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사 간 약자 괴롭힘 경험의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Workplace Bullying in Korean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5, 2014년, pp.553 - 562  

윤선영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workplace bullying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Methods: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178 hospital nurses who attended two nationwide nursing educational conferences in 2013.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소진,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과 같은 약자 괴롭힘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약자 괴롭힘의 원인이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자아존중감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간호조직 문화가 약자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 간 약자 괴롭힘 예방을 위한 전략 및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편안한 환경에서 솔직한 답변을 할 수 있는 대상자를 모집하기 위해 전국규모의 간호학 학술대회에 참석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 중 1인이 직접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본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대상자들에게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한 후 수거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 간 약자 괴롭힘의 발생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 간 약자 괴롭힘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약자 괴롭힘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 간의 약자 괴롭힘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간호사 간의 약자 괴롭힘은 간호사, 의료기관, 환자 안전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지속적으로 약자 괴롭힘을 경험한 간호사들은 우울, 불안, 두려움, 불면증과 같은 정신적 증상과 체중감소, 피로, 두통, 심계항진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며(Dumont, Meisinger, Whitacre, & Corbin, 2012; McKenna, Smith, Poole, & Coverdalel, 2003),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이직 의도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Johnson & Rea, 2009; Simons, 2008). 또한 약자 괴롭힘으로 인한 간호사의 이직률 상승은 의료기관의 인력문제와 비용문제를 악화시키고, 건강한 업무 환경을 위협하여 결과적으로 환자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McKenna et al., 2003; Vogelpohl, Rice, Edwards, & Bork, 2012).
간호사 간의 약자 괴롭힘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약자 괴롭힘은 한 명 또는 여러 명이 특정한 개인에게 부정적이고 적대적인 행동을 오랜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가하는 것이다(Hutchinson, Wilkes, Jackson, & Vickers, 2010). 간호사 간의 약자 괴롭힘에는 비언어적인 빈정거림, 모욕적인 말, 책임전가, 뒤에서 험담하기, 사생활 침해 등의 부정적인 행동들과 정보 차단, 고의적인 방해, 도움 거절하기 등 업무에 위협을 가하는 행동들이 포함된다(Griffin, 2004).
약자 괴롭힘이란 무엇인가? 미국 의료기관 평가원(The Joint Commission, 2008) 은 전문 인력 간의 의사소통과 협력을 훼손시키고 환자 안전에 위협을 주는 행위로 약자 괴롭힘(bullying)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약자 괴롭힘은 한 명 또는 여러 명이 특정한 개인에게 부정적이고 적대적인 행동을 오랜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가하는 것이다(Hutchinson, Wilkes, Jackson, & Vickers, 2010). 간호사 간의 약자 괴롭힘에는 비언어적인 빈정거림, 모욕적인 말, 책임전가, 뒤에서 험담하기, 사생활 침해 등의 부정적인 행동들과 정보 차단, 고의적인 방해, 도움 거절하기 등 업무에 위협을 가하는 행동들이 포함된다(Griffi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eravolo, D. J., Schwartz, D. G., Foltz-Ramos, K. M., & Castner, J. (2012). Strengthening communication to overcome lateral violen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 599-606.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402.x 

  2. Choi, S. E., Lee, S. S., & Kim, S. D. (2013). Relationships of workplace bullying to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 267-274.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4.267 

  3. Dumont, C., Meisinger, S., Whitacre, M. J., & Corbin, G. (2012). Horizontal violence survey report, Nursing, 2012, 44-49. http://dx.doi.org/10.1097/01.NURSE.0000408487.95400.92 

  4. Egues, A. L., & Leinung, E. Z. (2013). The bully within and without: Strategies to address horizontal violence in nursing. Nursing Forum, 48, 185-190. http://dx.doi.org/10.1111/nuf.12028 

  5. Einarsen, S., Hoel, H., & Notelaers, G. (2009).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Work & Stress, 23 (1), 24-44. http://dx.doi.org/10.1080/02678370902815673 

  6. Griffin, M. (2004). Teaching cognitive rehearsal as a shield for lateral violence: An intervention for newly licensed nurses.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5, 257-262. 

  7. Han, S. J.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Hutchinson, M., Wilkes, L., Jackson, D., & Vickers, M. H. (2010).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 173-18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35.x 

  9. Johnson, S. L., & Rea, R. E. (2009). Workplace bullying: Concerns for nurse leader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9, 84-90.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95a5fc 

  10. Kim, M. S., Han, S. J., & Kim, J. H. (2004).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0 , 175-184. 

  11. Kim, Y. J. (2013). Field research on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hospital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Lee, E. H., Chang, S. J., Kim, H. O., Roh, J. H., Park, E. J., & Won, J. U. (2007).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19, 93-104. 

  13. Lee, Y. J., Lee, M. Y., & Bernstein, K. S. (2013).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2, 77-8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2.77 

  14. Lee, Y. O., Kang, J. Y., Yun, S. Y., Lee, Y. H., & Kim, B. J. (2013).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rizontal violence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6 (2), 37-50. 

  15. Losa Iglesias, M. E., & Becerro de Bengoa Vallejo, R. (2012). Prevalence of bullying at work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esteem scores in a Spanish nurse sample. Contemporary Nurse, 42 (1), 2-10. http://dx.doi.org/10.5172/conu.2012.42.1.2 

  16. Lutgen-Sandvik, P., Tracy, S. J., & Alberts, J. K. (2007). Burned by bullying in the American workplace: Prevalence, perception, degree and impact.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4, 837-862. http://dx.doi.org/10.1111/j.1467-6486.2007.00715.x 

  17. Matthiesen, S. B., & Einarsen, S. (2007). Perpetrators and targets of bullying at work: Role stress and individual differences. Violence and Victims, 22, 735-753. 

  18. McKenna, B. G., Smith, N. A., Poole, S. J., & Coverdale, J. H. (2003). Horizontal violence: Experiences of registered nurses in their first year of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 (1), 90-96. 

  19. Mikkelsen, E., & Einarsen, S. (2001). Bullying in Danish work-life: prevalence and health correlates. Europe Journal Work Organization Psychology, 10, 393-413. http://dx.doi.org/10.1080/13594320143000816 

  20. Nam, W., Kim, J. W., Kim, Y. K., Koo, J. W., & Park, C. Y. (2010).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NAQ-R) for nurses for the assessment of workplace bullying.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2, 129-139. 

  21. Park, K. O., Kim, S. Y., & Kim, J. K. (2013).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 169-180. 

  22. Randle, J. (2003). Bullying in the nursing profess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 395-401. 

  23. Roberts, S. J. (1983). Oppressed group behavior: Implications for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5 (4), 21-30. 

  2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Simons, S. (2008).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d by Massachusetts registered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1 (2), E48-E59. http://dx.doi.org/10.1097/01.ANS.0000319571.37373.d7 

  26. The Joint Commission. (2008). Sentinel Event Alert: Behaviors that undermine a culture of safety. Retrieved June 10, 2014,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SentinelEventAlert 

  27. Vogelpohl, D. A., Rice, S. K., Edwards, M. L., & Bork, C. E. (2012).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he workplace: Have they experienced bully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9, 414-422.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12.10.008 

  28. Walrafen, N., Brewer, M. K., & Mulvenon, C. (2012). Sadly caught up in the moment: An exploration of horizontal violence. Nursing Economics, 30 (1), 6-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