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Elements and Preference of Urban Street Furnitur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4, 2014년, pp.10 - 20  

강규범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light, information, sale, traffic, and landsca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기존의 연구들이 가로 경관의 구조와 이미지, 이와 관련된 가로경관의 선호도와 활성화 등을 주로 다루고 있는 것에 반해, 가로 시설물의 조형 요소(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을 밝힘으로써 향후 가로 경관 설계 시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보다 상세한 설계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경관에 적용 가능한 시각적인 조형 요소를 찾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키워드를 활용하여 ‘조형요소’에 대한 이론연구 및 관찰변인으로 활용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여 어떤 연구 결과를 도출했는가?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시설물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가로시설물이란 건물과 가로수를 제외한 가로공간에 설치된 모든 시설물을 말한다(Nistawa, 1997). 즉, 가로시설물은 가로경관의 유형적 요소 중 하나의 부류로 가로공간 내 유형적 요소는 1차적으로 수직적, 수평적 요소로서의 건축물과 바닥, 2차적 요소로서 가로시설물과 예술, 자연요소로 정리되고 있어, 이를 다시 정리하면 가로공간은 건축물, 바닥(포장), 가로시설물, 가로수로 분류된다.
도시경관의 질을 평가하는 기본적인 공간은 무엇인가>? 인간이 시각을 통하여 83%를 지각(Murgio, 1969)하는데 있어서 시각적 선호도는 조형적인 아름다움의 선호이며, 도시경관을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Kim and Hyoung 2001). 도시경관의 질을 평가하는 기본적인 공간은 도시가로1) 로 가로내 시설물의 조형적인 아름다움이 가로의 질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로시설물의 기본적 요소로서, 조형적 이미지는 환경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시각적 중요성에 기인한 도시 내 가로시설물의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과 같은 조형요소는 조형을 이루는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ng, S. H.(2005) AGap Analysis between the Cities on the Design Process for the Street Improvement: Singapore, Stralsund and Seou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 Chang, K. C.(2009) Study of Design Preference Factor on Street Furniture to Represent Indentity to Urban Gateway : Emphasis on Gate Way of Seoul and It's Adjacent Cities. Doctor's thesis. Deagu University, Deagu, Korea. 

  3. Choi, I. J.(2003) A study on the visual perceptual evaluation with CG simulation method: Focused on the 'Street of Youth' in Seo-myou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0): 101-110. 

  4. Chung, W. P.(1991) The factors of structural elements and principles in architectural design. Korea Research Council for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5: 59-65. 

  5. Ha, J. S.(2010) A Study on Evaluation of Color Application of Pedestrian Space Street Furniture: Focused on the Urban Development for 'Design Seoul Street'.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6. Heo, S. C. and K. T. Min(2008) A study on complex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ele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9(4): 297-305. 

  7. Jung, M. W.(1992) Outdoor space and landscape i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9-96. 

  8. Kim, D. G. and S. E. Hyoung(2001) A study on the amenity and the identity of street furniture in the space. Journal of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6): 50-75. 

  9. Kim, I. H.(2004) Basic Design. Paju: Publication Mijinsa. 

  10. Kim, J. G.(2001) A study on analysis of preference of streetscap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6): 251-257. 

  11. Kim, J.(2003) A Study on Expanding the Power of Expressing Abstract Painting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Plastic Element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K. Y.(2005) A comparative analyses on contents and process of teaching-learning of environmental design among Korea, U.S.A and Japan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 Journal of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19(3): 213-257. 

  13. Kim, S. W.(2011) Landscape Architecture Basic Design. Seoul: Publication Kimoondang. 

  14. Kwon, S. K.(1996) Visual Design Foundation. Paju: Publication Mijinsa. 

  15. Lee, H. A.(2008)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system's special attribute and molding elements. Journal of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31: 219-256. 

  16. Lee, H. T.(1997) Landscape Architecture Aesthetics. Seoul: Publication Taerim Culture. 

  17. Min, K. T. and S. C. Heo(2009) Comparison on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 of the designer and consumer about the formative elements. Korea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1): 97-108. 

  18. Moon, J. I.(2011) A study on the fact-finding study and evaluation of street furniture: Focusing on "Geumseongro" walkable street of Gangneung C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1): 207-215. 

  19. Murgio, M. P.(1969) Communications Graphics.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 

  20. Nistawa, T.(1997) Lee, B. J., Kim, B. Y. translator. The Design of External Environment. Seoul: Publication Kimoondang. 

  21. Oh, C. R.(2003) New understanding of the visual art. Visual Art Research (9): 53-80. 

  22. Oh, D. S. and J. S. Lee(2006) The influence evaluation for the formative elements of patterns composing architecture interior sp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9): 143-150. 

  23. Park, H. K.(1986) The urban open space system and its use-behavior: A comparative study of Canberra with Jeonju. Journal of Korean Land Administration Academy 1: 36. 

  24. Park, S. T.(2011)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reet Landscape Factors by Street Improvement Cases in Korea.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25. Park, S. Y.(2011) A consideration on transformation of playground equipment for children within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es & advanced cases: Focusing on the period between 1970-2010, urban and suburban areas. Korea Journal of Design Forum 30: 113-122. 

  26. Rhee, J. W.(2006) A study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street spaces: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 factors of streets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Science 19(2): 99-108. 

  27. Seong, K. T.(1988) Landscape Architecture Aesthetics. Seoul: Hakmun Publishing, inc. 

  28. Shinoha Osamu(2010) Bae, H. M. Kim, J. H. translator. Landscape Analysis & Landscape Planning. Seoul: Publication Naeha. 

  29. Song, D. H. and J. K. Yoon(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visual preference on the urban streetscape: Focused on sampling of the preference-types and influence of primary facto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de of Korea 22(9): 243-250. 

  30. Song, D. H.(2000) A study on the design considerations for urban street space related to architectural design factors analysis of the buildings on stree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4): 59-66. 

  31. Suh, J. Y.(2011) Typological Analysis on the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s: Case Study of Jinju Newly Developed District.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 Korea. 

  32. Woo, Y. H.(1985)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the Streetfurniture of the Streets in C.B.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3. Yoon, J. K.(2002)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gnition Approach in Urban Street. Docto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34. Yun, M. H.(2008) Understanding of the NewVisual Art. Seoul: Publication Yekyo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