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Objectives This research was proposed to prese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CPG) for So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Diagnosis and Algorithm. This CPG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wide experts committee consisting of SCM professors. Methods We searched the literature and articles related to Soyangin Symptomatology diagnosis and algorithm. For developing diagnosis and algorithm, we searched the classification, ordinary symptom, present symptom of the Soyangin Symptomatology. Results & Conclusions We classify the Soyangin Symptomatology by 4 steps: Exterior-Interior disease, favorable-unfavorable pattern, mild-moderate-severe-critical pattern (initial-advanced pattern). And at the unfavorable pattern, ordinary symptom is very important. So doctors need to focus on the symptom of unfavorable's ordinary symptom such as temperament inclined symptom, diarrhea, and diurnal body fever.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체질병증 분류 | 체질병증 분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
대분류(表裏辨證), 중분류(順逆辨證), 소분류(輕重險危辨證), 세분류(現證辨證, 素證辨證)으로 구분된다
체질병증 분류는 대분류(表裏辨證), 중분류(順逆辨證), 소분류(輕重險危辨證), 세분류(現證辨證, 素證辨證)으로 구분된다. 특히, 병증명을 명명함에 있어 첫째, 병리와 핵심증후를 병기하여 병증의 특성이 잘 드러나게 하고, 둘째,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상 체질병증의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나 셋째, 기타의 한의학 병증체계와 혼돈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명칭보다는 사상체질의학의 특성이 반영된 새로운 병증명으로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 았다. |
임상진료지침의 개발뿐만 아니라 사상체질의학 진료표준화 및 임상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 임상진료지침의 개발뿐만 아니라 사상체질의학 진료표준화 및 임상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필수적인 작업은? |
사상체질병증 진단기준의 표준화
사상체질병증 진단기준의 표준화는 임상진료지침의 개발뿐만 아니라 사상체질의학 진료표준화 및 임상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에 2012년 이후 사상체질의학회 산하 표준화위원회에서 사상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전문가합의를 통해 도출된 소음 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이 발표되었다1-6. |
소양인병증 | 소양인병증명을 명명함에 있어서의 원칙은 무엇인가? |
첫째, 병리와 핵심증후를 병기하여 병증의 특성이 잘 드러나게 하고, 둘째,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상 체질병증의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나 셋째, 기타의 한의학 병증체계와 혼돈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명칭보다는 사상체질의학의 특성이 반영된 새로운 병증명으로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 았다.
체질병증 분류는 대분류(表裏辨證), 중분류(順逆辨證), 소분류(輕重險危辨證), 세분류(現證辨證, 素證辨證)으로 구분된다. 특히, 병증명을 명명함에 있어 첫째, 병리와 핵심증후를 병기하여 병증의 특성이 잘 드러나게 하고, 둘째,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상 체질병증의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나 셋째, 기타의 한의학 병증체계와 혼돈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명칭보다는 사상체질의학의 특성이 반영된 새로운 병증명으로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 았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