA. 1991.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 109-142. 

  17. Na HS, Kim KS, Lee MY. 1996.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the Hepeatoxicity in CCl4-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93-855. 

  18. Nathan C, Xie QW. 1994. Nitric oxide synthases: roles, tolls and controls. Cell 78: 915-918. 

  19. Okamura N, Nohara T, Yagi A, Nishioka I. 1981. Studies of dammarane-type saponin of Zizyphus fructus. Chem. Pharm. Bull. 29: 675-683. 

  20. Palma M, Taylor LT. 1999. Extraction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grape seeds with near critical carbon dioxide. J. Chromatogr. A. 849: 117-124. 

  21. Park JG, Kramer BS, Steinberg SM, Carmichael J, Collins JM, Minna JD, et al.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 tri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22. Piver B, Berthou F, Dreano Y, Lucas D. 2001. Inhibition of CYP3A, CYP1A and CYP2E1 activities by resveratrol and other non volatile red wine components. Toxicol. Lett. 125: 83-91. 

  23. Pryor WA. 1986. Oxy-radicals and related species : their formation, lifetimes, and reactions. Annu. Rev. Physiol. 48: 657-667. 

  24. Rhee YK, Kim DH, Han MJ. 1998. Inhibitory effect of Zizyhi frutus on glucuronidase and tryptophanase of human intes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99-205. 

  25.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i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 1231-1237. 

  26. Saha B, Singh SK, Sarkar C, Bera R, Ratha J, Tobin DJ, et al. 2006. Activation of the Mitf promoter by lipid-stimulated activation of p38-stress signalling to CREB. Pigm. Cell Res. 19: 595-605. 

  27. Sassone-Corsi P. 1998. Coupling gene expression to cAMP signalling: role of CREB and CREM. Int. J. Biochem. Cell Biol. 30: 27-38. 

  28. Shirataki Y, Kawase M, Saito S, Kurihara T, Tanaka W, Satoh K, et al. 2000. Selective cytotoxic activity of grape peel and seed extracts against oral tumor cell lines. Anticancer Res. 20: 423-426. 

  29. Shon MY.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l Mushrooms. Food Ind. Nutr. 12: 51-57. 

  30.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ngarajan M, LaVoie EJ, et al. 1999.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62: 454-456. 

  31.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32. Yamaguchi N. 1969. Studies on the browning reaction products from reducing sugars and amino acids, Part IX.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several reductones. J. Japanese Soc. Food Sci. Technol. 16: 140-144. 

  33. Zhao J, Wang J, Chen Y, Agarwal R. 1999. Anti-tumor-promoting activity of a polyphenolic fraction isolated from grape seeds in the mouse skin two-stage initiation-promotion protocol and identification of procyanidin B5-3'-gallate as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constituent. Carcinogenesis 20: 1737- 1745. 

  34. Zryaev R, Irgasheve T, Israilov IA, Abdullaev ND, Yunusov MS, Yunusov S. 1977. Alkaloids of Zizyphus jujuba structure of yuziphine and yuzirine. Khim. Prir. Soedin. 2: 239-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