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에서 주상절리의 분포와 암석학적 특성
Distribution and Petrology of the Columnar Joint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2, 2014년, pp.45 - 59  

안건상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한에서의 주상절리 분포지역과 그들의 형태학적, 암석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현재까지 보고된 남한의 주상절리 분포지역은 최소한 68개 지역이다. 이들은 지리적 여건과 화산활동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 한탄강유역에는 16개 지역에 주상절리가 발달하는데, 15개 지역은 제4기의 현무암질 용암이며, 나머지 1지역은 백악기 화산암이다. 2) 제주도의 주상절리는 18개 지역이다. 이들 모두 신생대 제4기에 분출하였으며, 대부분은 현무암질 용암이고, 산방산과 백록담 등은 조면암이다. 제주도 주상절리는 칼러네이드와 엔태블러춰가 잘 발달하며, 끌자국도 선명하게 관찰된다. 3) 울릉도와 독도에서는 국수바위를 비롯한 5개 지역에서 관찰되며, 이들은 제4기 조면암이다. 4) 포항-경주-울산의 8개 지역에서 돔형, 방사상, 수평 및 수직 주상절리가 발달하는데, 이들 모두는 제3기 화산암이다. 충청남도 평택-아산지역, 그리고 강원도 고성의 제3기 현무암에서 주상절리가 관찰된다. 5) 남해안과 서해안에는 모두 15개 지역에서 주상절리가 관찰되는데, 이들은 백악기에 분출한 화산암으로 현무암에서 유문암까지, 용암에서 용결응회암까지 다양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등산과 주왕산의 주상절리도 백악기에 분출한 용결응회암이다. 남한의 주상절리를 지역별로 분류하면, 강원도가 5개, 경기도 13개, 충남 2개, 경북 14개, 전북 1개, 전남 10개, 경남 5개, 제주 18개 지역이다. 주상절리의 형성 시기는 중생대 백악기가 18개, 신생대 제3기가 12개, 그리고 신생대 제4기가 38개 지역이다. 화산암의 마그마계열은 알칼리암계열이 36개, 비알칼리암계열이 32개 지역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collate distribution, morphology, petrology of columnar joint in South Korea. Reported columnar joint areas in South Korea are 68, until the present time. These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 by geography and volcanic activity. 1) The 16 columnar joint areas are dist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의 대표 주상절리를 이루는 대포동(지삿개) 현무암의 암석학적 특성은? 제주도의 대표 주상절리를 이루는 대포동(지삿개) 현무암은 암회색을 띠며, 반상조직 조직이다. 반정과 미반정은 사장석, 감람석, 단사휘석이며, 소량의 사방 휘석을 수반한다. 석기들은 주로 사장석과 감람석, 단사휘석 및 이들을 채우는 불투명 광물들이다. 사장석은 자형 내지 반자형의 주상으로 알바이트쌍정, 칼스 바드-알바이트 쌍정, 누대구조를 나타낸다.
포항-경주-울산 지역에는 어떤 형상의 주상절리가 발달되어 있는가? 신생대 제3기의 염기성화산암이 분포하는 포항-경주-울산 지역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독특하고 아름다운 주상절리들이 분포한다. 이 지역에는 수직 기둥의 주상절리와 함께 돔형, 방사상 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수평방향의 주상절리도 발달한다.
제주도의 주상절리는 어디에 분포되어 있는가? 제주도의 주상절리는 현재까지 알려진 것만 18개 지역이다. 분포지역은 제주시 북부의 2지역, 서귀포시 남부의 14개 지역, 그리고 한라산 고지대에서는 백록담 남측 외벽과 영실기암의 2지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K.S., 2010, 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109-121. 

  2. Ahn, K.S., Huh, M. and Son, J.M. and 2014, Geological history and landscape of Mudeu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91-105. 

  3. Choi, H.O., 2013, Geochemical Evolution of Basaltic Volcanism within the Tertiary basins in southeastern Korea and opening of the East Sea(Japan Sea), Master.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60p. 

  4. Choi, M.C., 1982, Report of the third excavation in Cheonkok Paleolithic Site. Annual Report of Kunkuk University. 14, 207-238. 

  5. Huh, M., Ahn, K.S., Kim, J.B., Son, Y.K., Kil, Y.W., Lee, C.Y., Kim, H.J., Park, S.P., Oh, J.J., Choi, B.D., Woo, Y. and Park, J.Y., 2013. Geological and geographical heritage of Mudeungsan geopark. Gwangju City. 278p. 

  6. Hwang, S.K., An, Y.M. and Yi, K.W., 2011, SHRIMP Age Datings and Volcanism Times of the Igneous Rocks in the Cheolwon Basin,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 231-241. 

  7. Hwang, S.K. and Kim, J.H., 2009, Topographical Landscapes and their Controlling Geological Factors in the Juwangsan National Park: Welding Facies and Columnar Joint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8. 195-209. 

  8.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8, 523-548. 

  9. Jin, K.M. and Kim, Y.S., 2010, Study on development and value for geotourism of horizontal columnar joints at the Jeongja beach area, Ulsan and Eupchon beach area, Gyeongju.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 413-427. 

  10. Jin, M.S., Shin, H.J, and K, S.K., 2005, Igneous Rocks and Igneous Activities in the Korean Peninsula. KIGAM, 310p. 

  11. Jung, H.E. and Ahn, K.S., 2014, Morphology and petrology of columnar joint in the Yeosu region, Jeollanam-do. Abstracts at the 2014 Annual Meeting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84-85. 

  12. Kee, W.S., Lim, S.B., Kim, H.C., Hwang, S.G., Kim, B.C., Song, K.Y. and Kim, Y.H., 2008, Geological report of the Yeonchon sheet. KIGAM, 80p. 

  13. Kim, H.S., Kil, Y.W. and Lee, M.W., 2012, The Formation of the Cenozoic Volcanic Edifice in the Goseong-Ganseong Area, Gangwondo,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627636. 

  14. Kim, K.B. and Lee, G.D., 2008, A Study on Volcanic Stratigraphy and Fault of Ulleung-do,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 321-330. 

  15. Kim, K.H., Nagao, K., Tanaka, T., Sumino, H., Nakamura, T., Okuno, M., Lock, J.B., Youn, J.S. and Song, J., 2005, He-Ar and Nd-Sr isotopic compositions of ultramafic xenoliths and host alkali basalts from the Korean peninsula. Geochemical Journal, 39, 341-356. 

  16. Kim, S.H., 2009,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Cheolwon Basin. Graduate School Andong National University, 66p. 

  17. Koh, J.S. and Yun, S.H., 2005, Petrology on the Late Miocene basalts in Goseong-gu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78-79. 

  18. Koh, J.S., Yun, S.H. and Hong, H.C., 2005, Morphology and petrology of Jisagae columnar joint on the Daepodong basalt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4, 212-225. 

  19.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745-750. 

  20. Lee, H.K., Moon, H.S., Min, K.D., Kim, I.S., Yun, H.S. and Tetsumaru, I., 1992, Paleomagnetism,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Tertiary Pohan and Changgi basin: K-Ar ages for volcanic roc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Mining Geololgy, 25, 337-349. 

  21. Lee, M.W., Won, C.K., Lee, D.Y., Park, G.H. and Kim, M.S., 1994, Stratigraphy and petrology of volcanic rocks in Southern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0, 521-541. 

  22. Oh, K.H., Moon, B.C. and Kim, H.Y., 2006, The characteristics of columnar joint distributed in southeastern coast, Chon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3, 55-62. 

  23. Park, J.B. and Park, K.H., 1996, Petrology and petrogenesis of the Cenozoic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I): Petrography, mineral chemistry and whole rock major element chemistr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2, 223-249. 

  24. Park, K.H., Cho, D.L., Kim, Y.B., Kim, J.C., Cho, B.W., Jang, Y.N., Lee, B.J., Lee, S.R., Son, B.K., Cheon, H.Y., Lee, H.Y. and Kim, Y.U., 2000, Geologic report of the Segwipo-Hahyori Sheet (1:50,000). Jeju Provincial Government, 163p. 

  25. Shim, S.H., Park, B.J., Kim, T.H., Jang, Y.D., Kim, J.H. and Kim, J.J. 2011, Petrology of the Tertiary Basaltic Rocks in the Yeonil and Eoil Basins,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 1-21. 

  26. Shin, H.J., Kil, Y.W., Jin, M.S. and Lee, S.H., 2006, Petrological study on upper mantle xenoliths from Asan and Pyeongtaek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95-113. 

  27. Song, Y.S., Park, K.H. and Park, M.E., 1999, Major, Rare-Earth and Trace Geochemistry of Ulleungdo Volcanic Rock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8, 57-70. 

  28. Won, C.K., Kim, Y.K. and Lee, M.W., 1990, The study on the geochemistry of Choogaryong alkali basal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6, 70-81. 

  29. Woo, H.D., Park, J.S., Oh, H.S. and Jang, Y.D., 2013, Forming processes and the Value of the Natural Heritage of the Guksubawi in Ulleung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 9-17. 

  30. Yoon, S., 1986, Tectonic history of the Tertiary Pohang and Yangnam basins, Korea, Essays in Geology Professor Nobu Kitamura Commemorative Volume, 637-644. 

  31. Yun, H.S., Lee H.K. and Song, S.H., 1995, Basic volcanic rocks in the Pohang basin, and its stratigraphic and petrogenetic implications. The Pa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11, 125-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