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갯벌천일염과 외국산 소금의 미네랄, 중금속 및 phthalate 함량 평가
Evaluation of mineral, heavy metal and phthalate contents in mudflat solar salt and foreign sal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4, 2014년, pp.520 - 528  

김학렬 (국립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인선 (국립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인철 (국립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천일염 생산 대표지역의 갯벌천일염 15종과 외국산 소금 38종에 대한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금속 함량 및 phthalate 화합물의 오염 수준을 평가하였다. MSS에서 DEHP는 9.00~669.89 ppb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인체 안전성을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FS는 FSS 5종(3,440.64, 3,266.56, 2,189.65, 4,010.69, 4,554.20 ppb)과 FLSS 1종(1,983.27 ppb)에서 DEHP 용출규격 1.5 ppm이하를 초과하는 높은 수준이 검출되었으며, FSS 2종(930.15, 1,310.07 ppb), FLSS 1종(924.92 ppb)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이 검출되었다. 그 외의 phthalate 화합물에서는 MSS와 FS 모두에서 인체 안전성을 우려할만한 수준은 검출되지 않았다. Na 이온은 MSS(363,633.98 ppm)에 비해 FS(407,345.87~426,612.14 ppm)에서 높은 수준(p<0.05)이었으며, Mg(p<0.01), K(p<0.05), Ca 이온(p<0.05)은 FRS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FSS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l 이온의 경우 MSS(532,727.07 ppm)에서 가장 낮은 함량(p<0.001)을 나타낸 반면, Br 이온(625.07 ppm)은 가장 높은 함량(p<0.001)을 나타내었으며 $SO_4$ 이온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SS에서 Mn 함량이 높았으며, Al과 Fe의 함량은 FLSS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MSS와 FS의 중금속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식용소금에 대한 중금속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아 소금을 통한 중금속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a phthalate, heavy metal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quality properties in korean mudflat solar salt and foreign salts. DEHP in mudflat solar salt (MSS) was detected a low level (9.00~669.89 ppb), but it was shown a high level excess to 1.5 ppm criteria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천일염 생산 대표 지역의 갯벌 천일염 15종과 외국산 소금 38종에 대한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금속 함량 및 phthalate 화합물의 오염 수준을 평가하여 소금의 우수성 및 안전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천일염 생산 대표 지역의 갯벌 천일염 15종과 외국산 소금 38종에 대한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금속 함량 및 phthalate 화합물의 오염 수준을 평가하였다. MSS 에서 DEHP는 9.

가설 설정

  • 3)ND: Not detected(Below of LOD is none detected), Interval LOD and LOQ is tra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행 식품위생법상 식염은 어떻게 분류되고 있는가? 현행 식품위생법상 식염은 천일염을 포함하여 정제소금, 재제소금, 태움·용융소금, 기타소금 및 가공소금으로 분류 (1)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갯벌천일염(mudflat solar salt; MSS)을 생산하는 염전의 생산·관리 등에 구체적인 기준이제시된 바 없어 안전성 및 위생상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 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갯벌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염전 결정 바닥재는 주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을 사용하고 있으며, 염전의 결정바닥제로서 이용되는 PVC는 가격이 저렴하고, 신축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2,3).
한국에서 갯벌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염전 결정 바닥재는 주로 무엇을 사용하는가? 현행 식품위생법상 식염은 천일염을 포함하여 정제소금, 재제소금, 태움·용융소금, 기타소금 및 가공소금으로 분류 (1)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갯벌천일염(mudflat solar salt; MSS)을 생산하는 염전의 생산·관리 등에 구체적인 기준이제시된 바 없어 안전성 및 위생상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 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갯벌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염전 결정 바닥재는 주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을 사용하고 있으며, 염전의 결정바닥제로서 이용되는 PVC는 가격이 저렴하고, 신축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2,3). PVC는 고분자 물질의 유연성과 가소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phthalate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dimethyl phthalate(DMP), diethyl phthalate(DEP), diisobutyl phthalate(DIBP), di-n-butyl phthalate(DBP), diamyl phthalate(DAP), butylbenzyl phthalate(BBP), dicyclohexyl phthalate(DCHP), di-(2-ethylhexyl) phthalate(DEHP) 및 di-(2-ethylhexyl) adipate(DEHA) 등 20여종이 분류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연간 생산량이 270만 톤으로 이중 DBP와 DEHP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4).
폴리염화비닐은 고분자 물질의 유연성과 가소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phthalate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phthalate 화합물은 어떻게 분류되어 있는가? 특히 한국에서 갯벌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염전 결정 바닥재는 주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을 사용하고 있으며, 염전의 결정바닥제로서 이용되는 PVC는 가격이 저렴하고, 신축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2,3). PVC는 고분자 물질의 유연성과 가소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phthalate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dimethyl phthalate(DMP), diethyl phthalate(DEP), diisobutyl phthalate(DIBP), di-n-butyl phthalate(DBP), diamyl phthalate(DAP), butylbenzyl phthalate(BBP), dicyclohexyl phthalate(DCHP), di-(2-ethylhexyl) phthalate(DEHP) 및 di-(2-ethylhexyl) adipate(DEHA) 등 20여종이 분류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연간 생산량이 270만 톤으로 이중 DBP와 DEHP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4). Phthalate 및 adipate를 사용한 폴리염화비닐은 전선, 타일, 도료 등과 같은 공업용 뿐 만 아니라 가정용 및 업소용 랩과 과일 야채 등의 식품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식품과 접촉해 사용하면 식품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5), 이는 잠재적 독성물질및 내분비계 장애물질과 같은 유사환경호르몬으로 규정하고 있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2. Kim HL, Baek HH, Kim IC (2012) Evaluation of plasticizer pollution levels in mudflat solar salt, salt water, and sea water of nationwide saltp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460-1466 

  3. Kim HL, Yoo YJ, Lee IS, Ko GH, Kim IC (2012)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udflat solar salt, salt water, and sea water in the nationwide salt p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14-1019 

  4. Balafas D, Shaw KJ, Whitfield FB (1999) Phthalate and adipate esters in Australia packaging materials. Food Chem, 65, 279-287 

  5. Lee KH, Kwak IS, Jeong DY, Jeon DH, Choi JC, Kim HI, Choi BH, Lee CH, Koo EJ, Lee CW (2001) A study of phthalate and adipate esters in food packaging and packag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79-485 

  6. United State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US CPSC) (1985) Chronic hazard advisory panel on di (2-ethylhexyl) phthalate (DEHP). Report to the United State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Washington. DC, USA 

  7. Crocker JF, Safe SH, Acott P (1988) Effects of chronic phthalate exposure on the kidney. J Toxicol Environ Health, 23, 433-444 

  8. Kluwe WM, Haseman JK, Huff JE (1983) The carcinogenicity of DEHP in perspective. J Toxicol and Environ Health, 12, 159-169 

  9. Kluwe W (1982) Overview of phthalate ester pharmacokinetics in mammalian species. Environ Health Perspec, 45, 3-10 

  10. Choi H, Kim DP, Nam HJ, Joo MJ, Ko TS (2008) Report of DEHP in saltfarm. Korea Consumer Agency. Webpage: http://www.kca.go.kr/modules/board/list.jsp 

  11.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12. Shin DH, Jo EJ, Hong JS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impor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J Fd Hyg safety, 14, 277-281 

  13. Kim AK, Cho SJ, Kwak JE, Kum JY (2012) Heavy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9-135 

  14. Ha JO, Park KY (1998) Compositions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15.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82) Some industrial chemicals and dyestuffs.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humans. Lyon France, 29, 269-294 

  16. Sharman M, Read WA, Castle L, Gilbert J (1994) Level of di-(2-ethylhexyl) phthalate and total phthalate esters in milk, cream, butter and cheese. Food Addi Contam, 11, 37-395 

  17. Cautreels W, Van CK (1977) Comparison between the organic fraction of suspended matter at a background and an urban station. Sci Total Environ, 8, 79-88 

  18. Eisenreich SJ, Looney BB, Thornton JD (1981) Airbone organic contaminants of great lakes ecosystems. Environ Sci and Tech, 15, 30-38 

  19. Ritsema R (1989) Trace-level analysis of phthalate esters in surface waters and suspended particular matter by means of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with electron-capture and mass-selective detection. Chemosphere, 18, 2161-2175 

  20. Wams TJ (1987) Diethylhexylephthalate as an environmental contaminants (Review). Sci Total Environ, 66, 1-16 

  21. Jin YX, Je JH, Lee YH, Kim JH, Cho YS, Kim SY (2011) Comparison of the mineral contents of sun-dried salt depending on wet digestion and dissolu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993-997 

  22. Shin TS, Park Ck, Lee SH, Han KH (2005) Effects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in sun-dried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12-317 

  23. Lee DK, Choi CR, Cho JY, Kim HL, Ham KS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9 

  24. Jo EJ, Shin DH (1998) Study of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ood Hyg safety, 13, 360-364 

  25. Yoon HH, Chang HC (2011) Growth inhibitory Kimchi prepared with four year-old solar salt and Topan solar salt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35-941 

  26. Seo JH, Kim HJ, Lee SP (2012) Evalu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olar salt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9, 554-559 

  27. Kim AK, Cho SJ, Kwak JE, Kum JY (2012) Heavy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9-135 

  28.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2000)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44.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and WHO, Geneva. p 273-3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