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 걷기 운동이 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Walking Exercise on Functional Fitness and Gait Pattern in the Elderly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3, 2014년, pp.503 - 509  

최종환 (충북대학교 체육교육과) ,  신창섭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연평식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산림 걷기 운동이 어떻게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37명의 노인들이 참여하였으며 산림 걷기 운동 집단(n=19, $66.34{\pm}4.31$세)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n=18, $67.18{\pm}2.78$세)으로 구분되어, 12주간 주에 3회 80분 씩 각각 산림 걷기 운동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에 참여하였다. 기능적 체력(근력, 지구력, 유연성, 민첩성/평형성, BMI)과 보행형태(보행박자, 보행속도, 보행안정성) 검사는 12 주간 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가 이용되었으며, 독립 t-test와 반복 이원변량분석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 12주간의 산림 걷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이 실내에서 트레드밀 걷기 운동한 집단보다 하지 근력, 허리 유연성, 민첩성/동적 평형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에서 더 크게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상지 근력, 견관절 유연성, BMI에서는 두집단 모두 똑같은 향상을 보였다. 둘째, 12주간의 산림 걷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이 실내에서 트레드밀 걷기 운동한 집단보다 보행박자, 보행속도, 보행안정성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각-운동신경의 기능적 통합에 기초한 산림 걷기 운동이 노인들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 나아가서 생활을 더 역동적으로 만들며,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est-walking exercise on gait pattern in the elderly. The subjects (n=37) were assigned to 2 groups: Forest-walking exercise (FWE) group (n=19, $66.34{\pm}4.31$ years old) and In-door treadmill-walking exercise (ITWE) group (n=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일반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과 비교하여 산림 걷기 운동이 노인의 기능적 체력이나 보행형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산림 걷기 운동이 어떻게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기능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산림걷기 운동이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산림 걷기 운동이 보행형태를 향상시켜 역동적인 생활과 낙상 예방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방안이라고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산림걷기 운동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이 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대상자들을 각각 다른 운동 집단으로 구분하여 12주간 산림 걷기 운동 프로그램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과 운동 신경을 기능적으로 통합한 노인의 보행형태를 향상시키는 운동방법은 어떤 이론에 기초한 운동법인가? 이러한 노화에 의한 감각체계와 운동체계의 손상에도 불구하고, 기능적 체력과 보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각과 운동 신경을 기능적으로 통합하여 노인 의 보행형태를 향상시키는 운동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것은 Sensory-motor functional training(Boyle, 2010; Gambetta, 2007)과 Perception-action coupling과 dynamic system 이론(Bernstein, 1967; Kelso and Tuller, 1984; Newell, 1986; Shumway-Cook and Woollacott, 2007)에 기초한 운동법이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이론을 간단히 정리하면,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운동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개인의 감각적 지각체계는 새롭게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운동신경체계에 의한 동작이나 기술이 적절하게 상호작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기능적으로 통합하게 하여 보행형태를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전반적인 기능적 체력의 약화와 낙상이 많은 노인에게는 어떤 운동 내용이 필요한가? 한편 노인들의 운동에 있어서 최근의 기능적 훈련 이론은 운동이 보다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운동내용으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전반적인 기능적 체력의 약화와 낙상이 많은 노인에게는 감각체계와 운동체계의 기능적 통합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운동내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산림 걷기 운동은 감각-운동신경을 기능적으로 통합시키는 운동방법으로서 적절하다.
감각체계와 운동 체계의 기능 저하는 노인의 보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노인의 보행은 기본적으로 감각체계와 운동체계의 기능저하에 의하여 크게 약화된다. 우선 감각체계에서 시각계의 손상에 의하여 환경이나 동작의 방향 및 속도 등이 적절하게 정보 제공이 어렵고(Patla, 1997), 전정계의 감각 신경세포의 손실로 인하여 적절한 자세나 척추의 평형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Berthoz and Pozzo, 1994). 그리고 체성감각계의 피부 감각기 둔감함과 자세조절과 관련된 고유감각 수용기(근방추, 골지건, 관절감각 수용기) 손상에 의하여 근육과 관절의 기계적 위치 및 감각이 부정확 하게 제공된다(Bergin et al., 1995; Kollegg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ergin, P.S., Bronstein, A.M., Sancovic, S., and Zeppenfeld, D.K. 1995. Body sway and vibration perception thresholds in normal aging and in patients with polyneuropathy. Journal of Neurology,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March 58(3): 335-400. 

  2. Bernstein, N. 1967. The coordination and regulation of movements. London Pergamon press. 

  3. Berthoz, A. and Pozzo, T. 1994. Head and body coordination during locomotion and complex movements. In S.P. Swinnen, H. Heuer, J. Massion, and P. Casaer(Eds), Interlimb coordination: Neural, dynamical, and cognitive constraints. pp. 147-165. San Diego, Academic Press. 

  4. Boyle, M. 2010. Advances in functional training: Training technique for coaches, personal trainers and athletes. On Target Publications. 

  5. Brill, P.A., Probst, J.C., Greenhouse, D.L., Schell, B., and Macera, C.A. 1998. Clinical feasibility of a free-weight strength-training program for older adults. Journal of American Board of Family Practice 11(6): 445-51. 

  6. Brown, M., Sinacore, D.R., and Host, H.H. 1995. The relationship of strength to function in the older adult. Journal of Gerontology 50: 55-59. 

  7. Chandler, J.M., Duncan, P.W., Kochersberger, G., and Studenski, S. 1998. Is lower extremity strength gain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physical performance and disability in frail, community dwelling elde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1): 24-30. 

  8. Choi, J. 2011. Effects of Forest Exercise on the Daily Activityrelated Physical Function and Balance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6): 465-473. 

  9. Cromwell, R.L., Newton, R.A., and Forrest, G. 2001. Head stability in older adults during walking with and without visual input.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11(2): 105-14. 

  10. Davids, K., Button, C., and Bennett, S. 2008. Dynamics of skill acquisition: A constraints-led approach.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1. Erim, Z., Beg, M.F., Burke, D.T., and De Luca, C.J. 1999. Effects of aging on motor-unit control properties. Journal of Neurophysiology 82: 2081-2091. 

  12. Fiatatone, M.A., Marks, E.G., Ryan, N.D., Meredith, C., Lipsitz, L.A., and Evans, W.J. 1990.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n nonagenerian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3: 3029-3034. 

  13. Gambetta, V. 2007. Athletic development.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4. James, O.J. 1993. Balance improvements in older women: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Physical Therapy 73(4): 254-262. 

  15. Kelso, J.A.S. and Tuller, B.A. 1984. A dynamical basis for action systems. In Gazanniga, M.S. (Eds.), Handbook of cognitive neuroscience. NY, Plenum Press: 321-356. 

  16. Kerrigan, D.C., Todd, M.K., Croce, U.D., Lipsitz, L.A., and Collins, J.J. 1998. Biomechanical gait alterations independent of speed in the healthy elderly: Evidence for specific limiting impairm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 317-322. 

  17. Kollegger, H., Baumgartner, C., Wober, C. Oder, W., and Deecke, L. 1992. Spontaneous body sway as a function of sex, age, and vision: posturographic study in 30 healthy adults. European Neurology 32(5): 253-259. 

  18. Lord, S.R. and Castell, S. 1994.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older persons: Effect on balance, strength, neuromuscular control, and reaction ti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5: 648-652. 

  19. Lord, S.R., Ward, J.A., Williams, P., and Strudwick, M. 1995. The effect of a 12 month exercise trial on balance, strength and falls in older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3: 1198-1206. 

  20. McArdle, W.D., Katch, F.I., and Katch, V.L. 2001. Exercise physiology :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Philadelphi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1. MacPerson, J. 1988. The neural organization of postural control: do muscle synergies exist? In: Amblard B., Berthoz A., Clarac F.(Eds) Posture and gait: development, adaptation and modulation. Amsterdam, Elsevier: 381-390. 

  22. Meuleman, J.R., Brechue, W.M., Kubilis, P.S., and Lowenthal, D.T. 2000. Exercise training in the debilitated aged: Strength and functional outcom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 312-318. 

  23. Mills, E.M. 1994. The effect of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mong sedentary elderly persons. Nursing Research 43(4): 207-211. 

  24. Nashner, I.M. 1990. Dynamic posturography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zziness and balance disorders. Neurologic Clinics 8(2): 331-349. 

  25. Newell, K.M. 1986. Constraints on the development of coordination. pp. 341-360. In M. G. Wade & H, T. A. Whiting (Eds.),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Aspects of coordination and control. Boston, Martinus Nijhoff. 

  26. Patla, A.E. 1997. Understanding the roles of vision in the control of human locomotion. Gait and Posture 5: 54-69. 

  27. Riccio, G.E. and Stoffregen, T.A. 1988. Affordances as constraints on the control of stance. Human Movement Science 7: 265-300. 

  28. Rose, D.J. 2003. Fall proof. A comprehensive balance and mobility program. Champaign, IL: Human Kinetics. 

  29. Rubenstein, L.Z., Josephson, K.R., Trueblood, P.R., Loy, S., Harker, J.O., Pietruszka, F.M., and Robbins, A.S. 2000. Effects of a group exercise program on strength, mobility, and falls among fall-prone elderly men. Journal of Gerontology and Biolological Sciences and Medicine Science 55(6): 17-21. 

  30. Schmidt, R.A. 1988. Motor and action perspectives on motor behavior. pp. 3-44. In Meijer & Roth (Eds.), Complex movement behavior: The motor-action Controversy. Elservier Science Pub. 

  31. Shumway-Cook, A. and Woollacott, M.H. 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3rd). Balto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2. Spirduso, W.W., Francis, K.L., and MacRae, P.G. 2005. Physical dimensions of aging(2n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33. Sullivan, D.H., Wall, P.T., Bariola, J.R., Bopp, M.M., and Frost, Y.M. 2001. Progressive resistance muscle strength training of hospitalized frail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0: 503-509. 

  34. Turvey, M.T. 1990. Coordination. American Psychologist 45: 938-9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