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막걸리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의 biogenic amine 생성능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by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Makgeoll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4, 2014년, pp.438 - 445  

곽희정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영양기능연구팀) ,  김재영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현숙 (동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순미 (가천대학교 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막걸리의 저장 온도에 따른 BA 생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시판 막걸리의 우점종을 찾아내어, 이 균을 멸균 막걸리에 접종함으로써 BA 생성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판 막걸리 11종을 구입해 $4^{\circ}C$$20^{\circ}C$에서 각각 10일 동안 저장한 뒤 BA 함량을 확인한 결과, 생막걸리는 $4^{\circ}C$에 비해 $2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함에 따라 BA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살균막걸리는 온도에 따른 BA 변화가 없었다. 시판 막걸리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BA는 histamine과 putrescine이었다. $4^{\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에 비해 $20^{\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에서 미생물의 변성된 DNA band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4^{\circ}C$에서 저장한 시판 막걸리의 주된 bacteria는 Staphylococcus succinus와 Staphylococcus gallinarum, Lactobacillus (L). brevis, L. plantarum, L. fermentum였고, $20^{\circ}C$ 막걸리에서 공통적으로 증식한 균은 L. perolens, L. harbinensis, LBARR16SI L. brevis, L. plantarum, L. satsumensis이었다. 막걸리에서 분리한 18종의 colony 중 3종의 L. plantarum strains을 $4^{\circ}C$에서 3일간 보관한 신선한 막걸리를 멸균한 후 접종하고 BA 생성능을 비교한 결과, PLP나 아미노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접종 후 15일까지 BA가 검출되지 않았다. 멸균막걸리에 PLP를 추가해준 경우 3종의 colony를 접종해준 모든 막걸리에서 15일까지 미량의 tyramine만 검출되었으며 PLP와 아미노산을 둘다 추가해준 경우 3종의 colony 모두 10일째와 15일째에 tyramine과 histamine이 검출되었다. $20^{\circ}C$에서 21일간 저장한 막걸리는 멸균 후 PLP만 추가해주어도 3종의 colony 모두 5일, 10일, 15일에 과량의 tyramine, histamine, putrescine, cadaverine이 검출되었다. 이런 결과로 볼 때, 막걸리를 저온 저장하지 않을 경우 막걸리 성분의 분해로 인하여 BA 양이 증가하며, 막걸리 저장 온도는 막걸리 미생물 양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막걸리 유산균의 우점종인 L. plantarum은 막걸리에서 histamine, tyramine, putrescine과 cadaverine을 생성할 수 있음을 밝혀, 이것이 막걸리 BA 생성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막걸리의 BA를 낮추기 위한 조건을 탐색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biogenic amine (BA) production as well as the diversity of bacterial flora in 11 types of commercial makgeolli stored at 4 and $20^{\circ}C$. Moreover, we studied the BA-producing activity of three L.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makgeolli. At $20^{\circ}C$,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까지 막걸리 내 BA 생성과 유산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11종의 막걸리를 4℃ 또는 20℃에서 저장하여 BA 생성을 살펴보고 이 중 한 종의 막걸리에서 우점종인 유산균을 찾아낸 후 멸균한 막걸리에 이 균주를 첨가하여 BA 생성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활성조효소, 아미노산의 첨가 여부에 따른 이들 유산균의 BA 생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막걸리의 저장 온도에 따른 BA 생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시판 막걸리의 우점종을 찾아내어, 이 균을 멸균 막걸리에 접종함으로써 BA 생성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42 mg/L로 증가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향을 보이고, histamine이나 tyramine 등의 BA가 생성되지 않았다. 이것은 쌀로 만든 막걸리가 다른 원료로 제조한 막걸리에 비해 저온저장 시 BA 생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실제로 Kim과 Han(5)은 최근 쌀과 밀가루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막걸리를 담가 4℃와 20℃에 저장하며 BA 생성량을 살펴 본 결과 쌀만으로 제조되었거나 쌀 배합비율이 높은 막걸리는 밀가루 비율이 높은 막걸리에 비해 4℃ 뿐만 아니라 20℃에서도 BA 생성이 크게 감소했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 plantarum을 접종한 경우는 유리 아미노산의 부족으로 해당 colony가 BA를 생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조효소 PLP를 첨가해준 경우 tyramine만 미량 검출되는 것과 조효소 PLP에 6종의 아미노산을 추가해주었을 때 tyramine 이외 추가로 histamine만 생성된 결과가 이런 추측을 뒷받침해준다. 따라서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의 미생물은 무엇이 있습니까? 막걸리 미생물로는, 막걸리 누룩에서 Aspergillus oryzae, A. niger, A. kawachii, A. shirousamii, Saccharomyces cerevisiae, Rhizopus tritici 등 여러 누룩곰팡이와 효모들이 분리되었고(7-15), 막걸리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 Pediococcus acidilactici, P. pentosaceus, P. d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L. murinus, L. coprophilus, L. collinoides, L. brevis, L. casei,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Enterococcus faecium 등의 다양한 유산균이 분리되었다(8,10,13,14,16-19). Jin 등(18)과 Kim 등(19)은 15종의 시판 막걸리에서 16S rRNA 유전자 sequencing을 통해 7종의 Lactobacillus (L. paracasei, L. arizonensis, L. plantarum, L. harbinensis, L. parabuchneri, L. brevis, L. hilgardii) 유산균을 동정하였다. Min 등(20)과 Kim 등(21)은 막걸리를 4℃와 20℃로 저장하면서 효모와 유산균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4℃에서는 미생물의 수는 유지되고 P.
막걸리란? 막걸리는 쌀을 주원료로 하고 누룩을 종균 배양하여 발효시킨 뒤 여과과정 없이 혼탁하게 거른 술로써, 이 중 누룩은 각종 효소와 함께 자연 발생한 곰팡이, 효모, 세균을 비롯한 발효 미생물의 급원이 된다(1,2). 막걸리는 알코올 발효 과정만을 거치는 와인과 달리 누룩의 곰팡이에 의한 전분의 당화과정과 효모에 의한 알코올 발효가 동시에 일어나는 이중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3).
막걸리 제조 특성은? 막걸리는 쌀을 주원료로 하고 누룩을 종균 배양하여 발효시킨 뒤 여과과정 없이 혼탁하게 거른 술로써, 이 중 누룩은 각종 효소와 함께 자연 발생한 곰팡이, 효모, 세균을 비롯한 발효 미생물의 급원이 된다(1,2). 막걸리는 알코올 발효 과정만을 거치는 와인과 달리 누룩의 곰팡이에 의한 전분의 당화과정과 효모에 의한 알코올 발효가 동시에 일어나는 이중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3). 하지만 시판 막걸리는 쌀 이외에도 밀, 옥수수, 고구마 등의 다양한 전분 원료를 사용하며, 누룩 이외에도 효모, 고지 등을 첨가하여 발효시키기도 하고, 과일이나 약초를 첨가하기도 한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Chang KJ, Yu TJ.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07-313 (1981) 

  2. Han EH, Lee TS, Noh BS,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997) 

  3. Jeon BY, Seo HN, Yun A, Lee IH, Park DH. Effect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on nuruk-making process and makgeolli quality. Food Sci. Biotechnol. 19: 999-1004 (2010) 

  4.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i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2008) 

  5. Kim SM, Han AR. Storage properties and biogenic amines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rice and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83-591 (2012) 

  6. Lee SS, Kim KS, Eom AH, Sung CK, Hong IP.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ean J. Mycol. 30: 61-65 (2002) 

  7. Kim JO, Lee BH. Taxonomical studies of yeasts in Korea -On yeasts isolated from takju-. Korean J. Microbiol. 8: 77-84 (1970) 

  8. Shin YD, Cho DH.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 53-64 (1970) 

  9. Yang JY, Lee KH.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tudy of sansung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79-785 (1996) 

  10. Yu TS, Kim HS, Hong J, Ha HP, Kim TY, Yoon IW.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 (until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70-179 (1996) 

  11. Kim TY, Yoon IW.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brewed with improved-nur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 399-404 (1997) 

  12. Kim HS, Hyun JS, Kim J, Ha HP, Yu TS.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67-774 (1997) 

  13. Yu TS, Kim J, Kim HS, Hyun JS, Ha HP, Park MK.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since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89-799 (1998) 

  14. Seo MY, Lee JK, Ahn BH, Cha SK.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1-66 (2005) 

  15.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2005) 

  16. Jo KY, Ha DM.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nuruk. Agr. Chem. Biotechnol. 38: 95-99 (1995) 

  17. Lee JH, Yu T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nuruk.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359-365 (2000) 

  18. Jin J, Kim SY, Jin Q, Eom HJ, Han NS.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takju, Korean Rice Wine. J. Microbiol. Biotechnol. 18: 1678-1682 (2008) 

  19. Kim SY, Yoo KS, Kim JE, Kim JS, Jung JY, Jin Q, Eom HJ, Han NS.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Korean rice wines by culture-independent method using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Food Sci. Biotechnol. 19: 749-755 (2010) 

  20. Min JH, Baek SY, Lee JS, Kim HK. Changes of yeasts and bacterial flora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traditional makgeolli. Korean J. Mycol. 39: 151-153 (2011) 

  21. Kim JY, Kim D, Park P, Kang HI, Ryu EK, Kim SM.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biogenic amine content and microflora in Korean turbid rice wine, makgeolli. Food Chem. 128: 87-92 (2011) 

  22. Coton M, Romano A, Spano G, Ziegler K, Vetrana C, Desmarais C, Lonvaud-Funel A, Lucas P, Coton E. Occurrence of biogenic amin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in wine and cider. Food Microbiol. 27: 1078-1085 (2010) 

  23. Ancn-Azpilicueta C, Gonzlez-Marco A, Jimnez-Moreno N. Current knowledge about the presence of amines in wine. Crit. Rev. Food Sci. Nutr. 48: 257-275 (2008) 

  24. Jorgensen LV, Huss HH, Dalgaard P. The effect of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single bacterial cultures and metabiosis on cold-smoked salmon. J. Appl. Microbiol. 89: 920-934 (2000) 

  25. Lonvaud-Funel A. Biogenic amines in wines: role of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Lett. 199: 9-13 (2001) 

  26. Fernndez M, Ziga M. Amino Acid Catabolic Pathways of Lactic Acid Bacteria. Crit. Rev. Microbiol. 32: 155-183 (2006) 

  27. Herbert P, Cabrita MJ, Ratola N, Laureano O, Alves A. Relationship between biogenic amines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wines and musts from Alentejo (Portugal). J. Environ. Sci. Health B. 41: 1171-1186 (2006) 

  28. Ten Brink B, Damink C, Joosten HM, Huis in't Veld JH. Occurrence and formation of biologically active amines in foods. Int. J. Food Microbiol. 11: 73-84 (1990) 

  29. Shalaby AR. Significance of biogenic amines to food safety and human health. Food Res. Int. 29: 675-690 (1996) 

  30. Han GH, Cho TY, Yoo MS, Kim CS, Kim JM, Kim HA, Kim MO, Kim SC, Lee SA, Ko YS, Kim SH, Kim DB. Biogenic amines formation and content in fermented soybean paste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41-545 (2007) 

  31. Silla Santos MH. Biogenic amines: their importance in foods. Int. J. Food Microbiol. 29: 213-231 (1996) 

  32. Smit AY, Du Toit WJ, Du Toit M. Biogenic amines in wine: understanding the headache. S. Afr. J. Enol. Vitic. 29: 109-127 (2008) 

  33. Jung MJ, Nam YD, Roh SW, Bae JW. Unexpected convergence of fungal and bacterial communities during fermentation of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s inoculated with various natural starters. Food Microbiol. 30: 112-123 (2012) 

  34. Kwon SJ, Ahn TY, Sohn JH.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makgeolli fermentation using PCR-DGGE. J. Life Sci. 22: 232-238 (2012) 

  35. Min JH, Kim YH, Kim JH, Choi SY, Lee JS, Kim HK. Comparison of microbial diversity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showing high ${\beta}$ -glucan content and high Antihypertensive activity, respectively. Mycobiol. 40: 138-141 (2012) 

  36. Landete JM, Ferrer S, Polo L, Pardo I. Biogenic amine in wines from three spanish regions. J. Agr. Food Chem. 53: 1119-1124 (2005) 

  37. Fadda S, Vignolo G, Oliver G. Tyramine degradation and tyramine/hist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Kocuria strains. Biotechnol. Lett. 23: 2015-2019 (2001) 

  38. Tang T, Shi T, Qian K, Li P, Li J, Cao Y. Determination of biogenic amines in beer with pre-column derivatizatio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B 877: 507-512 (2009) 

  39. Kirby KS. A new method for the isolation of deoxyribonucleic acids: evidence on the nature of bonds between deoxyribonucleic acid and protein. Biochem. J. 66: 495-504 (1957) 

  40. Xueliang R, Xiaoyang Z, Warndorff M, Bucheli P, Qingyao S. DNA extraction and fingerprinting of commercial rice cereal products. Food Res. Int. 39: 433-439 (2006) 

  41. Ros-Chumillas M, Egea-Cortines M, Lopez-Gomez A, Weiss J. Evaluation of a rapid DNA extraction method to detect yeast cells by PCR in orange juice. Food Control 18: 33-39 (2007) 

  42. Soufleros E, Barrios, ML, Bertr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of biogenic amines and other wine compounds. Am. J. Enol. Vitic. 49: 266-278 (1998) 

  43. Marcobal A, Martin-Alvarez PJ, Polo MC, Munoz R, Moreno-Arribas MV.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throughout the industrial manufacture of red wine. J. Food Prot. 69: 397-404 (2006) 

  44. Forsythe WI, Redmond A. Two controlled trials of tyramine in children with migraine. Dev. Med. Child Neurol. 16: 794-799 (1974) 

  45. Straub BW, Kicherer M, Schilcher SM, Hammes WP. The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by fermentation organisms. Z. Lebensm. Unters. Forsch. 201: 79-82 (1995) 

  46. Kek M, KalaP. Biogenic amines in foods and their roles in human nutrition. Czech J. Food Sci. 16: 151-159 (1998) 

  47. Maijala R, Eerola S. Contaminant lactic acid bacteria of dry sausages produce histamine and tyramine. Meat Sci. 35: 387-395 (1993) 

  48. Halsz A, Barth, Simon-Sarkadi L, Holzapfel W. Biogenic amines and their production by microorganisms in food. Trends Food Sci. Tech. 5: 42-49 (1994) 

  49. Ogawa H, Tsuji H, Seto A, Hara S, Totani Y. Synergistic effect of spermine on antioxidation of polyunsaturated oil. J. Japan Oil Chem. Soc. 45: 1327-1332 (1996) 

  50. Chang HW, Kim KH, Nam YD, Roh SW, Kim MS, Jeon CO, Oh HM, Bae JW. Analysis of yeast and archaeal population dynamics in kimchi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26: 159-166 (2008) 

  51. Kim TW, Lee JH, Kim SE, Park MH, Chang HC, Kim HY.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doenjang, a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nested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31: 265-271 (2009) 

  52. Martin-Alvarez PJ, Marcobal A, Polo C, Moreno-Arribas MV. Influence of technological practices on biogenic amine contents in red wines. Eur. Food Res. Technol. 222: 420-424 (2006) 

  53. Maijala RL, Eerola SH, Aho MA, Hirn JA. The effect of GDL-induced pH decrease on the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in meat. J. Food Protect. 56: 125-129 (1993) 

  54. Bardcz S. Polyamines in food and their consequences for food quality and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Tech. 6: 341-346 (1995) 

  55. Karovicova J, Kohajdova Z. Biogenic Amines in Food. Chem. Pap. 59: 70-7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