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2010년 3월부터 11월, 2012년 6월에 낙동강 수계 감천일대에서 흰수마자의 서식지 환경특성 및 개체군 생태를 조사하였다. 흰수마자의 미소서식처의 환경조건은 유속 0.11~0.44 (
Population ecology of Gobiobotia naktongensis was investigated at the Gamcheon stream, Nakdonggang River in Korea from March to November in 2010 and June in 2012. It mainly inhabited on the slow-flowing waters 0.11~0.44 m/s (mean: 0.32) and shallow depth 11~69 cm (mean: 28). As a result of the sieve analysis, size of the particles in the stream bottom beds consisted of 1.71% (>3.35 mm), 71.3% (>0.500 mm) and 26.9% (>0.106 mm). The standard length of the population indicated that the age for 25~30 mm group is one 31~41 mm group is two and longer than 42 mm group over three (May in 2010).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ne to July with water temperatures ranging from 28.0 t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흰수마자의 서식환경은 하천 공사나 골재채취로 인해 그 서식처가 축소되거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종에 대한 보호 대책 마련이 시급하지만 기초 생물학적 연구 자료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하여 감소되고 있는 흰수마자의 복원 및 보호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개체군 | 개체군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같은 시기, 같은 지역에서 함께 살아가는 동일한 생물종들의 집단을 의미
개체군 (population)은 같은 시기, 같은 지역에서 함께 살아가는 동일한 생물종들의 집단을 의미하며, 개체군 생태학 (population ecology)은 그 개체군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고, 그 개체군과 그들 주변의 환경 사이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Campbell et al., 2006; Sahotra and Plutynski, 2010). |
흰수마자 | 흰수마자는 어디에 서식한다고 보고되었는가? |
경북 영주와 경남 함양 (Mori, 1935), 경북 안동 (Uchida, 1939)에서 서식이 알려진 후 낙동강 본류와 지류, 금강, 임진강, 한강에서도 서식함이 보고되었다
잉어과 (Cyprinidae) 모래무지아과 (Gobioninae)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는 전장 6~10 cm인 소형 어류로서 Mori (1935)가 낙동강의 영주와 함양에서 채집하여 신종으로 보고한 한국고유종이다. 본 종에 대해서는 Uchida (1939)에 의해서 형태적 특징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었고 경북 영주와 경남 함양 (Mori, 1935), 경북 안동 (Uchida, 1939)에서 서식이 알려진 후 낙동강 본류와 지류, 금강, 임진강, 한강에서도 서식함이 보고되었다 (손, 1983; 김, 1985; 최, 1985; 양과 권, 1992; 채, 1996; 채와 이, 1999a, b; 변, 2001; 장 등, 2001; 홍과 박, 2001; 강 등, 2004; 손과 박,2004; 국립생물자원관, 2011). |
흰수마자 | 흰수마자란 무엇인가? |
잉어과 (Cyprinidae) 모래무지아과 (Gobioninae)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는 전장 6~10 cm인 소형 어류로서 Mori (1935)가 낙동강의 영주와 함양에서 채집하여 신종으로 보고한 한국고유종이다
잉어과 (Cyprinidae) 모래무지아과 (Gobioninae)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는 전장 6~10 cm인 소형 어류로서 Mori (1935)가 낙동강의 영주와 함양에서 채집하여 신종으로 보고한 한국고유종이다. 본 종에 대해서는 Uchida (1939)에 의해서 형태적 특징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었고 경북 영주와 경남 함양 (Mori, 1935), 경북 안동 (Uchida, 1939)에서 서식이 알려진 후 낙동강 본류와 지류, 금강, 임진강, 한강에서도 서식함이 보고되었다 (손, 1983; 김, 1985; 최, 1985; 양과 권, 1992; 채, 1996; 채와 이, 1999a, b; 변, 2001; 장 등, 2001; 홍과 박, 2001; 강 등, 2004; 손과 박,2004; 국립생물자원관, 2011).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