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Different Part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369 - 1379  

이혜련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이종헌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박철성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라경란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하진숙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차미현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김세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최용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황진봉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남진식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강을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생강 부위별 각종 영양성분 분석 및 용매 추출을 달리하여 항산화능 비교 분석, 유효성분으로 gingerol류, shogaol류 및 catechin류를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생강 잎, 줄기, 뿌리 모두 탄수화물과 회분이 주된 구성성분이었으며, 생강 뿌리에 비해 잎, 줄기에서 조섬유의 함량이 4~5배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그리고 환원당 함량은 뿌리에 비해 줄기에서 약 3배 정도 높았다. 조사포닌 함량은 줄기<뿌리<잎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뿌리보다 잎에서 1.7배 높았다(P<0.05). 무기질 조성 및 함량은 생강 부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줄기의 Sr, Ca, K 함량은 뿌리보다 4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잎의 Ca 함량은 뿌리보다 5배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Gingerols, shogaols 및 capsaicin 함량은 생강 뿌리에서 7종 성분 모두 확인되었으며, 잎과 줄기에서도 6-gingerol, 10-gingerol, 8-shogaol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8-shoaol은 뿌리보다 잎에서 5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함량 및 조성분석에서는 지방산 중 capric acid는 생강 뿌리에서만 검출되었으며, arachidic acid는 잎, 뿌리에서만 검출되었다. 잎은 줄기, 뿌리에 비해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의 필수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뿌리보다 약 5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페놀함량 측정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뿌리<잎<줄기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분획에서 잎은 물층에서 43.9 g/kg, 줄기는 에틸아세테이트에서 65.5 g/kg, 뿌리는 헥산에서 187.2 g/k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 줄기의 모든 분획물은 뿌리의 분획물 함량과 비슷하거나 높은 함량을 보였다. Catechin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뿌리<잎<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줄기는 뿌리에 비해 약 30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생강의 잎, 줄기에서도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인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로 보아 생강은 뿌리 단독보다는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잎의 경우 식용으로 인정되어 있지 않아 이를 활용하기 위한 허가 추진 및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stem, and root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 were determined. Nutrient composition, reducing sugar, saponin, mineral, heavy metal,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ased on DPPH radica...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강 줄기와 잎의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강의 잎, 줄기, 뿌리에 대해 일반성분, 사포닌, 무기질, 지방산 함량 등 각종 영양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용매 분획별 항산화 활성 비교 분석, 유용성 물질로 gingerols, shogaols, capsaicin 및 catechin류를 분석하여 생강 부산물의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강의 원산지는?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작물로 근경 부위의 독특한 향기와 매운맛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기호성이 좋은 향신료이다(1). 국내에서는 김치, 젓갈, 과자류 등에 향신료로 첨가되는 등 용도가 다양하며, 한방에서는 위를 튼튼하게 하는 건위약(健胃藥)으로 사용되어 왔고 소화불량, 구토, 진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3).
생강은 한방에서 어떤 약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작물로 근경 부위의 독특한 향기와 매운맛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기호성이 좋은 향신료이다(1). 국내에서는 김치, 젓갈, 과자류 등에 향신료로 첨가되는 등 용도가 다양하며, 한방에서는 위를 튼튼하게 하는 건위약(健胃藥)으로 사용되어 왔고 소화불량, 구토, 진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3). 생강에는 zingiberene, γ-cardinen 등의 휘발성 향기성분과 zingiberol, zingiberene 등의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4).
생강의 매운맛 성분 중 gingerol은 어떤 특징을 갖는 성분인가? 추출은 메탄올과 에테르로 추출하여 진한 갈색의 점조성의 생강 특유냄새를 가진 oleoresin을 얻었으며 이를 헥산을 이용하여 갈색 유상의 조추출물을 얻었다. 생강의 매운맛 성분 중 gingerol은 생강의 가장 강력한 매운맛 성분일 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에 비하여 그 함량도 많기 때문에 생강의 저장, 유통 중의 품질지표물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그리고 gingerol은 aldehyde unit 길이에 따라 매운맛 정도 및 효능도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im JS, Koh MS, Kim YH, Kim MK, Hong JS.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41-149. 

  2. Seo BI, Byun BH, Shin SS, Kim BH. 2003. Herbal food. Bethel Pub. Co., Daegu, Korea. p 102-104, 166-168, 190-192. 

  3. Lee HM, Kim KT, Lee K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s the ripening periods. J Fd Hyg Safety 27: 479-486. 

  4. Connell DW. 1970. The chemistry of the essential oil and oleoresi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Flav Ind 1: 677-693. 

  5. Sheo HJ. 1999.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4-99. 

  6. Thomson M, Al-Qattan KK, Al-Sawan SM, Alnageeb MA, Khan I, Ali M. 2002. The use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 as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and antithrombotic agent.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67: 475-478. 

  7. Cooksley VG. 1996. Aromatherapy: a lifetime guide to healing with essential oils.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p 349-350. 

  8. Lee EJ, Yang SA, Choi HD, Im HG, Whang K, Lee IS. 2011. Comparison of gingerols in various fractions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ging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69-474. 

  9. Lee YB, Kim YS, Ashmore CR. 1986. Antioxidant property in ginger rhizome and it's application to meat products. J Food Sci 51: 20-23. 

  10. Surh YJ. 1990. Molecular mechanisms of chemopreventive effects of selected dietary and medicinal phenolic substances. Mutat Res 428: 305-327. 

  11. Lee YK, Ahn SY. 1985. Oxidation prevention effect of ginge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5-59. 

  12. Lee SE, Lee SW, Bang JK, Yu YJ, Seong NS.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stem and root of Panax ginsen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237-242. 

  13. Kim GS, Hyun DY, Kim YO, Lee SE, Kwon H, Cha SW, Park CB, Kim YB. 2010. Investigation of ginsenosides in different parts of Panax ginseng cultured by hydroponics. Kor J Hort Sci Technol 28: 216-226. 

  14.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5.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6.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v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17. Shibata M, Noguchi R, Suzuki M, Iwase H, Soeda K, Niwayama K, Kataoke E, Hamano M. 1971. Pharmacological studies on medicinal plant components. I. On the extracts of Ophiopogon and some folk medicine. Proc Hoshi Pharm 13: 66-76. 

  18.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4. 

  19. Shao W, Powell C, Clifford MN. 1995. The analysis by HPLC of green, black and Pu'er teas produced in Yunnan. J Sci Food Agric 69: 535-540. 

  2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2. Ryu BH, Choi MJ, Chung KC, Lee SK. 2012. Effect of extrusion process on the change of components i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1-416. 

  23. Park H, Lee MK, Lee CH. 1986. Effect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root grown with nutrient solution. J Korean Agric Chem Society 29: 78-82. 

  24. Kong BM, Park MJ, Min JW, Kim HB, Kim SH, Kim SY, Yang DC.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fermented and red ginseng extracts. J Ginseng Res 32: 238-243. 

  25. Kim SH. 2011. A study on the sapo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inseng and extruded ginseng by using different solvents for extraction. Korean J Food & Nutr 24: 528-537. 

  26. Liu W, Huang W, Sun W, Zhu Y, Ni J. 2010. Production of diosgenin from yellow ginger (Dioscorea zingiberensis C.H. Wright) saponins by commercial cellulase.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6: 1171-1180. 

  27. Lee JH, Nam KY, Kim MS, Bae HW. 1978. Relationship between the mineral nutrients up-take and the age of ginseng plant (Panax ginseng C.A. Meyer) J Korean Agric Chem Society 21: 58-62. 

  28. Arnaud J, Bouillet MC, Alary J, Favier A. 1992. Zinc determination in human milk by flameless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after dry ashing. Food Chem 44: 213-219. 

  29. Otunola GA, Oloyede OB, Oladiji AT, Afolayan AJ.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ices - Allium sativum L., Zingiber officinale Rosc. and Capsicum frutescens L. commonly consumed in Nigeria. African J Biotechnol 9: 6927-6931. 

  30. Lee GA, Chang YK, Park SY, Kim GA, Kim SH, Park KC, Kim YB, Cha SW, Song BH. 2012. Comparative analysis on concentration and uptake amount of mineral nutrients in different growth stages and temperatures of Panax ginseng C.A. meyer grown with hydroponic cultur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 251-258. 

  31. KFDA. 2012.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FDA, Seoul, Korea. p 2-1-8. 

  32. Choi J. 1996. A study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shoreline plant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58-59. 

  33. Choi SN, Chung NY. 2003. The study on the trace metals in potatoes and root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23-230. 

  34. Dugasani S, Pichika MR, Nadarajah VD, Balijepalli MK, Tandra S, Korlakunta JN. 2010. Compara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6]-gingerol, [8]-gingerol, [10]-gingerol and [6]-shogaol. J Ethnopharmacol 127: 515-520. 

  35. Kiuchi F, Iwakami S, Shibuya M, Hanaoka F, Sankawa U. 1992. Inhibition of prostaglandin and leukotriene biosynthesis by gingerols and diarylheptanoids. Chem Pharm Bull (Tokyo) 40: 387-391. 

  36. Wu H, Hsieh MC, Lo CY, Liu CB, Sang S, Ho CT, Pan MH. 2010. 6-Shogaol is more effective than 6-gingerol and curcumin in inhibiting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induced tumor promotion in mice. Mol Nutr Food Res 54: 1296-1306. 

  37. Chen CC, Kuo MC, Ho CT. 1986.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determination of pungent gingerol compound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J Food Sci 51: 1364-1365. 

  38. Zielinski H, Kozlowska H.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cereal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 2008-2016. 

  39. Chanmugam P, Boudreau M, Boutte T, Park RS, Hebert J, Berrio L, Hwang DH. 1992. Incorporation of different types of n-3 fatty acids into tissue lipids of poultry. Poult Sci 71: 516-521. 

  40.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41. Ghasemzadeh A, Jaafar HZ, Rahmat A. 2011. Identification and concentration of some flavonoid components in Malaysian young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varieties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Molecules 15: 6231-6243. 

  42. Suganuma M, Okabe S, Sueoka N, Sueoka E, Matsuyama S, Imai K, Nakachi K, Fujiki H. 1999. Green tea and cancer chemoprevention. Mutat Res 428: 339-344. 

  43. Chung HY, Yoon SJ.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according to serial solvent fractio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92-10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