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파악하고, 위해평가 등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후 정부차원에서의 식품 위생/안전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료 수거는 인구 백만 이상의 전국 9개 지역(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창원 및 수원)을 선정한 후, 다소비 식품 중 대표적인 농산물 15품목(쌀, 감자, 대두, 사과, 배, 오렌지, 복숭아, 딸기, 바나나, 수박, 토마토, 오이, 애호박, 깻잎 및 무)을 선별하여 총 232건의 농산물을 수거하였다. 대상 농약은 단성분 분석으로 가능한 생장조정제 3종(dichlorprop, ethychlozate 및 6-benzylaminopurine) 및 다종다성분 분석 농약 280종, 총 283종을 선정하여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농약들은 모니터링에 앞서 분석법을 개선하고 분석검체를 대표할 수 있는 농산물에 적용하여 국제적 기준인 CODEX 분석법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분석법 검증을 수행한 후, 잔류농약 모니터링 분석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모니터링에서 검출된 잔류농약을 대상으로 1일 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대비 1일 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 값으로 위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수거된 농산물 총 232건 중 163건(70.3%)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69건(29.7%)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 중 2건은 MRL을 초과하여 0.9%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다. MRL을 초과한 잔류농약은 깻잎에서 검출된 chlorpyrifos와 복숭아에서 검출된 picoxystrobin이었으며, 부적합으로 나타난 chlorpyrifos 및 picoxystrobin을 포함한 검출 농약 33종에 대해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ADI 대비 EDI는 0.00087~0.902%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검출된 모든 농약은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됐으며, 유통되는 농산물은 잔류농약 측면에서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processes for making food safety policies. Thus, we investigated pesticide residue level of the agricultural commodities from market, and performed risk assessment. Fifteen agricultural items are chosen based on the frequency of Korean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하였고, 이에 대한 위해평가를 통해 검출된 농약의 위해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을 오남용 할 시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농업에서의 병, 해충, 잡초 방제 및 식물 생장 조정을 위한 농약의 사용은 농산물의 품질 향상과 식량 생산의 증대를 이루어 인류의 생활 여건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된 농약을 오남용할 경우, 환경오염의 문제 뿐만 아니라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MRL)을 초과한 농산물 또는 그 가공품이 유통될 우려가 존재하고, 이를 섭취 시 인체에 위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Kim 등, 2010). 따라서 우리나라는 농산물의 농약 MRL을 설정하여 엄격히 규제하고(MFDS, 2013), 유통되는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Do 등, 2013), 제외국의 사례로, 미국의 경우 FDA에서 농산물, 가공식품 및 수입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매년 보고서를 공개하여 유통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며(U.
이 연구에서 잔류농약 모니터링 조사 대상 농산물은 어떻게 선정하였는가? 잔류농약 모니터링 조사 대상 농산물은 다소비 식품의 식품 소비량을 근거로 하여 식품공전에 명시된 식품 원재료 분류(MFDS, 2013)에 따라 곡류(쌀), 서류(감자), 콩 류(대두), 과일류(사과, 배, 복숭아, 딸기, 오렌지 및 바나나) 및 과채류(수박, 오이, 애호박, 토마토, 깻잎 및 무)로 세분화하여 조사 대상을 선정하였다. 농산물의 수거 지역은 2012년 안전행정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 조사(MSPA, 2013)를 근거로 하여 1차적으로 백만 이상 거주 지역을 확률비례추출법에 의해 9개 대도시(서울, 인천, 수원,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부산 및 창원)로 세분화하였고, 2차적으로 지역 균일화 안배를 고려해 수거 횟수를 선정하였다(Table 1).
우리나라는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가? 이외에도 우리의 주변국 일본에서는 후생노동성이 주관하고 산하기관인 국립의약품식품위생연구소 및 지방 위생연구소 등 기관들이 서로 협업하여 전국 규모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MHLW, 1999). 우리나라는 1988년 9월 처음으로 17종 농약에 대한 MRL을 제정한 이후, 현재까지 농산물 440종, 인삼 68종, 축산물 83종을 대상으로 MRL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MFDS, 2014). 또한 검출이력이 높거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농약을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1998년부터 국가잔류농약모니터링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매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식품안전관리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Do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ODEX (1993) Guidelines on good laboratory practice in residue analysis, CAC/GL 40. CODEX Alimentarius Committee, Italy. 

  2. Do JA, Lee MY, Cho YJ, Kang I, Kwon K, and Oh JH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pyrimisulfan determination in agricultural commodities by LC-MS/MS. Anal Sci Technol 26, 154-63. 

  3. EC (200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products of plant origin in the European Union, Norway, Iceland and Liechtenstein 2006.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Belgium. 

  4. FAO/WHO (2009) Chapter 6: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In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240: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Swiss. 

  5. Jang MR, Moon HK, Kim TR, Yuk DH, Kim EH, Hong CK et al. (2011) The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collected in seoul. J Korean Pestic Sci 15, 114-24. 

  6. KCPA (2012) Pesticides guide.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orea. 

  7. Kim MO, Hwang HS, Lim MS, Hong JE, Kim SS, Do JA et al. (2010)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64-75. 

  8. Kim SH, Choe WJ, Baik YK, and Kim WS (200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consumed in South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15-22. 

  9. Lee JY, Choe WJ, Lee HJ, Shin YW, Do JA, Kim WS et al. (2010) Research on pesticides residue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2009. J Fd Hyg Safety 25, 192-202. 

  10. Lee MG and Lee SR (1997) Reduction factors and risk assessment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Kor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240-8. 

  11. Lee YD (2012) Practical book of Korea food code pesticide residue analysis metho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12. MFDS (2011a) Risk assessment on pesticide residues in Food-2011. Ministry Food and Drug Safety, Korea. 

  13. MFDS (2011b) Risk assessment gui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14. MFDS (201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2012. Ministry Food and Drug Safety, Korea. 

  15. MFDS (2013) Notification 2013-204 Korea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16. MHLW (1999) Pesticide residues in food.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17. MSPA (2013)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statistics-2012.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Korea. 

  18. Park J, Lee H, Oh M, Kim J, Jang T, You Y et al. (2013)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commercial flowering teas. J Korean Pestic Sci 17, 1-5. 

  19. U.S. FDA (2013) Pesticide monitoring program 2009 pesticide repor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