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교과서, 교사의 인식 및 실험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Elem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eachers' Cognition, and an Experiment Cas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4, 2014년, pp.349 - 357  

한유화 (도담고등학교) ,  전은선 (창현고등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과학 실험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험 수업의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교사 인식, 실제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탐구 요소가 과학 실험 수업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2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중학교 3학년 2개 학급의 2차시 수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제시, 증거수집, 현상설명 및 기존 과학지식의 연결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었으나, 의사소통 및 정당화 요소는 많지 않았다. 또한 제시된 수준은 주로 교사 주도적이었다. 교사들은 의사소통 및 정당화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실제 실험 수업에 이를 반영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실험 수업에서 학생들은 시간의 대부분을 증거수집에 할애하였으며, 실험 결과인 증거를 기반으로 현상을 설명하거나 기존 지식과 연결하는 활동, 그리고 의사소통 및 정당화의 활동은 거의 하지 못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science experiment in class and to seek a direction for its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Science textbooks, teachers' cognitions, and classroom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to find out how many and what kind of levels of inquiry elem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과학 실험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험 수업의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교사 인식, 실제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탐구 요소가 과학 실험 수업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실험 수업의 중요한 목적은 무엇인가? 실험 수업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지닌 과학적 소양인을 기르는 것이다. 학교에서 진행 중인 탐구가 단순히 실험이나 관찰 활동을 통하여 결과를 찾아내는데 머물지 않고 결과를 이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주장하기, 정당화하기 등의 의사소통 및 정당화 활동을 거칠 때 통합적인 탐구능력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습도 가능할 것이다.
영국의 중학교 실험 수업을 관찰한 Watson 등(2004)의 연구 결과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errenhohl(2006) 등은 무엇을 제안하였나? 영국의 중학교 실험 수업을 관찰한 Watson 등(2004)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의 토론 수준은 질적 양적으로 낮았으며 학생들은 실험결과를 전혀 의심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Herrenhohl(2006) 등은 학생들이 과학에 관하여 의사를 표현할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이 과학 교실 수업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raaten, M., & Windschitl, M. (2011). Working toward a stronger 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Studies and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C: Wiley Periodicals, Inc. 

  2.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3. Duschl, R. (2000). Making the nature of science explicit. In R. Millar, J. Leech, & J. Osborne (Eds.),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4. Giere, R. N. (1991),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3rd ed.), New York: Harcourt. 

  5. Han, Y. H., Lee, M. S., & Paik, S. H. (2007). Comparison of 9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according to experiments on the "law of definite proportions" in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1), 50-58. 

  6. Herrenkohl, L. R.(2006). Intellectual role-taking: An approach to support discussion in heterogeneous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ory into Practice. 45, 47-54. 

  7. Hodson, D. (1996).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Exploring some directions for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55-760. 

  8. Hyun, J. O., Kim, H. S., Yun, H. K., Choi, W. S., Kang, T. W., Han, I. O., Park, M. Y., Kim, K. S., Ji, J. W., Kim, B. I., Kim, M. K., Son, Y. A., Lee, T. W., Cho, H. S., Park, C. Y., Yun, M. S., & Lee, J. E. (2011).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Good book Sinsago. 

  9. Kang, S. M. (2004).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on components in solving processes of the scientific argument task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0. Kim, H. K. (2008). Learner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verbal interaction in chemistry lessons through group discussion of science high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1. Kim, C. J., Hyun, J. O., Km, H. B., Song, J. W., Kim, K. S., Kim, M. K., Kim, S. H., Kim, H. S., Cho, H. S., Park, M. S., Park, M. Y., Yun, M.S., & Lee, T. W.(2011a).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Dusan Donga. 

  12. Kim, S. J., Kim, T. I., Ahn, H. S., Choi, M. H., & Kim, H. S. (2011b).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MIreaan. 

  13. Lee, B. W. (2005). Analysis of inquiry standards in foreign national science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7), 873-884. 

  14. Lee, H. Y., Jang, S. S., Sung, S. K., Lee, S. K., Kang, S. J., & Choi, B. S.(2002). Analysis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interactive science inquiry experi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3), 660-670. 

  15. Lee, M. W., Jang, B. K., Ryu, S. H., Cho, Y. G., Noh, S. G., Lee, J. H., Jang, C. H., Lee, B. R., Kang, H. J., Han, E. K., Lee, S. J., Kim, Y. G., & Lee, Y. J. (2011a).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Chunjae Education. 

  16. Lee, S. I., Cho, B. J., Jun, B. H., Nam, K. S., Hwang, S. Y., Kim, Y. H., Uh, J. Y., Noh, D. K., Kim, G. T., Paik, S. Y., Kim, C. H., Kim, Y. K., Park, L. W., Shin, S. J., & Kwon, O. S. (2011b).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Jihaksa. 

  17. Lee, S. M., Chae, K. P., Nam, K. W., Noh, T. H., Seo, I. H., Kang, S. J., Kim, Y. S., Kum, J. H., Moon, K. W., Lee, M. W., Kwon, S. M., & Son, Y. W. (2011c).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Kumsung Publisher. 

  18. Lee, J. Y., Noh, S. H., Baek, J. M., Nam, K. S., Lee, B. Y., Kang, D. H., Kim, J. S., Lee, Y. C., Hwang, I. S., Lim, T. H., Ko, H. D., & Shin, M. Y. (2011d).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Visang Education. 

  19. McComas, W. F.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N. Y. :Kluwer Academic Publishers, p. 64. 

  20. Milla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King College.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Science Curriculum 2011-361(9).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2.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3. National Research Council(2000).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4. Nott, M., & Smith, R. (1995). 'Talking your way out of it', 'rigging', and 'conjuring': What science teachers do when practicals go wro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7, 399-410. 

  25. Nott, M., & Wellington, J. J. (1996). Critical incidents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the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6, 41-46. 

  26. Osborne, J., Erduran, S.,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27. Park, M. R., Jeong, J. W., & Cheonong, C.(2006). Students'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inquiry dispositions according to the modes of interaction of small group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inquiry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7), 843-855. 

  28. Park, H. J. (2013). A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Lessons with Experim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79-86. 

  29. Park, H. S., Jeong, D. Y., Shin, H. S., Kim, J. H., Hur, S. I., Cho, S. Y., You, S. N., Lee, H. W., Kim, J. Y., Lee, S. J., Choi, B. S., Kang, S. C., & Oh, S. W.(2011).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Kyohaksa. 

  30. Ruiz-Primo, M. A., Li, M., Tsai, S., & Schneider, J. (2010). Testing one premise of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classrooms: Examining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s and student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83-608. 

  31. Shin, Y. M., Kim, H. K., & Choi, B. S. (2010). The Effect of free-inquiry scienc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in each inquiry steps by cognitive level and learning motivational type of th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5). 533-543. 

  32. Shin, Y. J., Jin, M. S., Han, M. J., Lee, K. Y., Jeong, E. Y., Kang, J. C., Kang, S. J., Son, J. W., Bae, Y. H., Lee, B. W., Im, H. Y., & Ha, E. S.(2011). Middle school science 3. Seoul: Chunjae Textbook. 

  33. Sung, S. K. (2005).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34. Tobias, S. (1990). They're not dumb, they're different: Stalking the second tier. Tucson, AZ: The Research Corporation. 

  35. Tobin, K., and Gallagher, J. J. (1987). What happens in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9, 549-560. 

  36. Watson, J. R., Swain, J. R. L., & McRobbie, C. (2004). Students' discussions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25-45. 

  37.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