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5, 2014년, pp.25 - 45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적 역할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한 5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반 9곳에 재원 중인 유아 200명(남아 97명, 여아 101명; 평균연령 6.24세)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수줍음, 교사-유아 관계, 또래괴롭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남녀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 교사-유아 관계는 또래괴롭힘 피해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아의 경우 수줍음 특성과 교사-유아 관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아의 수줍음 특성은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지만 교사-유아 간 친밀관계 수준이 낮고,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즉, 남아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는데 있어, 교사-남아 간 친밀관계는 보호요인으로, 교사-남아 간 갈등관계는 위험요인으로써 중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줍음 특성이 있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을 예방하는데 있어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Participants were 200 children(97 boys, 103 girls; recruited from classes with 5-6 year olds) and their kindergarten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최근 교원자격검증지침에 따르면 2013년 입학자부터 교원자격검증 기준에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과목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하였는데(교육과학기술부, 2013), 이는 교육 전반에서 또래괴롭힘 피해 등 학교폭력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를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이해와 역량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래괴롭힘 피해가 가져오는 사회적 심각성을 고려할 때 또래관계가 시작되는 유아기부터 또래관계의 어려움으로써 또래괴롭힘 피해에 관심을 가지고,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의 관련성 및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해 교사-유아 관계가 어떠한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본 연구는 유아의 수줍음 특성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또래괴롭힘 피해와 같은 또래관계의 어려움의 중재 및 예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줄 것이다.
  •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수줍음 특성 및 교사-유아 관계가 또래괴롭힘 피해와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며, 수줍음이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는데 교사-유아 관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유아의 성을 구분하여 유아의 수줍음, 교사-유아 관계 및 또래괴롭힘 피해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수줍음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이 교사- 유아 관계에 의해 중재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측정한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 수줍음, 교사-유아 관계의 일반적인 경향을 보고자 평균과 표준편차를 남녀별로 제시하고, 두 집단 간 평균점수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에 나타난 바와 같다.
  • 이에 수줍음 특성이나 또래괴롭힘 피해가 심각한 임상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그 영향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가 어떠한 중재적 역할을 유아의 성을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수줍어하는 남녀 유아가 또래괴롭힘 피해를 경험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하지만, 실제로 수줍음을 보이는 모든 유아가 교육기관에서 문제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Rubin & Coplan, 2004).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수줍은 유아의 사회정서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신유림(2009) 역시 유아기 또래괴롭힘 피해를 때리기와 같은 신체적 피해, 놀리기와 같은 언어적 피해, 다른 유아가 놀이에 끼워주지 않는 것과 같은 사회적 배척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를 다른 유아의 때리기와 같은 신체적 공격, 놀리기와 같은 언어적 공격으로 인한 괴롭힘 피해, 또래로부터의 배척이나 소외로 인한 사회적 괴롭힘 피해로 알아보고자 한다.
  • 더욱이 교실환경맥락에서 교사-유아 관계와 같은 인적 환경인 교사의 역할에 초점을 둔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관계 어려움으로 발전하는데 있어 교사-유아 관계가 어떠한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가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를 유아의 성에 따라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수줍음 특성을 보이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 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유아기 또래괴롭힘 피해의 조기 발견과 중재 방안 마련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의 어려움으로 또래괴롭힘 피해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또래괴롭힘 피해는 장기간에 걸쳐 자신보다 강한 유아로부터 반복적으로 부정적 행동을 받은 결과로 나타나는 유아의 부적응 문제로, Crick과 Bigbee(1998)는 또래괴롭힘을 때리거나 밀치는 등의 신체적 공격 및 위협 또는 욕을 하거나 상대가 듣기 싫은 별명 부르기, 조롱하기와 같은 언어적 공격 행동과 같은 직접적인 괴롭힘 행동과 나쁜 소문을 만들어 친구를 소외시키는 등의 관계에서의 따돌림행동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수줍음을 더욱 가중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아의 언어기술이 수줍은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보호요인 역할을 하였 으며(Coplan & Armer, 2005), 가족 맥락에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역할(권연희, 2013; Coplan et al, 2004)이나 어머니의 신경증, 과보호적 양육(Degnan, Hederson, Fox, & Rubin, 2008)이 위험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수줍은 아동의 우정관계(Oh, Rubin, Bowker, Booth-LaForce, Rose-Krasnor, & Laursen, 2008)가 청소년기에 사회정서적 적응의 어려움을 줄이는데 중요한 중재 역할을 하였다.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적 역할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유아의 수줍음, 교사-유아 관계, 또래괴롭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남녀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 교사-유아 관계는 또래괴롭힘 피해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아의 경우 수줍음 특성과 교사-유아 관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아의 수줍음 특성은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지만 교사-유아 간 친밀관계 수준이 낮고,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즉, 남아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는데 있어, 교사-남아 간 친밀관계는 보호요인으로, 교사-남아 간 갈등관계는 위험요인으로써 중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줍음 특성이 있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을 예방하는데 있어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수줍음이 많은 유아는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일반적으로 수줍음이 많은 유아는 사회적 맥락이나 새로운 상황에 직면할 경우 주저하고, 걱정이 많고, 불안하고 우울해하며 외로워하는 경향을 보인다(도현심, 1996; 오가혜, 안창일, 2006; Coplan & Armer, 2007; Crozier, 1995). 선행연구에 의하면 유아의 수줍음 특성은 낮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과 관련되어 있으며(Coplan, Rubin, Fox, Calkins, & Stewart, 1994; Stewart & Rubin, 1995), 낮은 자아존중감(권영길, 김수경, 2014; Crozier, 1995), 표현 및 수용 어휘 사용 능력의 부족(Spere, Schmidt, Theall-Hoeny, & Martin-Chang, 2004) 및 기관 내 또래관계의 어려움 (권연희, 2013; 노혜숙, 1997; 도현심, 1996; 신유림, 2007; Coplan, Arbeau, & Armer, 2008)과 관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소연 (1994). 아동의 수줍음과 놀이실에서의 사회적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13). 2013년도 교원자격검증 실무편람(p. 75).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연희 (2011). 남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3), 595-609. 

  4. 권연희 (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2(2), 29-48. 

  5. 권연희 (2013). 유아의 수줍음 및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또래괴롭힘 피해 간의 관계에 대한 거부적 양육행동의 중재 및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87-307. 

  6. 권영길, 김수경 (2014). 청소년의 수줍음이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을 매개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21(2), 89-114. 

  7. 김근영, 윤진 (1995). 수줍음과 대인관계 변인 간의 상호관련성.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6(1), 90-99. 

  8. 김선희 (2009).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203-224. 

  9. 김혜연 (2008). 유아기 또래괴롭힘의 피해에 관한 변인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도현심 (1996). 아동의 수줍음, 대인적응성 및 또래수용성과 외로움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33-45. 

  11. 박영태, 이경님 (201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35-256. 

  12. 서혜선, 양경숙, 김나영, 김희영, 김미경 (2009). SPSS(PAWS) 회귀분석(제3판, pp. 142-143). 서울: 한나래출판사. 

  13. 신유림 (2007).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위축성과 친구관계. 아동학회지, 28(5), 193-207. 

  14. 신유림 (2009).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에 대한 유아 개인 및 학급 맥락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13-20. 

  15. 오가혜, 안창일 (2006).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 관계지향성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657-673. 

  16. 이경님, 부예숙 (2013).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9(4), 31-53. 

  17. Arbeau, K. A., Coplan, R. J., & Weeks, M. (2010). Shyn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grade 1.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4(3), 259-269. 

  1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19. Biederman, J., Hirshfield-Becker, D. R., Rosenbaum, J. F., Herot, C., Friedman, D., & Snidman, N. et al. (2001). Further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i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10), 1673-1679. 

  20. Boivin, M., & Hymel, S. (1997). Peer experiences and social self-perceptions: A sequential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33(1), 135-145. 

  21. Bri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22. Cheek, J. M., & Buss, A. H. (1981). Shyness and socia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2), 330-339. 

  23. Coie, J. D., Dodge, K. A., & Coppotelli, H. (1982). Dimensions and types of social status: A cross-age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4), 557-570. 

  24. Coplan, R. J., & Arbeau, K. A. (2008). The stresses of a "brave new world": Shyness and school adjustment in kindergarten.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2(4), 377-389. 

  25. Coplan, R. J., & Armer, M. (2005). "Talking yourself out of being shy": Shyness, expressive vocabulary, and adjustment in preschool. Merrill-Palmer Quarterly, 51(1), 20-41. 

  26. Coplan, R. J., & Armer, M., (2007). A "multitude" of solitude: A closer look ant social withdrawal and nonsocial play in early childhood.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1(1), 26-32. 

  27. Coplan, R. J., Arbeau, K. A., & Armer, M (2008)."Don't fret, Be supportive!" Maternal characteristics linking child shyness to psycho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 kindergart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3), 359-371. 

  28. Coplan, R. J., Girardi, A., Findlay, L. C., & Frohlick, S. L. (2007). Understanding solitude: Young children's attitudes and responses towards hypothetical socially-withdrawn peers. Social Development, 16(3), 390-409. 

  29. Coplan, R. J., Prakash, K., O'Neil' K., & Armer, M. (2004). Do you "want" to play? Distinguishing between conflicted shyness and social disinterest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0(2), 244-258. 

  30. Coplan, R. J., Rubin, K. H., Fox, N. A., Calkins, S. D., & Stewart, S. L. (1994). Being alone, playing alone, and acting alone: Distinguishing among reticence, and passive-and active-solitude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5(1), 129-138. 

  31. Crick, N. R., & Bigbee, M. A. (1998). Relational and overt forms of peer victimization: A multi-informant approac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2), 337-347. 

  32. Crozier, W. R. (1995). Shyness and self-esteem in middle childhood.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5(1), 85-95. 

  33. Degnan, K. A., Henderson, H. A., Fox, N. A., & Rubin, K. H. (2008). Predicting social wariness in middle childhood: The moderating role of child care history, maternal personality, and maternal behavior. Social Development, 17(3), 471-487. 

  34. Doll, B. (1996). Children without friends: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policy. School Psychology Review, 25(2), 165-183. 

  35. Egan, S. K., & Perry, D. G. (1998). Does low self-regard invite victimiz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4(2), 299-309. 

  36. Evans, M. A. (2001). Shyness in the classroom and home. In W. R. Cozier & L. E. Alde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ocial anxiety: Concepts, research, and interventions relating to the self and shyness(pp. 159-183). Westport, CT: Wiley. 

  37. Gazelle, H. (2006). Class climate moderates peer relations and emotional adjustment in children with an early history of anxious solitude: A child x environment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42(6), 1179-1192. 

  38. Gazelle, H., & Ladd, G. W. (2003). Anxious solitude and peer exclusion: A diathesis model of internalizing trajectories in childhood. Child Development, 74(1), 257-278. 

  39. Hamre, B., & Pianta, R. (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2), 625-638. 

  40. Hughes, J. N., Cavell, T. A., & Wilson, V. (2001). Further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the quality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9(4), 289-301. 

  41. Hughes, J. N., Luo, W., Kwok, O., & Loyd, L. K. (2008). Teacher-student support, effortful engagement, and achievement: A 3-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1), 1-14. 

  42. Kochenderfer, B. J., & Ladd, C. W. (1996). Peer victimization: Manifestations and relations to school adjustment in kindergart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4(3), 267-283. 

  43. Myer, S. S., & Pianta, R. C. (2008). Developmental commentary: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arly problem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7(3), 600-608. 

  44. Oh, W., Rubin, K. H., Bowker, J. C., Booth-LaForce, C. L., Rose-Krasnor, L., & Laursen, B. (2008).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from middle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4), 553-566. 

  45. Pianta, R. C. (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46. Pianta, R. C. (2001).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7. Pianta, R. C., & Stuhlman, M. W. (200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3(3), 444-458. 

  48. Rubin, K. H., & Coplan, R. J. (2004).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0(4), 506-534. 

  49. Rubin, K. H., & Mills, R. S. L. (1988). The many faces of social isolation in childhoo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916-924. 

  50. Rubin, K. H., Burgess, K. B., & Hastings, P. D. (2002). Stability and social-behavioral consequences of toddlers' inhibited temperament and parenting. Child Development, 73(2), 483-495. 

  51. Rubin, K. H., Coplan, R. J., & Bowker, J. (2009).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1-11. 

  52. Simpson, A. E., & Stevenson-Hinde, J. (1985).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three-to four-year-old boys and girls and child-family interac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6(1), 43-53. 

  53. Spere, K. A., Schmidt, L. A., Theall-Honey, L. A., & Martin-Chang, S. (2004). Expressive and receptive language skills of temperamentally shy preschoole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2(1), 1-11. 

  54. Stevenson-Hinde, J., & Glover, A. (1996). Shy girls and boys: A new look.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37(2), 181-187. 

  55. Stewart, S. L., & Rubin, K. H. (1995). The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of anxious-withdrawn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2), 323-336. 

  56. Thijs, J. T., & Koomen, H. M. Y. (2008). Task-related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children and their teachers: The role of emotional security.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7(2), 181-197. 

  57. Wentzel, K. R. (2002). Are effective teachers like good parents? Teaching styles and student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3(1), 287-301. 

  58. White, K. J., Sherman, M. D., & Jones, K. (1996). Children's perceptions of behavior problem peers: Effects of teacher feedback and peer-reputed statu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4(1), 5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