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벽체 기법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Traditional Wall Techniqu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3 no.4, 2014년, pp.47 - 56  

조영민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ditional wall is ground coat, twice plater, last plaster by such a process has made a wide variety of used materials and techniques are accordingly diverse. These traditional techniques handed down the traditional walls of the techniques, rather than coming to the lowered cut off at any moment f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33년에 수리된 성불사 극락전에서 확인된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난 단계는 무엇인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유입된 일본 벽체 기법은 조선 시대 벽체 기법의 변화를 가져왔다. 1933년에 수리된 성불사 극락전에서 그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것은 벽체를 마감하는 정벌에서 나타났다. 일본 벽체는 정벌에 석회와 해초풀 등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조선시대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재료들로써 당시 공사 감독관이었던 일본인에 의해 새로운 기법이 도입된 것이다.
현재 전통 벽체의 기법에 대한 실정은 어떠한가? 전통 벽체는 초벌, 재벌, 정벌 등의 다양한 순서로 공정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와 기법도 다양하다. 이러한 전통 벽체의 기법은 전통기법이 전승되어 내려져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순간 단절되어 현재의 기법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알지 못한 채 사용하고 있다. 문화재를 보수하고 복원하는 일은 외적인 형태만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숨어있는 기법까지 유지해야 하는 것이 진정한 문화재의 보존이라 할 수 있다.
의궤를 통해 파악한 조선후기 벽체기법 마감재료의 변화는 어떠한가? 조선후기 벽체기법은 영건도감의궤과 산릉도감의궤를 통하여 공정 순서에 따라 사용된 재료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시기에 따라 마감재료의 변화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따르면 17c에는 진흙과 짚여물을 합친 토벽이 있었으며 이후에는 모래로 마감한 사벽, 18c 중반 이후에는 백토로 마감한 백벽(白璧)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회벽(灰壁)은 사용여부를 확인할 만한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eongGeon-DoGam-UiGwe(營建都監儀軌), Saleung-Do-Gam-UiGwe(山陵都監儀軌), belonging to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2. Lee, kweon yeong,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Plaster Work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 Focused on the Sand Coat Wall and Ceiling in 'Yeonggeon-Uigwe'(Construction Report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8. 

  3. Lee, kweon yeong, "A Study on the Existence of Lime Plaster Wall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Reports of 'Sanleong-Uigwe' & 'Yeonggeon-Uigwe' - Emphasized on the Government Building Construction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010. 

  4. Jo, min yeon, "With respect to component adhesive glue", PT Technical report, 2013. 

  5. Jo, hyeon jeong, A Study on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four buildings Korea, Myongj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5. 

  6. Seo, yu gu, An, dae hoe, Building a house between the mountains and valleys, Dolbegae, 2005 

  7. Bak, je ga, An, dae hoe, Buk-hak-ui(北學議), Dolbegae, 2012. 

  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hewajang(製瓦匠), 1996. 

  9. Yeonggeon-Uigwe Research Group, Yeonggeon-Uigwe, Dongnyeok, 2010. 

  10. Sudeoksa, Sudeoksa Daeungjeon -1937 year preserve a record of repair work, 2003. 

  11. 澁谷五郎, 長尾勝馬, "日本建築", 東京修文館, 1938. 

  12. 杉山信三, "韓國古建築の保存", 19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