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대용량발화말뭉치의 단모음분석
Monophthong Analysis on a Large-scale Speech Corpus of Read-Style Korea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3, 2014년, pp.139 - 145  

윤태진 (청주대학교) ,  강윤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per describes methods of conducting vowel analysis from a large-scale corpus with the aids of forced alignment and optimal formant ceiling methods. 'Read Style Corpus of Standard Korean' is used for building the forced alignment system and a subset of the corpus for the processing and ext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본 논문에서는 자동 추출한 최적의 포먼트 상한선을 토대로 강제음성정렬된 음성신호에서 포먼트를 추출하여 대용량 말뭉치의 방대한 자표를 이용해 모음 정보를 추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모음분석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음은 성별에 따라 4000Hz에서 6000Hz사이의 주파수를 LPC를 기반으로 한 최적으로 포먼트를 추출할 수 있는 최고값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4000Hz에서 6000Hz중 성별과 모음에 따라 포먼트 측정치의 변이(variation)를 최소화하는 주파수값을 설정할 수 있다면, 그 최소의 변이를 가져오는 주파수값을 최적의 포먼트 상한선(optimal formant ceiling)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Escudero et al.
  • 본 논문은 이러한 측정상의 오류를 극복하고 대용량의 음성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실증해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본 논문은 대용량의 음성 말뭉치를 사용하여 강제음성정렬장치와 최적의 포먼트 측정을 통한 한국어 단모음의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 이처럼 영어는 말뭉치기반의 음성학(corpus phonetics) 혹은 말뭉치 기반의 음운론(corpus phonology)라는 학제 간 연구에서 강제음성정렬(forced alignment)과 자동 포먼트 측정을 토대로 한 음성말뭉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강제음성정렬장치와 LPC 기반의 포먼트 추출에서 필요한 최적의 포먼트 상한선(optimal ceiling) 설정을 자동화하여 모음연구를 하는데 필요한 방법론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다.
  • 하지만, 자동 음향 분석을 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말뭉치 기반의 음성학 연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지는 않다. 본 연구는 강제음성정렬장치와 최적의 상한선(optimal ceiling)을 이용한 포먼트 추출방식을 이용한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대용량 음성자료에서의 모음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음성 자료는 ‘서울말 낭독체 발화말뭉치’를 이용하였다.
  • 강제음성정렬(forced alignment)은 음성인식장치(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에 제약을 가하여 주어진 발화체들의 단어 및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들의 연쇄만을 찾도록 하는 장치이다 (Hosom, 2000). 본 연구는 대용량 말뭉치에서 모음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발화체들을 구성하는 단어와 음소들을 강제음성정렬(forced aligned)시키는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작업을 위해 은닉마르코프모형(Hidden Markov Model; HMM) 기반의 자동강제음성정렬장치를 개발하였다.
  • 우선 Burg 방식에 따른 포먼트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대용량의 음성자료에 자동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결과를 추출하였을 때 어떠한 이론적 및 실용적 문제점을 지니는 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모음 분석을 위해서는 말뭉치의 자료 중 ’호랑이와 곶감’에서 나타난 단모음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inear Predictive Coding을 이용한 포먼트 추출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은? 그런데, 이 LPC를 이용한 포먼트 추출에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LPC를 이용해 포먼트를 추출할 때, LPC 차수(order)는 보통 포먼트 개수의 두 배가 되도록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남성 화자들의 포먼트를 신뢰성있게 추출하기 위해서는 여성화자들보다 더 많은 LPC 차수(order)를 지정해야 한다. Praat의 매뉴얼에 LPC를 구하기 위해서, 평균 성인 여성의 경우 5500Hz를 그리고 평균 성인 남성의 경우 5000Hz를 최고의 포먼트값으로 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지적되어 왔다 (Boersma & Weenink, 2014). LPC 차수는 성별뿐만 아니라, 모음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후설모음은 높은 LPC차수가 필요하고, 전설모음은 낮은 LPC차수가 필요하다 (Yao et al., 2010).
모음의 포먼트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음성 자료는 ‘서울말 낭독체 발화말뭉치’를 이용하였다. 말소리 중 모음의 포먼트(Formant)는 턱과 혀의 움직임에 따른 성도 모양(vocal tract configuration)의 변화를 반영하며, 모음을 발화하고 인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cf. Adank, 2003; Yang, 2008).
서울말 낭독체 발화 말뭉치란? 본 논문에서 자료로 이용할 말뭉치는 ‘서울말 낭독체 발화 말뭉치’이다. 이 ‘서울말 낭독체 발화 말뭉치’는 국립국어원에서 2002년에 개발하고 2005년도 경에 공개 및 분배한 말뭉치이다. 이 말뭉치는 20대에서 70대 사이의 서울 경기 지역 화자로, 부모 역시 서울 경기 지역 화자인 120명의 낭독체 자료이다. 이 120명의 화자들은 남자 60명과 여자 60명으로 구성 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dank, P. (2003). Vowel normalization: A perceptual-acoustic study of Dutch vowels. Ph.D. thesis, University of Nijmegen. 

  2. Ahn, S.-C. (1996). An Introduction to Korean Phonology. Seoul: Hanshin Publishing Co. 

  3. Boersma, P. & Weenink, D. (2014).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Computer program]. Version 5.3.85, retrieved 19 September 2014 from http://www.praat.org. 

  4. Chae, S.-Y. (2005). External Constraints on Sound Change: The Raising of /o/ in Seoul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5. Escudero, P., Boersma, P., Rauber, A. S., & Bion, R. A. H. (2009). A cross-dialect acoustic description of vowels: Brazilian and European Portuguese.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6, 1379-1393. 

  6. Evanini, K. (2009). The permeability of dialect boundaries: a case study of the region surrounding Erie, Pennsylvani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7. Han, J.-I. & Kim, J.-Y., (2014). A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1), 31-38. (한정임 & 김주연. (2014). 20세기 초 한국어 단모음의 음향 음성학적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6(1), 31-38.) 

  8. Hong, Y. (1988) A sociolinguistic study of Seoul Korean.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Pennsylvania. 

  9. Hosom, J.-P. (2000). Automatic Time Alignment of Phonemes Using Acoustic-Phonetic Information. Ph.D. thesis, Oregon Graduate Institute. 

  10. Kang, Y. (2013). A corpus-based study of positional variation in Seoul Korean vowels. Paper presented at Japanese Korean Linguistics Conference 23. October 11-13. 

  11. Labov, W., I. Rosenfelder, & J. Fruehwald. (2013) One hundred years of sound change in Philadelphia: Linear incrementation, reversal, and reanalysis. Language, 89(1), 30-65. 

  12. Yang, B. (2008). Formant measurement of complex waves and vowels produced b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onetic Sciences 15(3), 39-52. (양병곤 (2008). 복합음과 대학생이 발음한 모음 포먼트 측정. 음성과학 15(3), 39-52) 

  13. Yang, B. (1996)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24, 245-261. 

  14. Yao, Y., S. Tilsen, R. L. Sprouse, & K. Johnson. (2010). Automatic Measurement of Vowel Formant in the Buckeye Corpus. UC Berkeley Phonology Lab Annual Report. 

  15. Yoon, T.-J. (2013). Large-scale Studies of Phonetic Data using Forced Alignment System. Studies in Linguistics, 29, 207-227. (윤태진 (2013). 강제음성정렬장치를 이용한 대용량음성자료 연구. 언어학연구, 29, 207-227.) 

  16. Young, S. J., G. Evermann, M. J. F. Gales, T. Hain, D. Kershaw, G. Moore, J. Odell, D. Ollason, D. Povey, V. Valtchev, & P. C. Woodland. (2006). The HTK Book (version 3.4), Cambridge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17. Yuan, J. & M. Liberman (2008). "Speaker identification on the SCOTUS corpus," Proceedings of Acoustics 2008, 5687-5690. 

  18. Yun, J. & Seung, C. (2013). Effects of F1/F2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vowels /o/ and /u/. Speech Sciences, 5(3), 39-45. (윤지현, 성철재. (2013). F1/F2의 변화가 한국어 /오/, /우/모음의 지각판별에 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학, 5(3), 39-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