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상자 중심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Client-Centered Self Management Program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Focusing on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4, 2014년, pp.93 - 106  

송연이 (충청대학교 간호학과) ,  이강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조현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빛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fficient program protecting shift to cerebrovascular disease as complication for patients with diabetes and hypertension. Methods: Chronic disease self management program(CDSMP), implement manual, action plan, Q&A card and motivation method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운영되어 온 국내의 만성질환 관리사업 중 자가관리 내용이 포함된 프로그램과 국외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대상자 중심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고혈압, 당뇨병에 대한 평소 궁금했던 점이나 고민들을 미리 작성된 교육자료인 Q&A카드를 통하여 서로 이야기 해보고 스스로 점검하며, 잘못된 생활습관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
  • 교육 훈련의 내용은 고혈압, 당뇨병 에 대한 질병의 이해와 함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에서 대상자에게 실시할 교육내용인 생활습관개선, 정신적 영역관리, 운동, 영양, 합병증관리를 중심으로 이론교육과 실습으로 구성하며, 보건교육 기술 및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또한, 대상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만성질환자 의사소통의 실제를 교육한다. 전문가 리더 교육생을 대상으로 실제 프로그램 운영 가상팀을 구성하여 실제 프로그램의 전문가 리더로서의 경험을 하며, 또한 비전문가 리더로서의 경험을 해 볼 수 있도록 활동계획 실습을 하도록 구성한다.
  • 위에서 제시된 국내외 사례 등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상자 중심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원칙은 기존 만성질환 관리사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지속적인 관리(치료율 및 지속률)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환자가 중심이 되어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이끌어 나가는 것을 운영원칙으로 한다.
  • 이 글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은 스탠포드의 CDSMP와 영국의 EPP를 기반으로 하지만, 특히, Q&A카드를 구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만성질환의 자가관리 기술에 대한 상식과 오류를 숙련환자 리더와 프로그램 참여자 중심으로 스스로 익히고 토론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을 최대한 증진시켜 지속적으로 자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유지와 증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관리는 정부 주도의 보건소 중심 만성질환 관리 사업 외에 건강보험공단을 중심으로 하는 만성질환 사례관리 사업이 있다. 이 사업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건강보험 가입자의 자기 건강관리능력을 향상시켜 건강증진행태 개선 및 합리적 의료이용을 하게 함으로써, 만성질환자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여 건강상태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장기적으로는 건강보험 가입자의 의료비용과 건강보험 재정의 절감을 목적으로 하였다(NHIS, 2007).
  • 일차의료지원센터를 개설하여 간호사, 영양사 등의 전문인력을 배치하고, 환자의 평소 건강관리 상황을 점검하도록 하며 이를 의사에게 보고하고 이를 보고 받은 의원급 의료기관 의사는 이를 토대로 환자에게 전문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차의료지원센터를 통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건강서비스를 연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시범사업을 통해 의원급 의료서비스에서 필요한 교육상담서비스에 대한 급여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검토하며, 약 3년간 시범사업 추진 후 평가를 통해 전국 제도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일차의료 기능 강화 및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중장기적으로 고혈압 당뇨병의 적정관리로 합병증 예방을 통해 불필요한 입원감소 등을 도모하여 국민의료비를 절감효과를 기대하고 있다(MHW, 2013b).
  • 스탠포드대학교 의과대학의 가정의학과와 지역사회의학과는 캘리포니아 주의 Tobacco-Related Disease office와 연방정부의 Agency for Health Care Research and Policy로부터 5년간 연구비를 받아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CDSMP)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작위 비교연구를 통해, 만성질환자를 돕는 지역사회 기반의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1996년에 완성되었는데, 프로그램은 Dr.
  • 호주의 New South Wales 지역에서 관절염 환자를 돕기 위해 조직된 Arthritis NSW에 의해 개발된 만성질환자를 위한 포괄적인 자가관리 프로그램인 "Moving On"은 대상자에게 행동변화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획득하도록 돕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프로그램은 집단교육과 개인적인 자가관리 계획을 이용하여 그들의 만성질환 상태를 자가관리하기 위한 기술과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효능감 이론과 범이론적 행동변화모델에 기반을 한 것이다.
  • 특히 스탠포드의 CDSMP나 영국의 EPP와의 차이점으로 자조모임시 이 프로그램의 강의를 통해 학습한 고혈압 당뇨병의 치료와 일상생활관리 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 다양한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된 Q&A카드를 구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전문가 리더의 개입없이 만성질환의 자가 관리 기술에 대한 상식과 오류를 숙련환자 리더와 프로그램 참여자가 스스로 익히고 토론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을 최대한 증진시켜 지속적으로 자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계속적 질 관리와 대상자에 미치는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구조영역, 과정영역, 결과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 세부 평가내용을 제시하였다.
  • 호주의 New South Wales 지역에서 관절염 환자를 돕기 위해 조직된 Arthritis NSW에 의해 개발된 만성질환자를 위한 포괄적인 자가관리 프로그램인 "Moving On"은 대상자에게 행동변화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획득하도록 돕는데 목적을 두었다.
  • 둘째, 주단위로 성취 가능한 작은 단위의 세분화된 목표 수립 방법을 학습하며, 매 세션마다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활동계획을 수립한다. 활동계획대로 수행할 수 없을 시의 대처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교육한다. 셋째, 문제 발생 이유에 대해 스스로 진단하여 해결방법을 작성하고 동료 집단과 공유한 후 동료집단으로부터 동기부여와 역할모델을 함으로써 성취감과 자존감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 또한 자조모임에서 사용하는 고혈압, 당뇨병에 대한 Q&A 카드를 포함한 교육도구 활용법을 설명하고, 연습해 보도록 한다. 활동계획을 활용한 경험나누기를 실제로 수행하도록 하여 자조모임시의 주의사항과 의사소통 방법을 경험해 보고, 서로 토의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증감추세는?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준으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0-14세 인구의 감소와 65세 이상의 인구의 증가추세에 있고, 총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율이 2020년 15.7%, 2040년 32.
65세 이상의 인구 예상 비율은?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준으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0-14세 인구의 감소와 65세 이상의 인구의 증가추세에 있고, 총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율이 2020년 15.7%, 2040년 32.3%, 2050년 37.4%로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1). 또한,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81.
노인인구 증가는 만성 질환자 비율의 증가와 연계성이 있는가? 이러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는 만성 질환자 비율의 증가와 연계된다.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 24.6%에서 2012년 29.0%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65세 이상의 경우 남자는 49.3%에서 59.3%로 10% 증가하였고, 여자는 61.8%에서 68.5%로 6.7% 증가하였다. 당뇨병 유병률도 2001년 8.6%에서 2012년 9.0%로 증가하였고, 65세 이상의 경우는 남자 15.1%에서 24.3%로 증가했으며, 여자는 17.7%에서 19.3%로 증가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13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dura, A. (1971). Social Learning Theory. New York, USA: General Learning Press. 

  2. Bodenheimer, T., Lorig, K., Holman, H., & Grumbach, K. (2002). Patient self-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in primary care. JAMA, 288(19), 2469-2475. 

  3. Expert Patients Programme - Community Interest Company. (2014, July 9). Healthy lives equal healthy communities - The social impact of self management. Retrieved from http://caninvest.org.uk/uploads/editor/files/Invest/EPP_social_i mpact_report.pdf 

  4. Health Insurance Review&Assessment Service.(2008). 

  5. Hwang, E. A. (2012). An acceptance expanding way of medical consumer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at clinic level. Policy trends of consumer, 32, 1-26. 

  6. Hyoung, H. K., Jang, H. S. (2011).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mong Hypertension Group, DM Group, and Hypertension DM Group for the Aged Provided with Customized Home Care Service by Visiti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2(1), 11-21. 

  7. Jang, H. S., Jin, Y. R., Nam, S. Y., Hong, D. H. (2005).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 in Seoul. Cheongju: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8. Jeong, Y. H., Ko, S. J., Kim, E. J.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oul: KIHASA. 

  9. Kim, H. S., et al. (2011). Effect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Metabolic Syndrome - A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ition, 28(2), 51-62.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4). 2014 Standard practice guideline for registration management of hypertension diabetes. Cheongju, Korea:Author. 

  11. Lee, J. H. (2010). A project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enter for chronic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Michuhol health point system. Local informatization magazine, 61, 26-31. 

  12. Lee, K. S., Kam, S., Park, K. S., Jeong, B. G., Kim, S. G. (2007). Community-based hypertension and diabetes management model development for improving adherence and compliance.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3. Lorig, K. R., Sobel, D. S., Stewart, A. L., Brown, B. W., Bandura, A., Ritter, P., Gonzalez, V. M., Laurent, D. D., Holman, H. R. (1999). Evidence suggesting that a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can improve health status while reducing hospitalization - A randomised trial. Medical Care, 37(1), 5-14.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3]. Sejong, Korea:Author.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Press release : A pilot project promotion of new primary healthcare model. retrieved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A guideline of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community - part of visiting health services in 2014. Sejong, Korea:Author. 

  17. Mollica, R. L., Gillespie, J. (2003). Care coordination for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Maryland: Johns Hopkins University.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Review&Assessment Service. (2013). 2012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Korea:Author.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7). Press release 2007.01.26. retrieved from: http://stat.mw.go.kr/front/include/download.jsp?bbsSeq15&nttSeq9667&atchSeq934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A case research in England for a patient centered health care services. Seoul, Korea: Author. 

  2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2012 National health screening result analysis. retrieved from: http://www.nhis.or.kr/portal/site/main/MENU_WBDDG0206 

  2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July 9). Chronic care based on primary clinics FAQ. retrieved from: http://hi.nhic.or.kr/ggpb007m01_p01.do 

  23. OECD. (2014). OECD Health Data 2014.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 

  24.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Interoperable EHR. (2009). Informatization planning for chronic disease. Retrieved from: http://www.snu-dhpm.ac.kr/pds/files/%B8%B8%BC%BA%C1%FA%C8%AF%20%C1%A4%BA%B8%C8%AD%20%BD%C7%C0%FB%BA%B8%B0%ED%BC%AD(FULL).pdf 

  25. Stanford school of medicine. (2014, July 9).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Retrieved from: http://patienteducation.stanford.edu/programs/cdsmp.html 

  26. Statistics Korea. (2011).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 2010-2060. Daejeon, Korea:Author. 

  27. Statistics Korea. (2013).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orea:Author. 

  28. Williams, A. A., Bloomfield, L., Milthorpe, E., Aspinall, D., Filocamo, K., Wellsmore, T., Manolios, N., Jayasinghe, U. W., Harris, M. F. (2013). Effectiveness of moving on: an Australian designed generic self-management program for people with a chronic illnes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3(90), 1-15. 

  29. Yim, J., Ko, K. P., Han, E. A.(2012). The effects assessment of chronic care management based on primary clinics for hypertension, diabetes patients.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30. Yoon, S. J. (2012). An improvement direction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olicy brief, 6(1), 5-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