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적정관리를 위한 교육 실태 분석: 우리나라 보건소를 중심으로
Focused on Diabetes Education Practice of Community Health Centers in Ko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4, 2014년, pp.11 - 24  

최은진 (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 of diabetes education along with the specific interventions, process, and outcome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in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a mail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20, 2012 to December 20, 201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은 1년마다 계획 수립, 시행, 평가하게 되어 있어 수집된 결과들을 반영하기에 용이한 체계라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계획 시부터 평가부분을 염두에 두고 당뇨병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기간에 따라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선택, 그 결과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하여 다음에 반영하는 순환체계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해 보아야 할 시점인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당뇨병 교육 운영현황을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당뇨병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국내 당뇨병 교육 표준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보건소 당뇨병 교육의 주요 인력은 간호사였고, 당뇨병 관련 프로그램 운영기간에 비해 담당자의 교육경험은 낮고 대부분 겸직하고 있어 당뇨병 교육자의 전문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건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당뇨병 교육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국내 당뇨병 교육 표준 지침 수립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우리나라 보건소의 당뇨병 교육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국내 당뇨병 교육 표준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추후 보건소에서 운영될 당뇨병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운영자, 교육담당자, 교육목표, 목적집단 설정, 교육내용, 교육형태, 전달방법, 결과지표 및 성과관리 등)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그러므로 국내 당뇨병 교육표준 설정을 위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반드시 보건소에서의 당뇨병 교육 현황조사도 근거자료로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소의 당뇨병 교육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당뇨병 교육 표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당뇨병 관리의 질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2). Executive summary: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12. Diabetes Care, 35, Suppl. 1, S11-63. 

  2. Anderson, D. R., Cristison, L. J., & Procter, G. E. (2010). Self-management goal setting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The impact of goal attainment on diabetes outcomes. Diabetes Spectrum, 23(2), 97-105. 

  3. Boren, S. A., Fitzner, K. A., Panhalkar, P. S., & Specker, J. E. (2009). Costs and benefits associated with diabetes education :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Diabetes Educator, 35(1), 72-96. 

  4. Fillman, D. S. (2010). A new focus for diabetes educators in pre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36(5), 684-686. 

  5. Gu, M. J. (2012). Practice on diabetes nursing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 Suppl. 5, 34-36. 

  6. Haas, L., Maryniuk, M., Beck. J., Cox, C. E., Duker, P., Edwards, L., Fisher, E. B., Hanson, L., Sklaroff, S., Tomky, D., & Yousser, G. (2013).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 Diabetes Care, 36, Suppl. 1, S100-S108. 

  7. Jung, J. H. (2012). Developing strategies for diabetes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 95-98. 

  8. Kang, J. G., Kim, S. G., Hwang, Y. C., Woo, J. T., Nam, H. W., & Committee of Education,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2). Diabetes Educator Training Module (DETM).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 162-166. 

  9. Kim, D. J. (2012). Summary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12.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 7-14. 

  10. Kim, N. S. (2013). Knowledge translation for evidence based health care and quality improvement. Health Welfare Forum, 202, 18-24. 

  11. Korea Diabetes Association. (2012). A report the Korean diabetes study. 

  12. Korea Diabetes Association. (2013, September 1). Regulations on accreditation of diabetes educator. Retrieved from http://www.diabetes.or.kr/general/intro/sub05.php 

  13. Korea Diabetes Association. (2014, January 20).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13. Retrieved from http//www.diabetes.or.kr/pro/publish/guide_2013 

  14.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L., B, J. I., & Lee, S. M.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Seoul : Soomoonsa Publishing. 

  15. Lee, J. H., Jeon, H. J. Kim, K. A., Nam, H. W., Woo, J. T., Ahn, K. J., & Committee of Education, Korea Diabetes Association. (2012). Survey on diabetes education recogni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 219-223. 

  16. Martin, A. L., Lumber, T., Compton, T., Ernst, K., Haas, L., Regan-Klich, J. Letassy, N., McKnight, K. A., Nelson, J. B., Seley, J. J., Toth, J. A., & Mensing, C. (2008). Insights and trends in diabetes education : Result of the 2008 AADE national diabetes education practice survey. The Diabetes Educator, 34(6), 970-986. 

  17. Martin, A. L. (2012). Changes and consistencies in diabetes education over 5 years : Results of the 2010 national diabetes education practice survey. The Diabetes Educator, 38(1), 35-46. 

  18. Martin, A. L., Warren, J. P., & Lipman, R. D. (2013). The Landscape for diabetes education : Result of the 2012 AADE national diabetes education practice survey. The Diabetes Educator, 39(5), 614-622.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The 5th Plan for Community Health Care. Retrieved September, 1, 2013, from http://www.mw.go.kr/front_new/sch/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Health promotion : Understanding policy. Retrieved January, 29, 2014, from http://www.mw.go.kr/front_new/jc/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3). Guide for 2014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Health Center. Unpublished data. 

  22. Mulcahy, K., Maryniuk, M., Peeples, M., Peyrot, M., Tomky, D., Weaver, T., & Yarborough, P. (2003). Technical Review :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core outcomes measures. The Diabetes Educator, 29(5), 768-803. 

  23. Park, S, W. (2008). Management of Diabetes : Diabetes education is essential. Retrieved August, 6, 2012, from http://whosaeng.com/newnews 

  24. Seo, N. G., Ann, S. J., Hwang, Y. H., Jung, Y. H., & Ko, S. J. (2012). A report o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of the 2010.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5. Sim, K. H. (2011). Tips for Creating Effective Health Education Material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2, 99-103. 

  26. Wang, M. J., Jo, S. J., Jo, Y. H., Park, I. H., Go, J. E., Choi, H, J., Ann, O. H., Kim, H. G., & Kim, M. H. (2011). Community Health Nursing (5th). Seoul : Hyunmoonsa Publishing.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February 11) 1998 Press Releases : Diabetes and human right. Retrieved February 11, 2014, from http://www.who.int/inf-pr-1998/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