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나물 당 침지액의 항산화 효능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 연구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Sprout Sugar Solu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5, 2014년, pp.581 - 587  

김경미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원) ,  정현정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원) ,  성혜미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원) ,  위지향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원) ,  김태용 (이조은산소(주)) ,  김기명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콩나물은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콩나물 특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취해소효과로 잘 알려진 설탕 및 올리고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비린 맛을 없애고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 증진 및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실험을 설계하였다. 콩나물에 설탕과 올리고당의 2종류 당액($50^{\circ}Bx$)을 25, 50, 75%(w/w) 비율로 첨가하여 1, 3, 6, 12, 24시간 침지하였으며, 침지한 콩나물의 여액을 여과하여 콩나물 당침용액을 샘플로 사용하였다.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제외한 모든 실험 결과에서 올리고당이 대조구나 설탕 침지보다 DPPH radical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ADH ALDH 효소 활성 실험 결과, 당액 첨가비율 25%에 비해 5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띄었고, 50%와 75%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은 시간 증가에 따른 일정한 증가 추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 시간만을 고려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 및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알코올 분해능 실험에서 1-3시간 추출 시 대부분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콩나물을 올리고당 당액($50^{\circ}Bx$) 50% (w/w) 비율 이상의 수준에서 단시간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만으로도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콩나물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나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과량의 당액을 사용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적인 절감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sprout sugar solutions (oligosaccharide and sucrose, $50^{\circ}Bx$) were characterized under different soaking conditions. The ratio of sugar solution to sprout content was 25%, 50%, and 75% (w/w), and the soaking time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콩나물의 경우 콩나물을 착즙하거나 열수 또는 알코올을 이용한 추출물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많고(17-20) 당 침지에 관한 연구는 없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추출방법과 달리 당침지를 통한 삼투효과에 따라 콩나물의 기능성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탕 대체제로 각광받는 올리고당 침지방법을 설탕의 침지와 비교하여 항산화적 기능성에 관련이 있는 추출물의 양적 변화와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숙취해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당침지 조건을 설정하여 콩나물 당침 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소재로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숙취의 주 원인물질인 acetaldehyde는 체내에서 흡수된 알코올이 분해 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서 콩나물 당침용액이 단순히 ADH만 활성화 시키면 혈중 알코올 농도는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으나 간이나 혈액에 남아 있을 수 있는 acetaldehyde는 계속 축적되어 심한 숙취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콩나물 당침 용액이 acetaldehyde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예비실험을 통하여 대조구와 콩나물 당침 용액은 모든 농도(0-3,000 µg/mL)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본 실험에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2,000 µg/mL의 농도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간세포인 HepG2 cell에 각각의 시료를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체내로 흡수된 알코올은 혈액을 통해 주로 간으로 이동되고, 간의 microsome인 MEOS(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서 산화되어 아세트알데히드를 거쳐 초산으로 전환된 후 산화되어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지방산이나 다른 대사산물로 전환되기도 한다(28).
  • 콩나물은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콩나물 특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취해소효과로 잘 알려진 설탕 및 올리고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비린 맛을 없애고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 증진 및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실험을 설계하였다. 콩나물에 설탕과 올리고당의 2종류 당액 (50°Bx)을 25, 50, 75%(w/w) 비율로 첨가하여 1, 3, 6, 12, 24시간 침지하였으며, 침지한 콩나물의 여액을 여과하여 콩나물 당침 용액을 샘플로 사용하였다.
  • 방울 토마토의 삼투건조에 관한 연구(14), 삼투 건조 시 물질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15,16)등 기존 연구에서는 당을 이용한 삼투처리 시 과채류의 조직변화를 유도하고 저장성을 증가시키는 등 물리적 변화와 관능에 대한 연구가 많고 침지하는 당의 종류 및 침지시간, 침지 농도에 따른 기능성 효능 변화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콩나물의 경우 콩나물을 착즙하거나 열수 또는 알코올을 이용한 추출물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많고(17-20) 당 침지에 관한 연구는 없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추출방법과 달리 당침지를 통한 삼투효과에 따라 콩나물의 기능성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탕 대체제로 각광받는 올리고당 침지방법을 설탕의 침지와 비교하여 항산화적 기능성에 관련이 있는 추출물의 양적 변화와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숙취해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당침지 조건을 설정하여 콩나물 당침 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소재로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나물은 가공시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콩나물은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콩나물 특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취해소효과로 잘 알려진 설탕 및 올리고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비린 맛을 없애고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 증진 및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실험을 설계하였다.
기존 당류와 비슷한 물성을 가지면서 기존 당류를 다량 섭취하였을 때 생기는 비만, 충치, 당뇨병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당질의 개발로 무엇이 있는가? 설탕은 쉽게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숙취해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식품 소재의 다양화와 생물공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기존의 당류를 대체하는 새로운 당질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 새로운 당질 중에서 기존 당류와 비슷한 물성을 가지면서 기존 당류를 다량 섭취하였을 때 생기는 비만, 충치, 당뇨병 등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올리고당이 개발되었다(9). 올리고당은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비피더스균의 생육인자,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저충치성, 면역력 강화 등 다양한 생리특성을 갖는 저열량 감미료이다(10-12).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알코올은 영양이나 건강적인 측면보다는 스트레스 해소나 사교 등을 목적으로 오랫동안 애용되어온 기호품으로 소량을 섭취하면 기분전환을 위해서도 좋고 혈액순환에도 도움이 되어 건강에 유익할 수 있으나,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급성 알코올 숙취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은 업무능률 저하로 인한 사회 경제적인 손해를 초래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에는 췌장염, 심근경색, 신경장애, 결핵 등의 장애가 나타나고, 영양 불량이 초래되기 쉬우므로 알코올에 의한 독성효과가 더 심하게 나타나고 심하면 간조직의 구조 및 기능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1-4). 알코올은 섭취 시 체내에 흡수되어 전신에 고루 분포되며, 대부분은 간에서 alcohol dehydrogenase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endoplasmic reticulum내의 알코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 catalase 및 peroxidase 등의 특정한 효소들에 의해서 대사되고 흡수된 알코올의 10% 미만은 대사되지 않은 채 신장이나 폐를 통하여 배설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uskamoto S, Muto T, Nagoya T, Shimamura M, Saito M, Tainaka H. Determination of ethanol, acetaldehyde and acetate in blood and urine during alcohol oxidation in man. Alcohol Alcoholism 24: 101-108 (1989) 

  2. Tuskamoto S, Kanegae T, Uchigasaki S, Kitazawa M, Fusjioka T, Fusjioka S, Imamura Y, Nagoya T, Shimamura M, Mieda Y. Changes in free and bound alcohol metabolites in the urine during ethanol oxidation. JPN J. Alcohol Drug Depend. 28: 441-452 (1993) 

  3. Jerez SJ, Coviello A. Alcohol drinking and blood pressure among adolescents. Alcohol 16: 1-5 (1998) 

  4. Nagaya T, Yoshida H, Takahashi H, Matsuda Y, Kawai M. Doserespons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and serum tests in Japanese men aged 40-59 years. Alcohol 17: 133-138 (1999) 

  5. Park SC. Effect of bean sprout extracts on metabolism and biological functions of ethanol in vitro and in vivo. Korea Soybean Soc. 11: 121-130 (1994) 

  6. Chavan JK, Kadam SS. Nutritional improvement of cereals by sprouting. Crit. Rev. Food Sci. Nutr. 28: 401-437 (1989) 

  7. Jang HK. Soybean sprouts.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Nutr. Dietetics 9: 30-32 (1995) 

  8. Kim WJ, Kim NM, Sung HS. Effect of germination on phytic acid and soluble minerals in soy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58-362 (1984) 

  9. Hidaka H, Eida T, Saitoh Y. Industial produc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its application for human and animals. Nippon Nogeik. Kaishi 61: 915-923 (1987) 

  10. Heo KT. Physiological effects of oligosaccharides. Food Sci. Industry 28: 24-28 (1995) 

  11. Ishibash N and Shimamura, S. Bifidobacteria-research and development in Japan. Food Tech. 35: 126-134 (1993) 

  12. Hitaka H. Functions of fructooligosaccharides. Food Sci. 36: 25-28 (1983) 

  13. Lazarides HN, Katsanidis E, Nicoklaidis A. Mass transfer kinetics during osmotic pre-concentration aiming at minimal solid uptake. J. Food Eng. 25: 151-166 (1955) 

  14. Yoon KY, Yoon KS, Lee KH, Shin SR, Kim KS. Changes of quality in the osmotic dehydration of cherry-tomatoes and optimization for the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5): 866-871 (1997) 

  15. Na KM, Hong JH, Cha WS, Park JH, Oh SL, Cho YJ, Lee WY. Optimization of osmotic dehyd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ried sweet 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2): 433-438 (2004) 

  16. Kim MH. Mass transfer and optimum processing condition for osmotic concentration of potatoes prior to air dehydration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97-502 (1990) 

  17. Park GH, Back IY. Effect of ozone water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soybean sprout. Korean Soybean Digest. 17: 20-26 (2000) 

  18. Kim EJ, Lee KI, Park KY. The growth inhibition against gastric cancer cell in germanium or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Korean J. Food Cook. Sci. 20: 287-291 (2004) 

  19. Kim HY. Development of alpha soybean sprout by chlorella culture fluid. Korean Soybean Digest. 20: 63-70 (2003) 

  20. Kang JH, Park CJ, Yoon SY, Jeon SH, Hong DO. Lateral root formation and growth of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various solutions. Korea J. Medicinal Crop Sci. 13: 6-10 (2005) 

  21.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999) 

  22.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ana. J. Entheropharmacol. 71: 109-114 (2000) 

  23.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24. Kim OK, Ho JN, Nam DE, Jun WJ, Hwang KT, Kang JE, Chae OS, Lee JM. Hepatoprotective effect of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s against oxidative damage. J. Korean Soc. Food Sci. 41(1): 7-13 (2012) 

  25. Bucher T, Redetzki H. Specific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ethyl alcohol based on an enzymatic reaction. Klin. Wochenschr. 29: 615-616 (1951) 

  26. Lundquist F.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enzyme activity. Vol. II, pp. 1509-1513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Bergmeyer HU.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974) 

  27. Kim MH, Kim SM, Kim M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of black garlic jam prepar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 916-922 (2010) 

  28. Noh KH, Jang JH, Kim JJ, Shin JH, Kim DK, Song YS.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6): 683-693 (2009) 

  29. Caro AA, Cederbaum AI. Oxidative stress, toxicology, and pharmacology of CYP2E1. Annu. Rev. Pharmacol. Toxicol. 44: 27-42 (2004) 

  30. Lee KT. Sohn IC, Kong EA, Kim DH, Choi SK, Choi JW, Park HJ. Antioxidative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isoflavones isolated from Pueraria thunbergiana flowers. Yakhak Hoeji 43: 736-742.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