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과 성인의 식품 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 및 개선안 연구
Study on Incidence and Improvement of Food Allergies for Prevention of Damage in Adolescents and Adul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4, 2014년, pp.514 - 528  

김미정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심기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실태를 조사하여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식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10대 이상의 청소년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와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남자가 32.9%, 여자는 67.1%인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40~50세 미만이 3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을 보면 대학교 재학 졸업이 56.4%로 가장 높았고, 직업은 사무관리직과 주부가 2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서는 100~200만 원 미만과 300~400만 원 미만이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평균 식비에서는 30~50만 원 미만이 2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의 41.1%가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증상 부위로는 피부가 80.3%로 가장 높았는데, 연령에 따라서는 피부에서 13세 이상 20세 미만이 88.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호흡기는 40~50세가 1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화기(20.0%)와 전신(6.7%)은 50세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식품 알레르기 발생 횟수로는 연 2~3회가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 방법으로 병원치료를 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5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약물치료 20.6%, 별다른 대처하지 않음 16.0%, 기타 6.1%, 알레르기 원인 식품 제한 3.8% 순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에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병원치료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연령에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하는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품 알레르기의 유발 식품으로는 총 44종의 식품 중에 인스턴트 식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스트푸드, 계란, 생선, 우유, 돼지고기, 새우, 갑각류, 견과류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발생 비율이 높고, 과일에 의한 알레르기는 복숭아를 제외하고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소비자의 관심과 노력, 식품 제조업자의 교육과 관리,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홍보, 정부의 관리 감독 강화, 전문가에 의한 진단과 관리, 소비자 대상 예방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식품 알레르기를 경험한 사람이 비교적 많은 것에 비해서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이 발생되었을 때에 적절한 진단과 체계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식품 첨가물의 섭취 증가로 인해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에 의한 알레르기 발생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 대상 품목을 포괄적인 통칭명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들 국가와 FTA로 식품의 수입과 수출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국제적인 교역증대를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국내 수입식품의 관리를 위해서라도 13개 품목으로 한정되어 있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를 포괄적인 통칭명으로 규정하도록 하고, 가공식품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state and future improvement of food allergies in adolescents and adults in order to prevent damage. In this survey, proportions of females, people in their 40s, college graduates, and office workers and housewives with allergie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Exac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 발생 실태 및 알레르기 식품 표시 제도에 관한 국내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 관리 방안(Seo SH 2000),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에 관한 법학적 고찰(Ko YS 2004), 알레르기 내원 환자의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에 대한 사용도와 만족도 조사(Lee SY et al 2011), 서울지역 학교 급식에서의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조사(Park EJ 2012), 용인지역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알레르기 표시제 인지도 및 식생활 지침 실천 비교(Choi YM 2013), 경북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에 대한 인지도 및 자녀의 식품 알레르기 실태(Kim YG 2013), 전남지역 초․중 영양교사의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인지도 및 수행도 연구(Kim YM 2013) 등으로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국내 연구들이 소아 등의 특정 연령층이나 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가 대부분으로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0대 이상의 청소년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 발생 실태를 조사하여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개선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실태를 조사하여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식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10대 이상의 청소년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와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안 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인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환경의 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알레르기 비염이나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결막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Yang SH et al 2009). 특히 여성의 사회 진출로 확대로 인해 유아에게 모유수유를 포기하고, 분유를 먹이는 경우가 많고, 서구화된 식생활과 식품 가공기술의 발달로 동물성 식품과 가공식품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Seo WH et al 2011).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들은 우리의 먹거리를 다양하고 풍요롭게 한 동시에 식품 알레르기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하였다.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환경의 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어떠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환경의 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알레르기 비염이나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결막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Yang SH et al 2009). 특히 여성의 사회 진출로 확대로 인해 유아에게 모유수유를 포기하고, 분유를 먹이는 경우가 많고, 서구화된 식생활과 식품 가공기술의 발달로 동물성 식품과 가공식품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Seo WH et al 2011).
선진국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제를 법으로 정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식품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제를 시행하는 이유는? 현재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임상적인 치료 방법은 없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 또는 그 식품을 원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일한 예방 방법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은 이를 첨가한 사실을 정확하게 표시해야 하고, 이를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기되어야 한다. 비록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소수일지라도 식품 알레르기 증상 중에 전신적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는 생명을 위협할 만큼 치명적이기 때문에,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감독을 해야 한다(Ko YS 2004). 이러한 이유 등으로 선진국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제를 법으로 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난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새우, 아황산염 등의 13가지 항목에 대해 식품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1-67호)가 시행되고 있다(Lee SY et al 2011, http://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hn KM (2011). Food allergy: diagnosis and management. Allergy Asthma Respir Dis 31: 163-168. 

  2. Arroabarren E, Lasa EM, Olaciregui I, Sarasqueta C, Munoz JA, Perez-Yarza EG (2011) Improving anaphylaxis management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Pediatr Allergy Immunol 22: 708-714. 

  3. Bock SA, Munoz-Furlong A, Sampson HA (2007) Further fatalities caused by anaphylactic reactions to food, 2001- 2006. J Allergy Clin Immunol 119: 1016-1018. 

  4. Boyano-Martinez T, Garcia-Ara C, Diaz-Pena JM, Martin- Esteban M (2002) Prediction of tolerance on the basis of quantification of egg white-specific IgE antibodies in children with egg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110:304-309. 

  5. Choi YM (2013) Comparison of knowledge, perception on food allergy labelling and dietary life practices by food allergy experiences of the upper grades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Yongin area.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pp 1-52. 

  6. Cornelisse-Vermaat JR, Voordouw J, Yiakoumaki V, Theodoridis G, Frewer LJ (2008) Food-allergic consumers' labelling preferences: a crosscultural comparison. Eur J Public Health 18: 115-120. 

  7. Dalal I, Binson I, Reifen R, Amitai Z, Shohat T, Rahmani S, Levine A, Ballin A, Somekh E (2002) Food allergy is a matter of geography after all: sesame as a major cause of severe IgE-mediated food allergic reactions amo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Israel. Allergy 57: 362-365. 

  8. Eller E, Kjaer HF, Host A, Andersen KE, Bindslev-Jensen C (2009) Food allergy and food sensitization in early childhood: results from the DARC cohort. Allergy 64: 1023-1029. 

  9. Greenhawt M (2010) The role of food allergy in atopic dermatitis. Allergy Asthma Proc 31: 392-397. 

  10. Han JS, Hong SO, Kim JS, Han JP, Kim NS (1997) Frequency of food allergy in Korea and the causative food aller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9. 

  11. Han YS, Chung SJ, Cho YY, Choi HM, Ahn KM, Lee SI (2004) Analysis of the rate of sensitization to food allergen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Korean J Community Nutr 9: 90-97. 

  12. Hefle SL, Furlong TJ, Niemann L, Lemon-Mule H, Sicherer S, Taylor SL (2007) Consumer attitudes and risks associated with packaged foods having advisory labeling regarding the presence of peanuts. J Allergy Clin Immunol 120: 171-176. 

  13. Hong SJ, Ahn KM, Lee SY, Kim KE (2008) The prevalences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n Korean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 18: 15-25. 

  14. Jeong HG, Lee CU, Lee CJ (1990) A study of pinprick test with food allergens in chronic urticaria. Human Sci 155: 152-158. 

  15. Kim DS, Ban JS, Park EA, Lee JY, Lee JO, Chang EY, Kim JH, Han YS, Ahn KM, Lim IS (2011) Survey of food allerg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ongjak-gu using questionnaire.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31: 254-259. 

  16. Kim KE, Jung BJ, Lee KY (1995) The incidence and principal foods of food allergy in children with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 2: 96-106. 

  17. Kim KH. Kim MJ, Han YS, Jang YE (2011) My Children of War, Allergy. Knowledge Channel, Korea. pp 173-187. 

  18. Kim WK (2006) Diagnosis and treatment of food allergy in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 16: 274-283. 

  19. Kim YG (2013)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yeongbuk area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and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pp 1-44. 

  20. Kim YM (2013) Studies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task for food allerg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utritionists in Jeonnam area.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pp 1-68. 

  21. Kim YS, Park JW, Kim GY, Song YS, Kim GY, Kim CW, Park JW, Hong CS (2001) The comparision of lifestyle patterns between allergy and non-allergy people-food intake, exercise, smoking, alcohol intake. J Korean Community Nutr 12: 269-277. 

  22. Ko YS (2004) A study on the food labeling system.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pp 27-91. 

  23. Korea Consumer Agency (2010) A survey on the actual marking of food allergen labeling. pp 1-22. 

  24. Korea Consumer Agency (2012)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food allergen labeling for children's processed foods. pp 1-41. 

  25. Lee AH, Kim KE, Lee KE, Kim SH, Wang TW, Kim KW, Kwak TK (2013) Prevalence of food allergy and perceptions on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foodservice among Korean students. Allergy Asthma Respir Dis 1: 227-234. 

  26. Lee KY, Kim KE, Jung BJ (1997) Immediate type reaction of food allergy confirmed by open food challenge test: diagnostic value of history and skin test in food allergy. Pediatr Allergy Respir Dis 7: 173-186. 

  27. Lee SY, Kim KW, Ahn KM, Kim HH, Pyun BY, Park YM, Kim KE (2011) Consumer`s use and satisfaction of allergic food labels. Pediatr Allergy Respir Dis 21:294-301. 

  28. Lee SY, Kim KW, Lee HH, Lim DH, Chung HL, Kim SW, Lee SY, Yang ES, Lee JM, Kim KE (2012)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visits of children with severe food allergy.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32: 169-175. 

  29. Luccioli S, Ross M, Labiner-Wolfe J, Fein SB (2008) Maternally reported food allergies and other food-related health problems in infants: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factors. Pediatrics 122: S105-S112. 

  30. Min KU (1991) Skin test, RAST and provocation test in food allergy.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11: 576-583. 

  31. Ministry of Education (2012)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meal service. pp 1-182. 

  32. Muraro MA, Giampietro PG, Galli E (2002) Soy formulas and nonbovine milk. Ann Allergy Asthma Immunol 89: 97-101. 

  33. Oh JW (2010) Allergic diseases in childhood and food additives.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 212-218. 

  34. Park EJ (2012) Study on level of perception and execution about food allergy in Seoul district school meal service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pp 1-56. 

  35. Piromrat K, Chinratanapisit S, Trathong S (2008) Anaphylaxis in an emergency department: a 2-year study in a tertiarycare hospital. Asian Pac J Allergy Immunol 26: 121-128. 

  36. Pumphrey R (2004) Anaphylaxis: can we tell who is at risk of a fatal reaction?.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4: 285-290. 

  37. Rudders SA, Banerji A, Vassallo MF, Clark S, Camargo CA Jr (2010) Trends in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food-induced anaphylaxis. J Allergy Clin Immunol 126: 385-388. 

  38. Sampson HA (1999) Food allergy. Part 1: Iimmunopathogenesis and clinical disorders. J Allergy Clin Immunol 103: 717-728. 

  39. Sampson HA (2004) Update on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113: 805-819. 

  40. Sampson HA, Scanlon SM (1989) Natural history of food hypersensitivity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 Pediatr 115: 23-27. 

  41. Savage JH, Kaeding AJ, Matsui EC, Wood RA (2010) The natural history of soy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125: 683-686. 

  42. Savage JH, Matsui EC, Skripak JM, Wood RA (2007) The natural history of egg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120: 1413-1417. 

  43. Seo SH (2000) Management of labelling system for foods causing allergy.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pp 1-58. 

  44. Seo WH, Jang EY, Han YS, Ahn KM, Jung JT (2011)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young children at a child care center and hospital in Korea. Pediatr Allergy Respir Dis 21: 32-38. 

  45. Skolnick HS, Conover-Walker MK, Koerner CB, Sampson HA, Burks W, Wood RA (2001) The natural history of peanut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107: 367-374. 

  46. Son DY, Yoon KR, Lee SI (2002) Study of the most common allergic food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85-888. 

  47.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Committee on Epidemiology (2002) The epidemiologic survey of allergic disease in Korean children-adolescent: Atopic dermatitis and food allergy. Pediatr Allergy Respir Dis. 12 Suppl 1: 57-60. 

  48. Vierk KA, Koehler KM, Fein SB, Street DA (2007) Prevalence of self-reported food allergy in American adults and use of food labels. J Allergy Clin Immunol 119: 1504-1510. 

  49. Warrington RJ, Patricia JS, Mephillips S (2006)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to artificial food additives in chronic urticaria. Clin Exp Allergy 16: 527-533. 

  50. Wieslander G, Norback D (2001) Buckwheat allergy. Allergy 56: 703-704. 

  51. Yang SH, Kim EJ, Kim YN, Seong KS, Kim SS, Han CK, Lee BH (2009) Comparison of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pattern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allergy. Korean J Nutr 42: 523-535. 

  5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Enforcement decrees of the school meals act. http://www.law.go.kr/ lsInfoP.do?lsiSeq146542&efYd20131123#0000 (accessed on 12.8.2014) 

  5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Information by prescribing the food labelling standard (Notification No. 2011- 67). http://www.mfds.go.kr/index.do?searchkeytitle:contents &mid686&searchword알레르기&division&pageNo 1&seq3707&cmdv (accessed on 12.8.2014) 

  54. MK Business News (2012) Food allergen labeling requires urgent improvement.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 2012&no607615 (accessed on 5.10.2013) 

  55. Nocut news (2013) Can people die from eating the wrong food ...'there is no alert for food allergies by the government of Korea'. http://www.nocutnews.co.kr/news/1059433 (accessed on 18.10.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