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나무 분말 첨가가 돼지생산성, 도체특성, 혈액성상, 돈분의 가스발생량 및 미생균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mboo Powder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attening Pigs and Gas Emission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Pig Manure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8, 2014년, pp.1429 - 1436  

송영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조재현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  추교문 (농협사료 부산바이오) ,  김회윤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이재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김승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김삼철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Plus,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n = 40 pigs/treatment) with bamboo powder (0, 1, 2 and 3%) for 38 days. We evaluated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attening pigs and gas emission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pig manu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나무 분말을 양돈 사료내에 첨가급여가 돼지생산성, 혈액성상, 도체특성 및 돈분의 가스 발생량과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환경경영적 측면에서 양돈경영자에게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생체중(일령 140±1일) 77.
  •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 분말을 양돈 사료내 첨가 급여가 돼지생산성, 혈액성상, 도체특성 및 돈분의 가스 발생량과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환경경영적 측면에서 양돈경영자에게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대나무 잎 분말과 추출물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생리활성 물질과 약리작용과 관련하여 대나무 잎 추출물의 주요성분은 flavonoid, phenolic compounds 및 anthraquinones로 알려져 있다(Lou과 Chen, 2003; Lu과 Liao, 2003). 현재 대나무 잎 분말과 추출물은 화장품의 미백원료, 식품 첨가물 그리고 약제의 중간물질로 이용되고 있다(Song 등, 2007). 따라서 대나무 분말 이용은 양돈 사료내에 첨가 급여 할 경우 경영적 측면에서 양돈의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대나무란? 이러한 맥락에서 대나무 잎과 추출물 이용은 flavonoid 성분이 많아 항산화, 항균성, 항박테리아 및 항암 작용에 탁월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Kim 등, 1996). 특히, 대나무는 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이며, 대표적인 것으로 왕대(참대, Phyllostachs reticulate koch),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조릿대(Sasa borealis Hack. Makino) 및 신의대(Sasa coreana Nakai)로 구분된다(Kim 등, 1996; Song 등, 2007). 생리활성 물질과 약리작용과 관련하여 대나무 잎 추출물의 주요성분은 flavonoid, phenolic compounds 및 anthraquinones로 알려져 있다(Lou과 Chen, 2003; Lu과 Liao, 2003).
대나무 잎과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인 flavonoid 성분의 기능성은? 이것은 우리국민의 복지수준과 식생활 수준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이를 응용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나무 잎과 추출물 이용은 flavonoid 성분이 많아 항산화, 항균성, 항박테리아 및 항암 작용에 탁월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Kim 등, 1996). 특히, 대나무는 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이며, 대표적인 것으로 왕대(참대, Phyllostachs reticulate koch),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조릿대(Sasa borealis Hack.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en, A., Liao, P. H., Lo, K. L., 1994, Headspace analysis of malodorous compounds from swine wastewater under aerobic treatment. Bioresource Technology, 49, 83-87. 

  2. Choi, I. H., Moore, P. A. Jr., 2008, Effect of liquid aluminum chloride additions to poultrylitter on broiler performance, ammonia emissions, soluble phosphorus, total volatile fattyacids, and nitrogen contents of litter. Poultry Science, 87, 1955-1963. 

  3. Chu, G. M., Kim, J. H., Kang, S. N., Song, Y. M., 2013a, Effects of dietary bamboo charcoal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fattening pigs.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33, 348-355. 

  4. Chu, G. M., Kim, J. H., Kim, H. Y., Ha, J. H., Jung, M. S., Song, Y., Cho, J. H., Lee, S. J., Ibrahim, R. I. H., Lee, S. S., Song, Y. M., 2013b, Effects of bamboo charcoal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and noxious gas emission in fattening pigs. Journal of Applied Animal Resource, 41, 48-55. 

  5. Harapin, I., Bedrica, L., Hahn, V., Sostaric, B., Gracner, D., 2003,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in blood of wild boar (Sus scrofa ferus). Veterinariski Arhiv. 73, 333-343. 

  6. Kim, M. J., Byun, M. W., Jang, M. S., 1996,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Sasa coreana Nakai) lea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5, 135-142. 

  7. Lu, Z. K., Liao, W., 2003, Preliminary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for leaves of Phllostachys pubescens. Journal of Shenyang Pharmaceutical University, 26, 46. 

  8. Luo, J. Y., Chen, X. Y., 2003, Study on extracting tea polyphenols from leaf of Indocalamus. Chemistry and Industty of Forest Products, 37, 15. 

  9. Mackie, R. I., Stroot, P. G., Varel, V. H., 1998, Biochemical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origin of key odor components in livestock waste. Journal of Animal Science, 76, 1331-1342. 

  10. Marschall, V. M., Cole, W. M., 1983, Threonin aldol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acyivity in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their contribution to flavour production in fermented milks. Journal of Dairy Research, 50, 375-379. 

  11. Reece, F. N., Bates, B. J., Lott, F. F., 1979, Ammonia control in broiler houses. Poult. Sci. 58:754-755. 

  12. SAS, 2000, SAT/STAT Software for PC. Release 8.2, SAS Institude Inc., Cary, NC, USA. 

  13. Smith, D. R., Moore, P. A. Jr., Haggard, B. E., Maxwell, C. V., Daniel, T.C., VanDevander, K., and Davis, M. E., 2004, Effect of aluminum chloride and dietary phytase on relative ammonia losses from swine manure. Journal of Animal Science, 82, 605-611. 

  14. Song, H. S., Moon, H. J, Park, B. E., Choi, B. S.,, Lee, D. J., Lee, J. Y., Kim, C. J., Sim, S. S.,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bamboo extracts. Yakhak Hoeji, 51, 500-507. 

  15. Yamauchi, K., Ruttanavut, J., Takenoyama, S., 2010, Effects of dietary bamboo charcoal powder including vinegar liquid on chicken performance and histological alterations of intestine. Journal of Animal and Feed Sciences, 19, 257-268. 

  16. Zahn, J. A., DiSpirito, A. A. Do, Y. S. Brooks, D. E., Cooper, E. E, Hatfield, J. L., 2001, Correlation of human olfactory responses to airborne concentrations of mal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swine effluent.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0, 624-634. 

  17. Zahn, J. A., Hatfield, J. L., Do, Y. S., DiSpirito, A. A., Laird, D. A., Pfeiffer, R. L., 1997,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organic emissions and wastes from a swine production fac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6, 1687-16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