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급식설비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of Food Utensils and Food Service Facilities in School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3, 2014년, pp.189 - 194  

홍승희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식중독으로 인한 지속적인 위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의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세균 측정용 배지에서 $12.3{\pm}2.6$건으로 가장 많은 미생물이 배양되었고, 황색포도상구균 측정용 배지에서 $10.3{\pm}3.9$건과 대장균 측정용 배지에서 $9.5{\pm}3.9$건으로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그러나 비브리오 측정용 배지에서는 $1.5{\pm}1.0$건으로 가장 적은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이 심한 곳은 전처리실 바닥으로 $4.5{\pm}0.6$건으로 가장 높고, 조리실 바닥도 $4.3{\pm}1.0$건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리대가 $3.3{\pm}1.0$건으로 나타났으며, 급식식탁에서도 $3.0{\pm}0.0$건으로 상당히 높은 미생물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집기류에서는 시설들에 비하여 낮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칼과 도마를 사용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생선용 칼에서 $2.0{\pm}0.8$건과 생선용 도마에서 $1.3{\pm}1.5$건으로 다른 용도에 비하여 약간 높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배양된 미생물들을 동정한 결과, 다양한 미생물들이 오염되어 있으며 일부는 2번 이상씩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특히, 주요 식중독균인 Staphylococcus aureus는 조리대, 트렌치, 칼에서 3번에 걸쳐서 확인되었다. 또한 주요 식중독균에 속하는 Bacillus cereus가 칼에서 확인되었으며, 자연에 널리 분포하면서 때로는 급성폐렴을 일으키기도 하는 Klebsiella pneumoniae는 4번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황색포도상구균을 비롯한 주요 식중독균뿐만 아니라 식품의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들이 학교급식의 시설 및 집기류에 오염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학생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더욱 철저한 개인위생 및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설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microorganism contamination of food utensils and service facilities in school and to prevent hazards by food poisoning occurrence. As a result, the highest number of microorganism growth plate ($12.3{\pm}2.6$) was detected in total bacteria test pl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위치하는 중등학교 급식실의 시설과 집기류에 대한 미생물 오염정도를 파악하고 오염된 미생물의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중독으로 인한 지속적인 위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의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세균 측정용 배지에서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자재의 품질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농산물의 생산, 재배, 유통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제도는? 이러한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전 예방적인 관리체계로 알려진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인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을 학교급식에 도입하여 철저한 위생관리를 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7,8). 또한 식자재의 품질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농산물우수관리제도인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실시하여 농산물의 생산 및 재배와 유통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이나 농약 등 위해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9,10).
학교급식에서 식중독을 유발하는 미생물은 어떤 것들이 있으면 이로 인한 피해는? 또한 학교 내 여러 시설과 설비들의 미생물 오염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학교급식의 식중독을 원인물질별로 보면 2012년에는 병원성대장균이 23건으로 1,570명의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고, 그 다음에 Norovirus가 19건으로 790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2013년에는 Norovirus가 19건으로 927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그 다음이 병원성대장균으로 12건의 743명의 환자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11). 이 외에도 Campylobacter jejuni와 Clostridium perfringens가 매년 꾸준히 약 5건 내외로 발생하고 있다. 2013년에는 Bacillus cereus 2건과Salmonella 식중독 1건이 발생하였다. 전체적으로 학교급식에서 집중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병원성대장균과 Norovirus로 학교급식의 안전성 확보에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예방적 관리체계로 어떤 제도가 있는가? 학교급식 시설의 노후화 및 환경의 열악함, 원재료의 안전성, 식품의 저장·보관 등의 관리 및 환경, 위생관리체계의 미비 등이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4,5,6). 이러한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전 예방적인 관리체계로 알려진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인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을 학교급식에 도입하여 철저한 위생관리를 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7,8). 또한 식자재의 품질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농산물우수관리제도인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실시하여 농산물의 생산 및 재배와 유통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이나 농약 등 위해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tatistics Korea. Education statistics, School meals service. Available from:http://www.index.go.kr/ 

  2. Kwak, T.K.: Current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for children and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1, 41-54 (2006). 

  3. Song, I.S. and Chae, I.S.: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Korean J. Nutr., 41, 870-886 (2008). 

  4. Kim, J.H., Kim, Y.S. and Han, J.S.: Seasonal changes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sanit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53-1660 (2004). 

  5. Jeong, D.K. and Lyu, E.S.: Th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s and facilities at food service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16- 220 (2002). 

  6. Park, S.J., Ha, G.S., Shim W.B., Park, M.K. and Chung D.H.: Environmental microbial assessment of food services at elementary schools in western Gyeongnam province. J. Fd. Hyg. Safety, 18, 14-24 (2003). 

  7. Eo, G.H., Ryu, k., Park, S.J. and Kwak, T.K.: Need assessment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iz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7, 56-64 (2001). 

  8. Kim J.Y., Kim, S.R., Choi, J.G., Je, J.H. and Chung, D.H.: Assessment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ing company of sandwich products. Korean J. Env. Heal., 32, 316-323 (2006). 

  9. Kim, K.Y., Nam M.J., Lee, H.W., Shim, W.B., Yoon, Y.H., Kim, S.R., Kim, D.H., Ryu, J.G., Hong, M. K., You, O.J. and Chung, D.H.: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of a perilla leaf postharvest facility for application of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92-398 (2009). 

  10. Lee, H.W., Yoon, Y.H., Seo, E.K., Kim, K.Y., Shim, W.B. Kil, J.K. and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of tomato and recommendations to introduc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10-214 (2009).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The System of Food Poisoning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mfds. go.kr/e-stat/index.do/ 

  12. Mokhtari. A., and Jaykus, L.A.: Quantitative exposure model for the transmission of Norovirus in retail food preparation. Int. J. Food Microbiol., 133, 38-47 (2009). 

  13. Kim, K.Y., Nam, M.J., Nam, B.R., Ryu, H.J., Heo, R.W. Shim, W.B. and Chung, D.H.: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J. Fd. Hyg. Safety, 25, 49-58 (2010). 

  14. Safe and healthy eating on the island of Ireland. Food safety. Cross-contamination. Available from:http://www.safefood.eu/ 

  15. Park, S.W. and Ha, K.H.: Assessment of university food service by students in Daejeon Area. Korean J. Food Nutr., 11, 528-535 (1998). 

  16. Hatakka, M., Bjorkoth, K.J., Asplund, K., Maki-Petays, N. and Korkeala, H.J.: Genotypes and enterotoxic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he hands and nasal cavities of flightcatering employees. J. Food Prot., 63, 1487-1491 (2000). 

  17. Park, J.Y., Kim, J.S. and Kim, J.G.: A study i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ve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J. Environ. Health Sci., 36, 95-107 (2010). 

  18. Kim, J.W., Jun, K.D., Kang, J.S., Jang, J.S., Ha, B.J. and Lee, J.H.: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as a Probiotic. KSBB J., 20, 359-362 (2005). 

  19. Jin, H.Y., Lee, S., Park J.H., Choi, E.G., Lee, H.B., Lee S.T. and Ahn, D.S.: Comparisons of pyogenic liver abscessed caused by Klebsiella pneumoniae and non-k. pneumoniae pathogens. Infect. Chemother., 33, 202-205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