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추 및 발효대추의 라디칼 소거능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Zizyphus jujuba and Fermented Zizyphus jujuba from Free Radicals and Hair Lo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174 - 1180  

정지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조은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추와 5개의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대추의 total polyphenol 함량과 in vitro에서의 radical 소거능을 검토한 결과 대추에 비해 발효대추에서의 total polyphenol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DPPH와 OH의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발효시킨 대추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에 대추 추출물과 Sac. cerevisiae로 발효시킨 대추 추출물을 이용하여 C57BL/6N 탈모 마우스실험 모델 하에서 발모 성장 촉진 효과 및 탈모 예방 효과를 검토하였다. 제모 후 EtOH 도포군에서는 거의 발모가 진행되지 않았으나 Zizyphus jujuba(Zj) 도포군과 Sac. cerevisiae-fermented Zj(Zj-Y) 도포군에서는 전체적으로 발모가 진행되었고, 모발의 성장 속도는 minoxidil 도포군>Zj-Y 도포군> Zj 도포군> EtOH 도포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발적인 탈모에 대한 예방 효과도 대추, 특히 발효대추 도포군에서 우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대추에 비해 발효대추, 특히 Sac. cerevisiae로 발효시킨 대추가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며, 발모 촉진 효과 및 탈모예방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hair growth-promoting activities of Zizyphus jujuba (Zj) and fermented Zj with Aspergillus oryzae, Bacillus subtilis, Bifidobacterium breve,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Sac. cerevisiae). Among Zj and fermented Zjs, Sac. ce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최근 들어 발효과정을 이용해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의 효능이 우수한 미용 두피 제품의 개발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추 및 이들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대추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 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riterpenoid는 어떤 효과가 있는 물질인가? 대추(Zizyphus jujuba MILLER)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오랫동안 한방에서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진통, 항암, 해열, 진정, 지혈, 자강, 면역증강, 항산화, 항염증 등의 약리적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대추에는 alkaloid, saponin, triterpenoid, polyphen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triterpenoid는 중요한 활성물질의 하나로서 세포독성, 항균, 항염 등의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0).
대추의 효능은 무엇인가? 대추(Zizyphus jujuba MILLER)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오랫동안 한방에서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진통, 항암, 해열, 진정, 지혈, 자강, 면역증강, 항산화, 항염증 등의 약리적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대추에는 alkaloid, saponin, triterpenoid, polyphen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triterpenoid는 중요한 활성물질의 하나로서 세포독성, 항균, 항염 등의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0).
탈모증의 치료약물로 처방되고 있는 미녹시딜과 경구치료제인 프로페시아 등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탈모증은 환자수의 증가와 사회적인 관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그 치료 방법이 매우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치료약물로는 국소도포제인 미녹시딜과 경구치료제인 프로페시아 등이 처방되고 있으나 수반되는 부작용인 심혈관계 장애, 피부 자극, 성 기능 감소 및 심각한 기형유발 등의 이유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어 보다 안전하고 환자들에게 거부감 없는 천연물 유래의 발모제의 개발이 시급하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YS, Kim JY. 2006. A study on hair care of alopecia man and stress. J Korean Soc Cosmetol 12: 67-78. 

  2. Tobin DJ, Paus R. 2001. Graying: gerontobiology of the hair follicle pigmentary unit. Exp Gerontol 36: 29-54. 

  3. Tobin DJ, Hagen E, Botchkarev VA, Paus R. 1998. Do hair bulb melanocytes undergo apoptosis during hair follicle regression (catagen). J Invest Dermatol 111: 941-947. 

  4. Hagemann T, Schlutter-Bohmer B, Allam JP, Bieber T, Novak N. 2005. Positive lymphocyte transformation test in a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f the scalp after short-term use of topical minoxidil solution. Contact Dermatitis 53: 53-55. 

  5. Herman EH, Zhang J, Chadwick DP, Ferrans VJ. 1996. Age dependence of the cardiac lesions induced by minoxidil in the rat. Toxicology 110: 71-83. 

  6. Nguyen KH, Marks JG Jr. 2003. Pseudoacromegaly induced by the long-term use of minoxidil. Am Acad Dermatol 48: 962-965. 

  7. Yu TJ. 1999. Food Dongeuibogam. Academibook, Seoul, Korea. p 138-140. 

  8. Kim HK, Joo KJ. 2005. Antioxidative capac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methanol extract from Zizyphus juju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0-754. 

  9.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10. Lee SM, Park JG, Lee YH, Lee CG, Min BS, Kim JH, Lee HK. 2004.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triterpenoides from fruits of Zizyphus jujube. Biol Pharm Bull 27: 1883-1886. 

  11. Hubert J, Berger M, Nepveu F, Paul F, Dayde J. 2008. Effects of fermentation on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y germ. Food Chem 109: 709-721. 

  12. Oboh G, Alabi KB, Akindahunsi AA. 2008. Fermentation changes the nutritive values, polyphenol distribu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arkia biglobosa seeds (African locust beans). Food Biotechnol 22: 363-376. 

  13. Park MJ, Han JS. 2013. Protective effects of the fermented Laminaria japonica extract on oxidative damage in LLCPK1 cells. Prev Nutr Food Sci 18: 227-233. 

  14. Chou ST, Chung YC, Peng HY, Hsu CK. 2013. Improving antioxidant status in aged mice by 50% ethanol extract from red bean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J Sci Food Agric 93: 2562-2567. 

  15. Chung SH, Kim IH, Park HG, Kang HS, Yoon CS, Jeong HY, Choi NJ, Kwon EG, Kim YJ. 2008. Synthesi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by human-derived Bifidobacterium breve LMC 017: utilization as a functional starter culture for milk fermentation. J Agric Food Chem 56: 3311-3316. 

  16. Lima IF, De Dea Lindner J, Soccol VT, Parada JL, Soccol CR. 2012.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nutraceutical fermented beverage from herbal mate (Ilex paraguariensis A.St.-Hil.) extract. Int J Mol Sci 13: 788-800. 

  17. Nyanga LK, Nout MJ, Gadaga TH, Theelen B, Boekhout T, Zwietering MH. 2007. Yeasts and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ta from masau (Ziziphus mauritiana) fruits and their fermented fruit pulp in Zimbabwe. Int J Food Microbiol 120: 159-166. 

  18. Shen YB, Carroll JA, Yoon I, Mateo RD, Kim SW. 2011. Effects of supplementing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entation product in sow diets on performance of sows and nursing piglets. J Anim Sci 89: 2462-2471. 

  19. Choi JH, Kim HM, Song YS, Park SG, Kim JJ, Lee CK. 2007.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cosmetic product containing of Saccharomyces fer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 on human skin. Korean J Herbol 22: 227-232. 

  20. Jung YJ, Han DO, Choi BH, Park C, Lee H, Kim SH, Hahm DH. 2007.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Korean J Orental Pysiol Pathol 21: 387-391. 

  2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ohomd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22. Hatano T, Edamatsu R, Hiramatsu M, Mori A, Fujita Y, Yasuhara T, Yoshida T, Okuda T. 1989.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VI.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2016-2021. 

  23. Chung SK, Osawa T, Kawakishi S. 1997. Hydroxyl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J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24. Datta K, Singh AT, Mukherjee A, Bhat B, Ramesh B, Burman AC. 2009. Eclipta alba extract with potential for hair growth promoting activity. J Ethnopharmacol 124: 450-456. 

  25. Sundberg JP, King LE Jr. 1996. Mouse models for study of human hair loss. Dermatol Clin 14: 619-632. 

  26. Duthie G, Crozier A. 2000. Plant-derived phenolic antioxidant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3: 447-451. 

  27. Ferreres F, Gomes D, Valentao P, Goncalves R, Pio R, Chagas EA, Seabra RM, Andrade PB. 2009. Improved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Food Chem 114: 1019-1027. 

  28. Kim NM, Lee JW, Do JH, Park CK, Yang JW. 2005.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y of the vegetable fermented broth. Korean J Med Crop Sci 13: 293-299. 

  29. Hyon JS, Kang SM, Han SW, Kang MC, Oh MC, Oh CK, Kim DW, Jeon YJ, Kim SH. 2009.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dis osbeck pe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10-1316. 

  30. Zhu YP, Fan JF, Cheng YQ, Li LT. 2008. Improvement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traditional fermented okara (Meitauza) using Bacillus subtilis B2. Food Control 19: 654-661. 

  31. Ahn SC, Kim MS, Lee SY, Kang JH, Kim BH, Oh WK, Kim BY, Ahn JS. 2005. Increase of bioactive flavonoid aglycone extractable from Korean citrus peel by carbohydrate-hydrolysing enzym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 288-294. 

  32. Hyon JS, Kang SM, Han SW, Kang MC, Oh MC, Oh CK, Kim DW, Jeon YJ, Kim SH. 2009.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dis osbeck pe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10-1316. 

  33. Messenger AG. 1994. The control of hair growth and pigmentation. In Disorders of Hair Growth. McGraw-Hill, New York, NY, USA. p 9-58. 

  34. Jung JE. 2011. Protective effects of Zizyphus jujuba and fermented Zizyphus jujuba from oxidative stress, recognition impairment and hair los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84-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