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왕돌초 조하대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Subtidal Zone of Wangdol-Cho on the Ea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9 no.3, 2014년, pp.191 - 201  

권천중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최창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동해안 울진군에 위치한 왕돌초 조하대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계절별로 해조상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녹조류 12종, 갈조류 29종, 홍조류 81종을 포함한 122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으며, 38종의 해조류는 조사지역에서 연중 출현하였다. 정점별 평균 생물량은 봄 472.19-1,198.77 g wet wt. $m^{-2}$, 여름 68.99-631.14 g wet wt. $m^{-2}$, 가을 200.91-401.20 g wet wt. $m^{-2}$, 겨울 53.61-922.32 g wet wt. $m^{-2}$로 나타났다. 생물량에 근거한 왕돌초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상부 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넓은분홍잎(Acrosorium venulosum),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중부 미역(Undaria pinnatifida), 참가시그물바탕말(Dictyopteris pacif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감태(Ecklonia cava), 하부 쇠꼬리산말(Desmaeistia viridis), 감태(E. cava), 괭생이모자반(S. horneri) 순으로 확인되었다.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를 6가지 기능형군에 따라 구분한 결과 사상형 34.43%, 성긴분지형 25.41%, 엽상형 24.59%, 다육질형 9.71%, 각상형 5.74%, 유절산호말형 0.82%로 확인되었다. 해조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해조군락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C/P, R/P, (R+C)/P 값은 각각 0.41, 2.79, 3.21로 나타났다. 또한, 왕돌초 조하대 군집 안정도와 환경상태를 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왕돌초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종다양성 및 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란이나 부영양화 같은 인간활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three sites in subtidal zone of Wangdol-cho on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May 2012 to August 2013. A total of 122 speci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cluding 12 green algae, 29 brown algae, and 81 red algae. Of the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동해 중부 해역 왕돌초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조류의 군집특성 및 변동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하여 연구 대상지역의 계절에 따른 각 수심별 해조군집의 변화를 확인하고, 서식해조류의 군집구조와 분포 특성 등 시공간적 변화 양상을 조사하여 왕돌초 조하대의 해조류 및 해양 생태계의 현 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왕돌초는 어디에 위치한 암초인가? 왕돌초는 경북 울진군 후포항에서 동쪽으로 23 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거대 수중 암초로 3개의 수중 봉우리로 구성되어 남북으로 길게 돌출된 암반이며 서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반면, 동쪽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있다. 크기는 남북으로 대략 6-10 km, 동서로는 약 6 km 남짓이며, 전체 면적은 약 15 km2에이르는 넓은 면적을 형성하고 있다.
해조류 연안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인가? 해조류는 연안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물질순환을 주도하고 생물자원, 유용 수산물의 산란, 서식지, 먹이원, 바이오 에너지원, 의약품 원료, 산업용 원재료 및 식품으로써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인간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Choi et al., 2008; Graham et al.
해조류는 부영양화된 해역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 , 2009). 또한 부영양화된 해역에서 바이오필터 기능에 의한 영양염 제거, 부착생물의 착생기질 등 해양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McCall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revalo, R., S. Pinedo, and E. Ballesteros, 2007.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editerranean rocky-shore communities following a gradient of nutrient enrichment: Descriptive study and test of proposed methods to assess water quality regarding macroalgae. Mar. Poll. Bull., 55: 104-113. 

  2.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n and Cumming Pub. Co., Inc. 

  3. Bates, C.R. and R.E. DeWreede, 2007. Do changes in seaweed biodiversity influence associated invertebrate epifauna? J. Exp. Mar. Biol. Ecol., 344: 206-214. 

  4. Boo, S.M. and I.K. Lee,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1.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a Sokcho rocky shore. Korean J. Phycol., 1: 107-116. 

  5. Cheney, D.P., 1977. R & 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9. 

  6. Choi, C.G., S.N. Kwak, and C.H. Sohn, 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21: 463-470. 

  7. Choi, C.G., M.T.H. Chowdhury, I.Y. Choi, and Y.K. Hong, 2010.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Kijang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The Sea, 15: 133-139. 

  8. Choi, C.G., J.H. Kim, and I.K. Chung, 2008. Temporal variation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Yokjido, Gyeongnam Province. Algae, 23: 311-316. 

  9. Chung, H., H.J. Lee, and I.K. Lee, 1991.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on a Gallam rocky shore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Algae, 6: 55-67. 

  10. Clarke, K.R. and R.N. Gorley, 2006. PRIMER V6: user manual/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USA, 190pp. 

  11. Dawes, C.J., 1998. Marine botan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628pp. 

  12. Dring, M.J., 1982. The biology of marine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13.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339. 

  14. Fowler, J. and L. Cohen, 1990. Practical statistics for field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York, 227pp. 

  15. Guiry, M.D. and G.M. Guiry, 2014. Algaebas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Avavilable from: http://www.algaebase.org. Accessed May 19, 2014. 

  16.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Samhwa Press, Seoul, Korea. 

  17. Kim, H.S., I.K. Hwang, S.M. Kim, and C.J. Kwon, 2008. Phylogeographical features and marine algal flora of Dok island (East Coast, Korea). Kor. J. Nat. Conserv., 2: 38-58. 

  18. Koh, N.P., 1990. An ecological study of resources of marine plants in Geomundo Islands. Algae, 5: 1-37. 

  19. KORDI, 2004. Ecological study in Wangdol-cho surrounding sea area. II. A benthic ecological research. 

  20. Lee, K.H., H.I. Yoo, and H.G. Choi, 2007. Seasonal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dicinal seaweeds at Kkotji in Taean Peninsula, Korea. Algae, 22: 209-219. 

  21. Lee, J.W., Y.H. Kim, and H.B. Lee, 2001.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I. Sokcho. Algae, 16: 113-118. 

  22. Lee, K.N. and J.G. Myoung, 2003. Sustainable untilization and management scheme in Wangdol-cho surrounding sea a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5: 331-345. 

  23. Lee, Y.P. 2008. Marine algae of Jeju. Academy Press, Seoul, 477 pp. 

  24. Lee, Y.P. and S.Y. Kang, 2002.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25. Littler, M.M. and D.S. Littler, 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 intertidal system. J. Exp. Mar. Biol. Ecol., 74: 13-34. 

  26. Margal,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27. McCall, R.K., C.A. Moncreiff, T.A. Randall, J.D. Caldwell, and B.R. Blackburn, 1999. Seagrass epiphytes: Contributions to local chlorophyll a concentration. Gulf Research Reports, 11: 74. 

  28.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9.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York, 547 pp. 

  30. Neushul, M., 1967. Studies of subtidal marine vegetation in western Washington. Ecology, 48: 83-94. 

  31. NFRDI, 2005. A study on synthetic utilization of Wangdol-cho area in the East Seat of Korea. 

  32. Oak, J.H. and Y.S. Oh, 2006. Dokdo survey report - Algae of Dokdo. 

  33. Orfanidis, S., P. Panayotidis and N. Stamatis, 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erranean Marine Science, 2: 45-65. 

  34. Park, Y.K., K.S. Seo, and C.K. Choi, 2006. Environmental biology. Daehakseolim, Seoul. 

  35. Pinedo, S., M. Gracia, M.P. Satta, M. Torres, and E. Ballesteros, 2007. Rocky-shore communities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A case study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Mar. Pollut. Bull., 55: 126-135. 

  36. Russell, B.D., J.I. Thompson, L.J. Falkenberg, and S.D. Connell, 2009.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ocal stressors: $CO_2$ and nutrient-driven change in subtidal rocky habitats. Glo. Cha. Biol., 15: 2153-2162. 

  37. Saito, S. and S. Atobe, 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I. Bull. Fac. Fish. Hokkaido Univ., 21: 37-67. 

  38. Segawa, S., 1956.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 Co. Osaka. 

  39. Sohn, C.H., 1987. Phytogeographical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lgal communities in Korea. Ph.D. Thesis, Chu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40. Sohn, C.H., C.G. Choi and H.G. Kim, 2007.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Algae, 22: 45-52. 

  41. Thompson, R.E., B.J. Wilson, M.L. Tobin, A.S. Hill, and S.J. Hawkins, 1996. Biologically generated habitat provision and diversity of rocky shore organisms at a hierarchy of spatial scales. J. Exp. Mar. Biol. Ecol., 202: 73-84. 

  42. Wells, E., M. Wilkionson, P. Wood, and C. Scanlan, 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 Pollut. Bull., 55: 151-161. 

  43. Yoshida, T., 1998. Marine algae of Japan. Uchida Rokakuho Publ. Tokyo. 1222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