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쌀귀리 단백질의 알칼리 추출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Alkali Extraction for Preparing Oat Protein Concentrates from Oat Groa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462 - 1466  

정용선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정원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의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길나영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산성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홍순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칼리 추출법을 이용하여 쌀귀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추출수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칼리 농도 조건 및 침전 pH 조건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추출수율은 추출용매인 알칼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침전 pH 4.9 부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알칼리 농도가 침전 pH에 비하여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 추출 공정으로 얻어진 귀리 단백질 농축물의 질소용해지수는 등전점 부근인 pH 5에서 최소값을 나타내었고, pH 3 이하, pH 7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알칼리 추출 공정의 최적화를 위한 회귀분석 결과, 알칼리 농도 0.06 N, 침전 pH 4.7에서 최대 수율 85.89%로 예측되었으며 예측모델식과 실제 측정값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설계된 실험모델식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알칼리 추출법을 이용한 귀리 단백질 추출 시 알칼리 농도와 침전 pH가 각기 다름을 보였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귀리 단백질 농축물 제조를 위한 알칼리 추출 공정의 최적 조건은 알칼리 농도 0.06 N, 침전 pH 4.7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produce oat protein concentrates from defatted oat groat by alkali extraction. Independent variables formulated by D-optimal design were NaOH concentration (X1, 0.005~0.06 N) for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pH (X2, pH 4.0~6.0),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귀리 단백질의 알칼리 추출 공정 시 추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알칼리 농도, 침전 pH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통계적 실험방법 중 하나인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해 최적 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식품 산업에서 알칼리 추출법의 적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칼리 추출법을 이용하여 쌀귀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추출수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알칼리 농도 조건 및 침전 pH 조건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추출수율에는 어떤 경우에 높아졌는가? 알칼리 추출법을 이용하여 쌀귀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추출수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칼리 농도 조건 및 침전 pH 조건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추출수율은 추출용매인 알칼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침전 pH 4.9부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알칼리 농도가 침전 pH에 비하여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 추출 공정으로 얻어진 귀리 단백질 농축물의 질소용해지수는 등전점 부근인 pH 5에서 최소값을 나타내었고, pH 3 이하, pH 7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귀리 단백질의 유화 기능성은 다른 물질과 비교하여 어떠한가? 이처럼 귀리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lysine 등 18개로 구성되어 필수아미노산이 균형 있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채식을 위주로 하는 사람들을 위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그 가치가 높다. 또한 귀리 단백질의 유화 기능성은 밀 글루텐, 대두단백질 등과 비슷한 수준으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4) 천연 유화 소재로 이용될 여지가 충분하다. 뿐만 아니라 귀리 단백질에는 감칠맛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glutamic acid의 함량이 약 23%로 다른 곡류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5,6), 타 천연조미료의 원료인 버섯류, 어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기 때문에 향후 천연조미료 관련 산업의 소재로 응용될 가능성이 높다.
귀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해 알칼리 추출법을 사용할 경우 장점은? 알칼리 추출법은 귀리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알칼리 조건에서 단백질을 용출시킨 후 용출된 단백질을 산성 조건의 pH에서 침전시켜 분획・획득하는 방법을 말한다(7-9). 알칼리 추출법은 효소를 이용하여 세포 벽에 존재하는 다당류를 분해하여 추출하는 효소처리법 (10-12) 또는 다른 물리적, 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추출수율이 낮지만(13) 방법이 간단하고 추출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시간적, 비용적인 면에서 경제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알칼리 추출법은 귀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한 주된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추출수율 및 이의 개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단백질 추출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추출 용액의 알칼리 농도와 침전 pH 조건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어(4,7-9,14), 이의 최적화는 귀리 단백질 이용의 극대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acrae R, Robinson R, Sadler MJ. 1993.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 3319-3322. 

  2. Forsberg RA, Reeves DL. 1992. Breeding oat cultivars for improved grain quality. In Oat Science and Technology, Agronomy Monograph 33. Marshall HG, Sorrells ME, ed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p 751-775. 

  3. Burnette D, Lenz M, Sisson PF, Sutherland S, Weaver SH. 1992. Marketing, processing and uses of oat for food. In Oat Science and Technology, Agronomy Monograph 33. Marshall HG, Sorrells ME, ed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p 247-263. 

  4. Ma CY. 1983.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ity assessment of protein concentrates from oats. Cereal Chem 60: 36-42. 

  5. Hischke Jr HH, Potter GC, Graham Jr WR. 1968. Nutritive value of oat protein. I. Varietal differences as measured by amino acid analysis and rat growth responses. Cereal Chem 45: 374-378. 

  6. McMullen MS. 1991. Oats. In Handbook of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p 199-263. 

  7. Cluskey JE, Wu YV, Wall JS, Inglett GE. 1973. Oat protein concentrates from a wet-milling process: preparation. Cereal Chem 50: 475-481. 

  8. Hohner GA, Hyldon RG. 1977. Oat groat fractionation process. US Patent 4,028,468. 

  9. Ma CY. 1983. Preparation,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oat protein isolate. Can Inst Food Sci Technol J 15: 201-205. 

  10. Guan X, Yao H. 2008. Optimization of L-assisted extraction of oat bran protei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Chem 106: 345-351. 

  11. Liu J, Guan X, Zhu D, Sun J. 2008. Optimization of the enzymatic pretreatment in oat bran protein extraction by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s for response surface modeling. LWT-Food Sci Technol 41: 1913-1917. 

  12. Jodayree SC, Smith J, Tsopmo A. 2012. Use of carbohydrase to enhance protein extraction efficienc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oat bran protein hydrolysates. Food Res Int 46: 69-75. 

  13. Tang S, Hettiarachchy NS, Shellhammer TH. 2002. Protein extraction from heat-stabilized defatted rice bran: 1. Physical processing and enzyme treatment. J Agric Food Chem 50:7444-7448. 

  14. Ma CY, Haewalkar VR, Paquet A. 199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kali-treated oat globulin. J Agric Food Chem 38: 1707-1711. 

  15. Xu X, Skands ARH, Adler-Nissen J, Hoy CE. 1998. Production of specific structured lipids by enzymatic interesterification:optimization of the reaction by response surface design. Lipid/Fett 100: 463-471. 

  16. Lee YS, Ha JK, Lee ES. 2008. Optimization of peel adhesion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ing design of experiments.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9: 22-27. 

  17. Lee GD, Lee JE, Kwon JH. 2000.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food industry. Food Science and Industry 33: 33-45. 

  18. Bera MB, Mukherjee RK. 1789. Solubility, emulsifying, and foaming properties of rice bran protein concentrates. J Food Sci 54: 142-145. 

  19. Lowry OH, Nida J, Rosebrough A, Lewisfarr R, Ranoall 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0.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292. 

  21. Shen L, Wang X, Wang Z, Wu Y, Chen J. 2008. Studies on tea protein extraction using alkaline and enzyme methods. Food Chem 107: 929-938. 

  22. Kinsella JE. 1976.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ins in food: a survey. CRC Crit Rev Food Sci Nutr 7: 219-280. 

  23. Lee ES, Kim KJ, Kim JH, Hong ST.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food protein ingredient from rice bran.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7: 61-68. 

  24. Lee MJ, Lee JH. 2007. Analysi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Maesil Kochujang produc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29-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