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descriptive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68 college students in B & U metropoli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해소방법, 연령,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 용돈 순이었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는 어떤 시기인가? 대학생은 성장발달 과정 중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이루지어는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에 접어든 초기 성인기로, 질병과 관련된 이환율이나 사망률이 비교적 낮아 잘못된 생활 습관을 교정하고 적절하게 스트레스를 관리한다면 보다 나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시기이다(Han, & Kim, 2007).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은 입시위주의중 고등학교 생활에서 벗어나 자율 및 독립성이 강조되는 대학생활로 접어들면서 흡연과 음주에 쉽게 노출된다.
대학생 시기에 건강에 대한 태도를 어떻게 하고 있으며 어떤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 이로 인한 수면과 식사의 무절제는 규칙적인 생활리듬을 무너뜨려 대학생의 건강상태나 건강증진행위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학교생활 부적응 문제를 일으킨다(Park et al, 2002). 특히 이 시기는 자신의 건강을 과신 하는 경향이 강하고 건강행위에 대한 관심 자체가 부족하고, 오히려 불건전한 생활태도로 인한 건강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 이 시기뿐만 아니라 중 장년과 노년기의 건강과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Cho, Lee, & Cui, 2010; Ryu, Kwon, & Lee, 2001).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이 흡연과 음주에 쉽게 노출되는 이유는? 대학생은 성장발달 과정 중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이루지어는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에 접어든 초기 성인기로, 질병과 관련된 이환율이나 사망률이 비교적 낮아 잘못된 생활 습관을 교정하고 적절하게 스트레스를 관리한다면 보다 나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시기이다(Han, & Kim, 2007).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은 입시위주의중 고등학교 생활에서 벗어나 자율 및 독립성이 강조되는 대학생활로 접어들면서 흡연과 음주에 쉽게 노출된다. 이로 인한 수면과 식사의 무절제는 규칙적인 생활리듬을 무너뜨려 대학생의 건강상태나 건강증진행위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학교생활 부적응 문제를 일으킨다(Park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 D. V., Ebert, S., Nagmvitroj, A., Park, N., & Kang, D. (2004). Predictors of health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5), 463-474.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Brenda, J. (2006). Health promotion in adolescents: a review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19(4), 366-373. 

  4. Chae, M. J., & Choi, G. S.(2012). Comparison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department students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6(1), 53-63. 

  5. Chang, S. J. (2000).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 and health statistics-stress. Seoul: Gyechukmunwhasa. 

  6. Chang, S. J., Koh, S. B., Kang, M. G., Cha, B. S., Park, J. K., Hyun, S. J., . . . & Park, J. S. (2005).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Journal Preventive Medicine Public Health, 38(1), 25-37. 

  7. Cho, H., Lee, S. J., & Cui, R. S. (2010).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self-esteem of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1), 22-33. 

  8. Cho, M. K. (2007). The 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of life sports,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control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9. Choi, H. S. (2006).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older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Choi, J. M., & Moon, I. O. (2005).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on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2), 105-113. 

  11. Chon, M. Y., Kim, M. H., & Cho, C. M. (2002).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2), 1-13. 

  12. Chung, Y. H., Seo, N. S., & Moon, H. S. (2011).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gender amo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Health Education, 12(2), 29-42. 

  13. Do, E. Y., & Cho, I. S. (2009). Comparis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depress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at a women'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 161-168. 

  14. Goldberg, D. P. (1972). The detection of psychiatric illness by questionnair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Han, G. 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5(3), 585-592. 

  15. Han, K. S., & Kim, G. M. (2007). Comparison to self esteem, family adapta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between nursing and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Journal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1), 78-84. 

  16. Hong, S. H.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78-86. 

  17. Hong, S. R. (2012).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altruism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4), 71-92. 

  18. Kang, Y. M., Kim, M. S., Park, H. M., Shin, H. W., Lee, J. Y., Choi, Y. J., . . . & Kim, W. J. (2001). A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ens University, 34, 37-48. 

  19. Kim, B. K., Jung, M. S., & Han, C. H. (2002).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related factor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1), 59-85. 

  20. Kim, H. K. (2006).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2), 132-141. 

  21. Kim, H. S., Oh, E. G., Hyong, H. K., & Cho, E. S. (2008). A study on factors on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506-520. 

  22. Kim, M. S.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e, personality, situational barrie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6(3), 442-451. 

  23. Kim, N. S. (2007).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optimism and coping skill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5), 1-10. 

  24. Lawton, M. P., Moss, M., Fulcomer, M., & Kleban, M. H.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1). 91-99. 

  25. Lee, E. H. (2004).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1), 25-52. 

  26. Lee, M. J., & Cho, Y. C. (2013). Self-perceived psychosocial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828-2838. 

  27. Lim, M. Y. (1998).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8. Ocampo, J. M. (2010). Self-rated health: importance of use in elderly adults. Colombia Medica, 41(3), 257-289. 

  29. Oh, N. S., Park, J. Y., & Han, C. H. (2011).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by type of residenc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2), 27-40. 

  30. Paek, K. S., & Choi, Y. H. (2003).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2), 127-147. 

  31. Park, Y. J., Lee, S. J., Oh, K. S., Oh, K. O., Kim, J. A., Kim, H. S., et al. (2002). Social support,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behaviors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 792-802. 

  32.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3rd ed.). Stamford, CT: Appleton & Lange. 

  33. Pender, N. J. (200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34. Ryu, E. J., Kwon, Y. M., & Lee, K. S. (2001). A study on psychosoci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1), 49-60. 

  35. Seok, T. S. (2009).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effects in antioxidant vitamin on stress and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of laughter natural therapy in solving stress. (master's thesis). Daegu Hanny University, Daegu, Korea. 

  36.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 efficacy scale: contra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ort, 51(2), 663-671. 

  37. Shin, K. R., & Kim, J. S. (2004). A study on health concern, self-rated health,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ly women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869-880. 

  38. Shin, H. S., Lee, S. B., & Song, Y. A.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di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1(2), 155-166. 

  39. Torsheim, T., & Wold, B. (2001). School-related stress, support and subjective health complaints among early adolescents: a multi-level approach. Journal of Adolescents. 24(6), 701-713. 

  40.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s. Nursing Research, 36, 76-81. 

  41. Yoon, E. J.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 of the psychosocial well-be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4), 977-990. 

  42. Zellner, D. A., Loaiza, S., Gonzalez, Z., Pita, J., Morales, & J., Pecora, D., & Wolf. A. (2006). Food selection changes under stress. Physiology & Behavior, 87(4), 789-7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