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0, 2014년, pp.850 - 861  

이정미 (전남대학교 간호학과) ,  소향숙 (전남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경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이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안민정 (전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근거중심의 가이드라인 제공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데이터베이스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정보(KISS)와 Google Scholar에서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키워드 '간호와 시뮬레이션' 또는 '간호와 시뮬레이터'로 검색하였다. 총 183편의 연구 중 16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되었고, Quality Assessment Tool for Quantitative Studies를 이용해 문헌의 질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신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간호학생들의 직접 간호수행이 힘든 중환자와 분만간호 분야에서 임상실습 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교육자와 시설 등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향후 결과의 일반화를 높이기 위해 충분한 표본수를 고려한 무작위대조연구, 교육효과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 개발 및 시뮬레이션이후 제공되는 디브리핑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고려해 볼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and summarize the available evidence on the simulation-based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us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가 시뮬레이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간호사, 간호대학원생, 간호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들을 분석하여 시뮬레이터 유형(예: 저, 중, 고충실도), 적용과목,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간호교육연구의 측정변수 및 결과를 분석하고 종합적인 결론을 제시하고 그 중 하나로 임상수행능력과 자신감이 향상한다고 보고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는 간호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고충실도 시뮬레이션기반교육이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적용 가능한 분야와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하여, 향후 간호학생들에게 고충실도를 이용한 시뮬레이션기반교육을 개발할 때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간호사와 간호학생은 지식, 교육 및 임상경험에 큰 차이가 있고, 교육 목적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충실도의 선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충실도 유형에 따른 이용결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는 이를 고려하여 대상자와 시뮬레이터의 유형을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 본 연구는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진술 지침에 근거한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이다[18][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과 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근 동향을 알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포함한 중재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정보(KISS) 및 Google Scholar를 사용하였고, 검색어는 간호와 시뮬레이션 또는 간호와 시뮬레이터였다.
  • 간호사와 간호학생은 지식, 교육 및 임상경험에 큰 차이가 있고, 교육 목적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충실도의 선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충실도 유형에 따른 이용결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는 이를 고려하여 대상자와 시뮬레이터의 유형을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많은 간호교육기관에서는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의 대안으로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도입하여 실습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효과적이며 어떠한 요소들이 효과적인 결과를 야기하는지 밝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의 교육결과를 최적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가능한 근거를 요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에서 시뮬레이션이란? 간호학에서 시뮬레이션은 교육, 평가, 또는 연구의 목적으로 임상실무에서 발생가능한 환자상황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고[1], 이때 시뮬레이터는 실제상황을 구현하는 수준과 학습자가 경험하는 환자와의 상호작용 정도를 나타내는 충실도(fidelity)에 따라 분류한다[2][3].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는 실제 인체의 크기와 비슷한 마네킹으로 컴퓨터에 프로그램화된 생리학적인 반응이 실습 학생의 중재에 따라 쌍방향의 반응을 보이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수자에 의해 음성적으로 마네킹과 실습 학생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세팅되어 있는 환자 시뮬레이터를 말한다[4][5].
간호사에게 직접 간호술기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이 필수적인 이유는? 간호수행 자신감은 간호학생 및 간호사가 본인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으로서 임상 적응 및 임상수행능력과 환자 간호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14][15]. 간호학생은 실습교육을 통해 교실에서 배운 이론지식을 임상실무에 적용시킴으로써 통합적인 지식의 습득이 가능하게 되고 자신감을 쌓게 되는데, 체계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졸업하는 경우 신규 간호사는 적절한 실무능력과 자질을 갖추지 못해 임상실무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는 간호업무에 대한 자신감 하락, 직무 스트레스 증가 및 이직의 도로 이어진다[9][16]. 이로 인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 강화를 위해서는 직접 간호술기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이 필수적이나, 실제로 임상실무 현장에서 이를 증진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17].
고충실도 시뮬 레이터 기반의 실습교육의 효과는 무엇인가?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는 실제 인체의 크기와 비슷한 마네킹으로 컴퓨터에 프로그램화된 생리학적인 반응이 실습 학생의 중재에 따라 쌍방향의 반응을 보이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수자에 의해 음성적으로 마네킹과 실습 학생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세팅되어 있는 환자 시뮬레이터를 말한다[4][5]. 간호교육 분야에서는 지식, 기술 및 태도를 획득할 목적으로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충실도 시뮬 레이터 기반의 실습교육의 효과로는 학생에게 현실성 높은 임상환경을 재현해주고 다양한 사례에 대해 실습 기회를 제공해주어 비판적 사고, 의사결정 능력 및 팀 협동능력의 향상과, 실수를 하더라도 환자에게 해를 가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임상실습 중 느끼는 스트레스와 불안의 감소가 보고되고 있다[6-9]. 국내간호 연구에 대한 고찰에서는 간호학생 및 대학원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저, 중, 고 및 하이브리드 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 결과 지식, 문제해결력, 자기효능, 학습만족도, 인간관계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E. S. Binstadt, R. M. Walls, and B. A. White, "A comprehensive medical simulation education curriculum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49, No.4, pp.495-504, 2007. 

  2. P. R. Jeffries, Using simulations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ducation,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7. 

  3. 주민선, 황윤영, "Fidelity 단계를 통합한 시뮬레이션 교육 개발 및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62-370, 2013. 

  4. Y. K. Scherer, S. A. Bruce, B. T. Graves, and S. Erdley,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education: enhancing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clinical simulation," AACN Advanced Critical Care, Vol.14, No.3, pp.331-341, 2003. 

  5. A. Weaver,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2, No.1, pp.37-40, 2011. 

  6. R. P. Cant and S. J. Cooper,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6, No.1, pp.3-15, 2010. 

  7. R. Gardner, T. B. Walzer, R. Simon, and D. B. Raemer, "Obstetric simulation as a risk control strategy: course design and evaluation,"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Vol.3, No.2, pp.119-127, 2008. 

  8. R. P. Ten Eyck, M. Tews, and J. M. Ballester, "Improved medical student satisfaction and test performance with a simulation-based emergency medicine curriculu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54, No.5, pp.684-691, 2009. 

  9.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 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48-560, 2008. 

  10. 김정희, 박인희, 신수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한국간호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07-319, 2013. 

  11. 임경춘,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의 방향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46-256, 2011. 

  12. S. Gough, M. Hellaby, N. Jones, and R. MacKinnon, "A review of undergraduate interprofessional simulation-based education (IPSE)," Collegian, Vol.19, pp.153-170, 2012. 

  13. D. Rane-Szostak and J. F. Robertson, "Issues in measuring critical thinking: meeting the challeng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5, No.1, pp.5-11, 1996. 

  14. G. T. Leigh, "High-fidelit patient simulation and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5, No.1, pp.1-17, 2008. 

  15. 김연하, 황선영, 이애영, "신규졸업간호사가 지각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37-46, 2014. 

  16. G. Rickard, S. Lenthall, and M. Dollard, "Organisational intervention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 hospital nurses in the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Collegian, Vol.19, pp.211-221, 2012. 

  17.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90-94, 2007. 

  18. A. Liberati, D. Altman, and G. Tetzlaff,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51, No.4, pp.w65-w94, 2009. 

  19.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and D. G. Altman,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Vol.8, No.5, pp.336-341, 2010. 

  20.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 Co, 1997. 

  21.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Methods and Tools (2008). "Quality Assessment Tool for Quantitative Studies," Retrieved July 20, 2014 from http://www.nccmt.ca/registry/view/eng/14.html 

  22. 김덕희, 이윤정, 황문숙, 박진희, 김희선, 차혜경,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이 일 대학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pp.499-509, 2012. 

  23. 최자윤, "간호대학생을 위한 교육전략으로서 시뮬레이션 활용 학습의 효과", 간호과학논집, 제15권, 제1호, pp.47-57, 2010. 

  24. 김순옥, 박소영, "일 대학 간호학생의 학습유형별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1046-1057, 2013. 

  25. 송영아, 손영주, "분만간호 핵심술기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16권, 제1호, pp.37-44, 2013. 

  26. 심정신, 박미경, 김정효,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전과 후에 따른 시뮬레이션 기반 분만교육의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25-133, 2014. 

  27. 양진주,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4-24, 2012. 

  28. 이명선, 한숙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26-234, 2011. 

  29.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 $MicroSim^{(R)}$ 을 병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4-32, 2010. 

  30. 이숙정, 박영미, 노상미, "하이브리드모델 활용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70-182, 2013. 

  31. 김순애, 이선경, 채현주, "분만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과 병원 분만실 실습교육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180-189, 2012. 

  32. 하이경, 고진강, "간호교육 : 중환자간호 기계환기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판단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의 지평, 제9권, 제2호, pp.119-126, 2012. 

  33. 허혜경, 노영숙,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실습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5권, 제5호, pp.574-584, 2013. 

  34. 오혜경, 한영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3-40, 2011. 

  35. 이우숙, 김미옥,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 및 적절성", 한국간호과학회지, 제41권, 제4호, pp.433-443, 2011. 

  36. 류언나, 박연숙, 하은호,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간호의 시뮬레이션-기반 학습효과와 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274-1282, 2013. 

  37. D. Bambini, J. Washburn, and R. Perkins, "Outcomes of clinical simulation for novic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nfidence, clinical judgemen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0, pp.79-82, 2009. 

  38. M. A. Neill and K. Wotton, "High-fidelity simulation debriefing in nursing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7, pp.e161-e168, 2011. 

  39. K. Wotton, J. Davis, D. Button, and M. Kelton, "Third-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high-fidelity simul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9, pp.632-639, 2010. 

  40. K. T. Waxman, "The developmnt of evidence-based clinical simulation scenarios: Guidelines for nurse educato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9, pp.29-35, 2010. 

  41. W. C. McGaphie, S. B. Issenberg, E. R. Petrusa, and R. J. Scalese, "A critical review of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research: 2003-2009," Medical Education, Vol.44, pp.50-63, 2010. 

  42. 정재원, 김희숙, 박영숙,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분만간호 실습교육의 효과", 간호학의 지평, 제8권, 제2호, pp.86-96, 2011. 

  43. R. M. Fanning and D. M. Gaba,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 Care, Vol.2, pp.115-125, 2007. 

  44. O. A. Pittman, "The use of simulation with advanced practic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Vol.24, pp.516-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