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도 지역과 전라도 지역 초등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 비교(I) -인지도와 선호도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I) -Focus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439 - 1446  

황혜인 (경남대학교 대학원 첨단공학과 식품영양전공)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조사대상의 거주 지역별(경상도 지역, 전라도 지역) 차이를 분석하고 동시에 지역별 향토음식(경상도 향토음식, 전라도 향토음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라도 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61명과 경상도 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 학생들의 전체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는 9.28점(20점 만점 기준)이었으며, 전체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에서 경상도 지역 학생(9.43)과 전라도 지역 학생(9.13)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체 표본 학생들의 경상도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는 4.88점(10점 만점 기준), 전라도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는 4.40점(10점 만점 기준)으로 경상도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전라도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전라도 지역 초등학생은 두 지역 향토음식의 인지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경상도 지역 초등학생은 전라도 향토음식보다 경상도 향토음식을 유의적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P<0.001). 경상도 향토음식의 경우 경상도 지역 학생(5.17점)이 전라도 지역 학생(4.60점)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인지하고 있었고(P<0.05), 전라도 향토음식에서는 경상도 지역 학생(4.26점)과 전라도 지역 학생(4.53점)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전체 표본 학생들의 전체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2.82점(5점 척도 기준)으로 조사되었으며, 경상도 지역 초등학생 2.90점, 전라도 지역 초등학생 2.74점으로 경상도 지역 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전라도 지역 초등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1). 전체 표본 학생들의 지역별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 차이 분석 결과, 경상도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2.91점, 전라도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2.72점으로 경상도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전라도 향토음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전라도 지역 학생(P<0.001)과 경상도 지역 학생(P<0.001) 모두 전라도 향토음식보다 경상도 향토음식에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도 향토음식의 선호도의 경우 경상도 지역 학생(3.03점)이 전라도 지역 학생(2.80점)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수준이었으며(P<0.001), 전라도 향토음식의 선호도의 경우 경상도 지역 학생(2.77점)과 전라도 지역 학생(2.67점)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경상도 지역 학생과 전라도 지역 학생 간에 향토음식의 인지도와 선호도에 차이를 보여 지역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경상도 지역 학생의 경우 경상도 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전라도 지역 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초등학생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색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경상도 지역 학생들에게 다양한 지방의 향토음식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그리고 경상도 지역 학생과 전라도 지역 학생 모두에서 경상도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전라도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전라도 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도록 꾸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as well as compare regional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between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A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조사대상의 거주 지역별(경상도 지역, 전라도 지역) 차이를 분석하고 동시에 지역별 향토음식(경상도 향토음식, 전라도 향토음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라도 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61명과 경상도 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연구 대상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지역적 차이를 나타내는 경상도 지역과 전라도 지역으로 구분하여 거주 지역에 따른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지역별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상도 향토음식과 전라도 향토음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과 조사대상의 범위를 넓혀 선행 연구 결과의 비교 고찰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안동 지역 청소년(15)과 제주 지역 청소년(11)을 대상으로 한 향토음식의 선호도 분석에서도 대부분의 음식에 대해 5점 만점 중 전체적으로 3점에 근접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음식이 중요한 것은 단순히 생명유지를 위한 절대적 필요성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짐과 동시에 오랜 세월에 걸쳐 자연환경, 정치적 환경, 경제적 환경, 사회적 환경, 생활양식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문화로써 형성되었기 때문이다(1). 우리나라 음식 문화의 한 부분인 향토음식은 지역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타 지역의 음식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맛과 형태를 지닌 음식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향토음식이란 무엇인가? 음식이 중요한 것은 단순히 생명유지를 위한 절대적 필요성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짐과 동시에 오랜 세월에 걸쳐 자연환경, 정치적 환경, 경제적 환경, 사회적 환경, 생활양식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문화로써 형성되었기 때문이다(1). 우리나라 음식 문화의 한 부분인 향토음식은 지역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타 지역의 음식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맛과 형태를 지닌 음식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향토음식은 특정 지역에 기반을 둔 음식으로써 그 지역의 자연환경에 순응하면서 변화를 거듭하고 정치·사회·문화적 여건 등과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 음식 문화의 한 부분인 향토음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은 긴 역사를 통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발전된 향토음식의 큰 집합체로 볼 수 있다. 즉 지역성의 차이에서 생겨난 음식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문화적 변동을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변화되어 독특한 음식문화를 만들게 되고, 이러한 각각의 음식문화가 모여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근간을 이루는 향토음식들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2).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 향토음식은 지역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지역성·고유성 없이 획일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그에 따라 우리의 식탁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의 재료나 종류의 수가 몇 가지 품목으로 한정되어 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wangju Folk Museum. 2009. The Korean food. Gwangju Folk Museum, Gyeonggi-do, Korea. p 119, 299-314. 

  2. Jung NW, Cha KH. 2007. The local food. Kyomunsa, Gyeonggi-do, Korea. p 17-21, 26-27, 107-108, 147-148. 

  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Korean traditional local foods 8: Gyeongsangbuk-do. Kyomunsa, Gyeonggido, Korea. p 3-6, 32-35. 

  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Korean food and health. Kyomunsa, Gyeonggi-do Korea. p 142, 245. 

  5. Kim EY.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oodservice enterprise. MS Thesis. Kyunggi University, Suwon, Korea. p 45-46, 51-55, 87-93. 

  6. Kim IS, Choi O, Yu HH, Shin MG. 2007. Recogni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Jeonju area of Korea by adul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765-779. 

  7. Park GT.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 around Gimhae, Gyeongnam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17: 98-110. 

  8. Park BH. 2004.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imje.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 15-16, 22, 43-46, 49-55. 

  9. Park SS. 2004. A verification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recognition of native cuisine: with respect to Hadong-gun area, Kyungsangnam-Do. MS Thesis. Gyeongju University, Gyeongju, Korea. p 70-72, 75-78. 

  10. Park YS.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 foods. MS Thesis. Namseoul University, Cheonan, Korea. p 49-51. 

  11. Shin JH. 2009. An analysis of students' recognition and acceptance for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at middle school in Jeju.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p 57-58, 72-74, 80-87. 

  12. Shim SA. 2003. A study on awareness and preference of regional food by housewives in Naju area.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p 92-95. 

  13. Shim SH. 2011.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local foods in Gangwon-do: the case of university students in Yeongdong area, Gangwon-do. M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p 84-88. 

  14. Yang HS, Rho JO. 2005. Recognition and preference native local foods by university students in Chonbuk area. J Korean Home Economics 43: 49-58. 

  15. Lee GJ. 2002. A study on awareness and preference of Andong regional food by Andong teenager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78-81. 

  16. Lee SJ. 2005.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local food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52-54, 60-68. 

  17. Lee YH. 2009. A study on local food awareness in Gangwon province.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68-72. 

  18. Lee JH. 2011.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recognition regarding traditional local food of Daegu.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p 45-46. 

  19. Jeon HJ. 2008. Awareness of Seosan traditional local dishe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45-47. 

  20. Jung SH.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om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in school meal service concerning Busan, Kyengsangnamdo local foods. M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p 58-60, 68-72. 

  21. Ha MO. 200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inhabitants for local foods in Ulsan area.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p 84-92. 

  22. Hong K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local food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M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p 84-89. 

  23. Jin SS, Kim HS. 2012. A study on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native local foods in Jeju.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8: 165-192.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The dictionary of traditional local foods. Kyomunsa, Gyeonggi-do, Korea. p 171, 385.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Good food for food service: taste travel with local food. Modern Plus, Gyeonggi-do, Korea. p 14-17, 22-29, 52-63, 72-87, 106-117, 140-147, 176-179, 182-185, 190-193. 

  26.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7. Standardized recipe for institutional foodservic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eoul, Korea. p 320-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