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초음파를 처리한 당근에서 저장 중 Bacillus cereus 균의 생육 예측모델
Predictive Modeling of Bacillus cereus on Carrot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Ultrasonication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296 - 1303  

김선영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오덕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과채류나 즉석섭취식품과 같은 비가열처리식품 중 당근에 존재하는 B. cereus 균은 토양세균의 일종으로 내열성 포자를 생성하여 다른 식중독 균보다 어느 표면이든 잘 들러붙어 세척과 소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식품위생 및 품질에 민감히 대처하기 위해 비가열 세척 처리기술과 미생물의 생육을 수학적으로 기술하여 예측함으로써 위해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예측 미생물학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가열 세척 처리 방법 중 초음파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하여 병용 처리한 후 최적조건으로 병용 처리한 당근을 시간과 온도에 따른 생육 변화를 통해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초음파를 병용 처리하여 B. cereus 균 저감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초음파 단독 처리 시 400 W/L, $40^{\circ}C$, 3분 조건에서 2.87 log CFU/g의 살균 효과를 나타내 가장 좋은 최적조건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B. cereus 균을 접종한 당근에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병용 처리를 하였을 때 3.1 log CFU/g의 저감화를 나타내었다. 최적조건으로 병용 처리한 당근을 각각 다른 온도(5, 10, 15, 20, 25, 30, $34^{\circ}C$)에서 저장 중의 B. cereus 균 생육 변화와 예측모델을 개발한 결과, modified Gompertz model은 B. cereus 균 생육 변화를 예측하는 데 매우 적합($R^2$은 0.9918~0.9992)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SGR값은 증가하였고 LT값은 감소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 모델을 개발하여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예측값과 측정값이 모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면 1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 Bias factor($B_f$)와 Accuracy factor($A_f$)가 SGR은 1.00, 1.03, LT는 1.02, 1.05로 각각 나타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의 의미는 초음파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하여 당근에서 B. cereus의 저감화 기술 및 저장 중 생육 변화를 실시간으로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식품의 가공 및 저장 중의 품질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 품질 저하를 위생적으로 안전한 저장 및 유통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redictive models for the growth of Bacillus cereus on carrot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cEW) and ultrasonication (US)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In addition, the inactivation of B. cereus by US with SAcEW was investigated. US tr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5로 각각 나타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의 의미는 초음파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하여 당근에서 B. cereus의 저감화 기술 및 저장 중 생육 변화를 실시간으로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식품의 가공 및 저장 중의 품질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 품질 저하를 위생적으로 안전한 저장 및 유통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초음파 단독 또는 병용 처리에 의한 당근에 접종된 B. cereus 균의 제어 및 생육예측모델 개발을 통해 신선편의 식품의 가공 및 저장 중의 품질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여 신선도를 높이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저장 및 유통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성 미생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중 신선 채소류는 일반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신선한 상태로 섭취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이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품 안전성의 위협이 될 수 있다(1). 병원성 미생물은 채소를 씻는 과정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아 식중독 사고를 발생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으며,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등이 채소류와 같은 신선 농산물과 관련하여 식중독 사고 및 국민의 건강상의 문제에 크게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B. cereus 균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B. cereus 균은 토양세균의 일종으로 생활환경을 비롯하여 토양, 수중, 공기, 식물표면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한다. 이 균의 증식온도는 5~50°C(최적발육온도 30~37°C)이며, 135°C에서 4시간 가열해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포자를 생성하여 다른 식중독 균보다 어느 표면이든 잘 들러붙어 세척과 소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B. cereus 균의 증식온도는? cereus 균은 토양세균의 일종으로 생활환경을 비롯하여 토양, 수중, 공기, 식물표면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한다. 이 균의 증식온도는 5~50°C(최적발육온도 30~37°C)이며, 135°C에서 4시간 가열해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포자를 생성하여 다른 식중독 균보다 어느 표면이든 잘 들러붙어 세척과 소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uchat LR. 1996.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 204-216. 

  2. Burnett SL, Beuchat LR. 2001.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Microbiol Biotechnol 27: 104-110. 

  3. Vernam AH, Evans MG. 1991. Bacillus. In Foodborne Pathogens: An Illustrated Text. Wolfe Publishing Ltd., London, UK. p 267-288. 

  4. Bea YM, Hong YJ, Kang DH, Heu SG, Lee SY. 2001.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1-168. 

  5. Kang JH, Park JY, Oh DH, Song KB. 2012.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V-C or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in chico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32-1638. 

  6. Koide S, Takeda J, Shi J, Shono H, Atungulu GG. 2009.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fresh cut cabbage. Food Control 20: 294-297. 

  7. Kim C, Hung YC, Brackett RE. 2000.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EO)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on different types of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61: 199-207. 

  8. Kim DH, Kim SM, Kim HB, Moon KD. 2012. Effects of optimized co-treatment conditions with ultrasound and low-temperature blanching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n the browning and quality of fresh-cut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9: 470-476. 

  9. Ajlouni S, Sibrani H, Premier R, Tomkins B. 2006. Ultrasonication and fresh produce (cos lettuce) preservation. J Food Sci 71: M62-M68. 

  10. Zhou B, Feng H, Luo Y. 2009. Ultrasound enhanced sanitizer efficacy in reduction of Escherchia coli O157:H7 population on spinach leaves. J Food Sci 74: 308-313. 

  11. Ugarte-Romero E, Feng H, Martin SE. 2007. Inactivation of Shigella boydii 18 IDPH and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with power ultrasound at different acoustic energy densities and temperatures. J Food Sci 72: 103-107. 

  12. Jin Y, Kim TW, Ding T, Oh DH. 2009.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itric acid on quality enhancement and microbial inhibition in head lett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8-586. 

  13. Forghani F, Rahman SME, Park MS, Park JH, Park JY, Song KB, Oh DH. 2013. Ultrasonication enhanced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efficacy on bacteria inactivation and shelf life extension on lettuce. Food Sci Biotechnol 22: 131-136. 

  14. Huang TS, Xu C, Walker K, West P, Zhang S, Weese J. 2006. Decontamination efficacy of combined chlorine dioxide with ultrasonication on apples and lettuce. J Food Sci 71: 134-139. 

  15. Rahman SME, Ding T, Oh DH. 2010. Inactivation effect of newly developed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and other sanitizers against microorganisms on spinach. Food Control 21: 1383-1387. 

  16. Garcia ML, Burgos J, Sanz B, Ordonez JA. 1989. Effect of heat and ultrasonic waves on the survival of two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J Appl Bacteriol 67: 619-628. 

  17. Ding T, Rahman SME, Purev U, Oh DH. 2010. Modelling of Escherichia coli O157:H7 growth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on beef treated with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J Food Eng 97: 497-503. 

  18. Koseki S, Isobe S. 2005. Prediction of pathogen growth on ice berg lettuce under real temperature history during distribution from farm to table. Int J Food Microbiol 104: 239-248. 

  19. Koseki S, Itoh K. 2001. Prediction of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vegetables treated with acidic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J Food Prot 64: 1935-1942. 

  20. Cao S, Hu Z, Pang B, Wang H, Xhi H, Wu F. 2010. Effect of ultrasound on fruit decay and quality maintenance in strawberry after harvest. Food Control 21: 529-532. 

  21. Kim DH, Kim SM, Kim HB, Moon KD. 2012. Effects of optimized co-treatment conditions with ultrasound and lowtemperature blanching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n the browning and quality of fresh-cut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9: 470-476. 

  22. Kim GH, Park BG, Kim HN, Park JH, Park MS, Park JY, Song KB, Oh DH. 2012. Effect of microbial inhibition and change of chromaticity on the raw materials of Saengsik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830-1841. 

  23. Wang J, Rahman SME, Park MS, Park JH, Oh DH. 2012. Modeling the response of Listeria monocytogenes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in pork with/without electrolyzed water treatment. Food Sci Biotechnol 21: 1549-1555. 

  24. Sheen S, Hwang CA, Juneja VK. 2011. Modeling the impact of chlorine on the behavior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ready-to-eat meats. Food Microbiol 28: 1095-1100. 

  25. te Giffel MC, Zwietering MH. 1999. Validation of predictive models describing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t J Food Microbiol 46: 135-149. 

  26. Guiomar D, Fernando PR, Francisco LG, Ana A, Maria IG, Gonzalo Z. 2014. Modeling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fresh-cut lettuce treated with neutral electrolyzed water and unde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Int J Food Microbiol 177: 1-8. 

  27. Ross T. 1996. Indice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dictive models in food microbiology. J Appl Bacteriol 81: 501-508. 

  28. Mansur AR, Wang J, Park MS, Oh DH. 2014. Growth mode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on kale treated by thermosonication combin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J Food Prot 77: 2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