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패널 자료 활용

Factors related to Self-Rated Health in Adolescents: Findings for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3, 2014년, pp.39 - 50  

최경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for self-rated health by gender in South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population consisted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olescents(n= 37,414 boys, 37,522 girls) in middle and high school who completed the Korea Youth 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표본이 대표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심리적 건강특성이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기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 행태 및 심리적 건강특성과 청소년 주관적 건강인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른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남학생은 2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인식의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청소년들은 가족구조가 한부모 형태일 때, 주관적 경제수준과 주관적 학습 성취수준 등이 낮을수록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Vigilis, Wade, & Seely (2002)는 한부모 가족구조가 가족 내 스트레스, 부모의 관리 부족, 경제적 어려움 등을 통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건강상태를 평가한 주관적 건강수준 결과는 어떠한가? 주관적 건강수준은 청소년의 건강상태를 쉽고 간단하게 사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훨씬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한가족 구조이면서 부모가 동거하지 않을 때, 주관적 경제수준과 학습 성취도가 낮다고 생각할수록 불건강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흡연과 음주를 적게 할수록, 신체적 활동을 많이 할수록, 아침식사를 많이 할수록 불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였으며, 자신의 몸무게에 대해 평균보다 찌거나 말랐다고 인식할 때, 수면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느낄 때 불건강하다고 인식하였다. 심리적 건강 특성 중에서는 절망을 경험했을 때, 행복하지 않다고 느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건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였다. 관련 요인들 중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주관적 불건강에 대해 심리적 건강특성의 교차비가 가장 컸으며, 건강하지 못하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은 건강에 대한 위험요인들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자아통찰력이 발달하면서 건강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흡연, 음주, 영양, 신체활동 등과 같은 생활양식이 형성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로서, 이 때 형성된 건강에 대한 인식은 성인기까지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Boardman, 2006). 따라서,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 시기에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성인기 건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관적 건강인식으로 무엇을 예측 할 수 있는가? 개인의 건강 수준은 객관적인 임상 검사를 통해서 측정할 수 있지만 자신이 스스로 평가하는 주관적 건강인식을 통해서도 예측할 수 있다(Belloc & Breslow, 1972). 주관적 건강인식은 유병률과 사망률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 이용, 안녕 상태를 예측할 수 있으며(Herman, Solomons, Mendoza, & Qureshi, 2001; Latham & Peek, 2013; Nummela, Raivio, & Uutela, 2012), 흡연, 음주, 신체활동, 수면부족, 비만 등과 같은 생활양식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어(Segovia, Bartlett, & Edwards, 1989) 개인과 인구의 현재 건강상태를 평가할 때 정확하고 믿을만한 지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Nummela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dler, N. E., Epel, E. S., Castellazzo, G., & Ickovics, J. R. (2000). Relationship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ocial statu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ing: preliminary data in healthy white women. Health Psychology, 19(6), 586-592. 

  2. An, J. S., & Kim, H. J. (20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ealth inequality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4(2), 205-231. 

  3. Asfar, T., Ahmad, B., Mulloli, T. P., Ward, K. D., & Maziak, W. (2007). Self-rated health and its determinants among adults in Syria: a model from the Middle East. BMC Public Health, 25(7), 1-9. 

  4. Badawi, G., Gariepy, G., Page, V., & Schmitz, N. (2012). Indicators of self-rated health in the Canadian population with diabetes. Diabetic Medicine, 29(8), 1021-1028. 

  5. Belloc, N. B., & Breslow, L. (1972).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entive Medicine, 1(3), 409-421. 

  6. Benyamini, Y., Leventhal, E. A., & Leventhal, H. (2000). Gender differences in processing information for making self-assessments of health. Psychosomatic Medicine, 62, 354-364. 

  7. Boardman, J. D. (2006). Self rated health among U.S.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8, 401-408. 

  8. Boyce, W., Torsheim, T., Crrie, C., & Zambon, A. (2006). The family affluence scale as a measure of national wealth: Validation of an adolescent self-report measure.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 473-487. 

  9. Davies, A. R., & Ware, J. E. (1981). Measuring health perceptions in the health insurance experiment.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10. Demirchyan, A., Petrosyan, V., & Thompson, M. E. (2012).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 in Armenia: a population-based study of an economy in transition.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1(67), 1-10. 

  11. Do, Y. K., Shin, E., Bautista, M. A., & Foo. K.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nd adolescent health outcomes: what is the role of time spent on internet use? Sleep Medicine, 14(2), 195-200. 

  12. Fismen, A. S., Samdal, O., & Torsheim, T. (2012). Family affluence and cultural capital as indicators of social inequalities in adolescent's eating behaviors: a population-based survey. BMC Public Health, 12, 1036-1044. 

  13. Fredriksen, K., Rhodes, J., Reddy, R., & Way, N. (2004). Sleepless in Chicago: Tracking the effect of adolescent sleep loss during the middle years. Child Development, 75(8), 4-95. 

  14. Herman, D. R., Solomons, N. W., Mendoza, I., & Qureshi, A. K. (2001). Self-rated health and its relationship to functional status and well-being in a group of elderly Guatemalan subjects.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0(3), 176-82. 

  15. Jung, S. H., Tsakos, G., Sheiham, A., Rye, J. I., & Watt, R. G. (2010). Socio-economic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Social Science & Medicine, 70(11), 1780-1788. 

  16. Khang, Y. H., Cho, S. I., Yang, S. M., & Lee, M. S. (2005).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health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finding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4), 391-400. 

  17. Lars, J., Gunilla, B., Hans, S., Lars, W., & Erik, B. (2011). Gender differences and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 development among Swedish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s Health, 48, 143-150. 

  18. Latham, K., & Peek, C. W. (2013). Self-rated health and morbidity onset among late midlife U.S.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8(1), 107-16. 

  19. Liu, Y., Wang, M., Tynjala, J., Villberg, J., Lv, Y., & Kannas, L. (2013).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alcohol use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Fin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8(2), 177-185. 

  20. McCormack, G. R., Hawe, P., Perry, R., & Blackstaffe, A. (2011). Associations between familial affluence and obesity risk behaviours among children. Paediatrics & Child Health, 16(1), 19-24. 

  21. Mechanic D, Hansell, S. (1987). Adolescent compet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 assessed physic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8(4), 364-374. 

  22. Noh, E. K., Park, J., & Choi, C. H. (2010).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quality of sleep.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 67-74. 

  23. Nummela, O., Raivio, R., & Uutela, A. (2012). Trust,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longitudinal study among ageing people in Southern Finland. Social Science & Medicine, 74, 1639-43. 

  24. Page, R. M., & Suwanteerangkul, J. (2009). Self rated health,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health-rated behavior among Thai adolescents. Pediatrics International, 51(1), 120-125. 

  25. Park, J. H., & Lee, K. S. (2013). Self-rated health and its determinants in Japan and South Korea. Public Health, 127(9), 834-843. 

  26. Richter, M., Erhart, M., Vereecken, C. A., Zambon, A., Boyce, W., & Gabhainn, S. M. (2009). The role of behavioral factors in explaining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adolescent health: a multilevel study in 33 countries. Social Science & Medicine, 69, 396-403. 

  27. Rius, C., Fernandez, E., Schiaffino, A., Borraas, J. M., & Rodriiguez-Artalejo, F. (2004). Self perceived health and smoking in adolescent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8, 698-699. 

  28. Segovia, J., Bartlett, R. F., & Edwards, A. C.(1989). The association between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individual health practice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80(1), 32-37. 

  29. Torsheim, T., Currie, C., Boyce, W, Kalnins, I., Overpeck, M., & Hauqland, S. (2004). Material deprivation and self-rated health: a multilevel study of adolescents from 22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untries. Social Science & Medicine, 59(1), 1-12. 

  30. Tremblay, S., Dahinten, S., & Kohen, D. (2003).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elf-perceived health. Health Reports, 14, 7-16. 

  31. Vingilis, E., Wade, T. J., & Adlaf, E. (1998). What factors predict student self-rated physical health? Journal of Adolescent, 21, 83-97. 

  32. Vingilis, E., Wade, T. J., & Seeley, J. S. (2002). Predictors of adolescent self-rated health. Analysis of the National Population Health Survey.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 193-197. 

  33. Wade, T. J., Prevalin, D. J., & Vingilis, E. (2000). Revisiting student self-rated physical health. Journal of Adolescent, 23(6), 785-791. 

  34. Wanger, D. C., & Short, J. L. (2014). Longitudinal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Preventing Chronic Disease, 5(11), 1-8. 

  35. Wang, M. P., Ho, S. Y., Lo, W. S., Lai, M. K., & Lam, T. H. (2012). Smoking is associated with poor self-rated health among adolescents in Hong Kong. Nicotine & Tobacco Research, 14(6), 682-687. 

  36. West, P., & Sweeting, H. (2004). Evidence on equalization in health in youth from the west of Scotland. Social Science & Medicine, 59(1), 13-27 

  37. Wolfson, A. R., & Carskadon, M. A. (1998). Sleep schedules and daytime functioning i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9, 875-887. 

  38. Xu, Z., Su, H., Zou, Y., Chen, J., Wu, J., & Chang, W. (2011). Self-rated health of Chinese adolsecents: distribu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39. Yamada, C., Moriyama, K., & Takahashi, E. (2012). Self-rated health as a comprehensive indicator of lifestyle-related health status.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Health, 17(6), 457-462. 

  40. Zullig, K. J., Valois, R. F., Huebner, E. S., & Drane, J. W. (2005). Adolescent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satisfaction with life. Quality of Life Research, 14(6), 1573-158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