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257 - 1263
정상화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정아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인환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병희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Different fat extraction methods such as the Rose-Gottlieb, Folch, and hydrolytic method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fatty acid contents of milk powder. Content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s by the Rose-Gottlieb, Folch, and hydrolytic methods were 8.578, 8.302, and 8.711 g/100 g milk powder w...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지방의 특징은 무엇인가? | 또한 지용성 성분의 운반체, 생리활성물질의 전구체 역할을 한다. 특히 지방은 자연계에서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에스테르결합을 한 중성지방(triacylglycerol, TAG) 형태로 대부분 존재하는데 중성지방을 이루는 지방산은 탄소수와 이중 결합수 및 이중결합의 위치에 따라 성질이 다양하며 그중 다가불포화지방산인 docosahexaenoic acid(DHA, C22:6) 이나 eicosapentaenoic acid(EPA, C20:5)는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액이 뭉쳐 생기는 혈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뇌질환이나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이처럼 지방은 인체나 식품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최근 지방 섭취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 |
지방이란 무엇인가? | 식품 중 지방(fat&oil)은 주요 에너지원으로 9 kcal/g을 제공하고 우리 몸에 축적되어 인체 다양한 곳에서 구성성분으로 작용하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 또한 지용성 성분의 운반체, 생리활성물질의 전구체 역할을 한다. | |
동물성 식품군에서의 지방 섭취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 8%로 감소하고 특히 동물성 식품군에서의 지방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3). 이는 밥 중심의 전통 식단에서 서구화 식단 변화와 빠른 경제 성장으로 인한 편의성 추구, 외식상업의 의존율 또한 높아져 서구 식생활의 비중이 증가된 것을알 수 있다. 이렇듯 지방의 섭취가 증가하면서 비만 및 만성질환의 위험성까지 커지고 있으며, 2011년 국민영양조사에서 비만은 전체 31. |
Lee JY.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lignan compounds in roasted sesame oil on the oil oxidation and contents changes during manufacturing and storage of roasted sesame oil.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Lim JG. 2002. Nutrition. Shinjeong, Seoul, Korea. p 82-118.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ungbuk, Korea. p 38-58.
Jeong EY, Park SB, Seo OJ, Song JC. 2009.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and intake of trans fat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Ulsan area. Korean J Food & Nutr 22: 409-415.
Jang JH, Jeon MS, Lee KT. 2009.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ldren's favorite foods in Daejeon area.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6: 211-217.
KFDA. 2013.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0-21.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chem 226: 497-502.
AOAC. 2012.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9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ter 41, p 20-25.
Moon JH, Hwang YI, Lee KT. 2009. Study on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fatty acids, and triacylglycerol separation of seed oils. Korean J Food Preserv 16: 726-73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