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성분분석을 통해 품질이 확인된 PNO의 항비만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고 기능성소재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pinolenic acid, 및 palmitic acid가 분석되었으며 정량을 위한 표준물질인 undecanoic acid의 함량을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linoleic acid 43.4%, oleic acid 25.7%, pinolenic acid로 예측되는 11번 unknown peak 12.8%, palmitic acid 5.2% 및 다수의 미량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 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PNO보다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PNO를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에 대한 잠재적 기능 및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Oil Red O staining, $PPAR{\gamma}$aP2 mRNA 발현 확인 그리고 leptin의 분비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MDI solutio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mature adipocyte에서 지방적(lipid droplet)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N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PPAR{\gamma}$와 aP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두 유전자가 유의한 수준으로 MDI control 대비 감소하는 반면 SREBP-1c, $C/EBP{\alpha}$, glucokinas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및 perilipin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RT-PCR 결과는 PNO의 처리가 지방대사 및 축적을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조절 기전에 의해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확인한 PNO의 leptin 방출유도 실험을 통해 leptin이 PNO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출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ptin은 식욕억제 효과가 있는 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PNO가 기존에 알려진 cholecystokinin과 glucagon like peptide-1 (GLP-1)의 분비증가를 통해 식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leptin의 방출을 유도하여 추가적인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N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기능적으로 항비만 효능을 잠재적으로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및 소재의 개발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nut oil (PNO) is well known to impart beneficial effects in overweight individuals, but the mechanisms underlying PNO-mediated weight loss remain unclear. To investigate how PNO promotes weight loss, its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GC-M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에서는 성분분석을 통해 품질이 확인된 PNO의 항비만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고 기능성소재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pinolenic acid, 및 palmitic acid가 분석되었으며 정량을 위한 표준물질인 undecanoic acid의 함량을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linoleic acid 43.
  • 이에 본 연구는 PNO의 항비만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구성성분을 분석하고 지방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3T3-L1 세포를 이용하여 PNO의 섭취가 유도할 수 있는 비만억제의 유익한 기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확보된 기초자료들은 PNO의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의 생산 및 적용에 근거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잣나무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잣나무(Pinus koraiensis)는 홍송(紅松)이라고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의 해안지방에 분포한다(1). 높이 30 m, 지름 1m에 달하는 커다란 나무로 열매는 구과(毬果)로 긴 달걀 모양이며 종자는 삼각형이나 난형으로 다음해 10월에 익으며 길이 12-18 mm, 지름 10 mm로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한다(1,2).
잣의 형태적 특징은 어떠한가? 잣나무(Pinus koraiensis)는 홍송(紅松)이라고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의 해안지방에 분포한다(1). 높이 30 m, 지름 1m에 달하는 커다란 나무로 열매는 구과(毬果)로 긴 달걀 모양이며 종자는 삼각형이나 난형으로 다음해 10월에 익으며 길이 12-18 mm, 지름 10 mm로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한다(1,2). 잣의 일반성분을 보면 지방질 70%, 단백질 15%, 탄수화물 5%가 들어 있으며 자양강장 효과가 있다(2).
잣의 일반 성분은? 높이 30 m, 지름 1m에 달하는 커다란 나무로 열매는 구과(毬果)로 긴 달걀 모양이며 종자는 삼각형이나 난형으로 다음해 10월에 익으며 길이 12-18 mm, 지름 10 mm로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한다(1,2). 잣의 일반성분을 보면 지방질 70%, 단백질 15%, 탄수화물 5%가 들어 있으며 자양강장 효과가 있다(2). 잣의 지방유는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eicosenoic acid, pinolenic acid 등의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J, Im S, Choi SH, Lee JS, Roh MS, Lim YP. Construction of a full-length cDNA library from Pinus koraiensis and analysis of EST dataset. CNU J. Agr. Sci. 38: 11-16 (2011) 

  2. Yoon TH.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from seeds of Pinus koraiensis. J. Korean Soc. Food Nutr. 16: 93-97 (1987) 

  3. Park S, Lim Y, Shin S, Han SN. Impact of Korean pine nut oil on weight gain and immune response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Nutr. Res. Pract. 7: 352-358 (2013) 

  4. Sales-Campos H, Souza PR, Peghini BC, da Silva JS, Cardoso CR. An overview of the modulatory effects of oleic acid in health and disease. Mini Rev. Med. Chem. 13: 201-210 (2013) 

  5. Zhao G, Etherton TD, Martin KR, Vanden Heuvel JP, Gillies PJ, West SG, Kris-Etherton PM.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P-1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6: 909-917 (2005) 

  6. Lee JW, Lee KW, Lee SW, Kim IH, Rhee C. Selective increase in pinolenic acid (all-cis-5,9,12-18:3) in Korean pine nut oil by crystallization and its effect on LDL-receptor activity. Lipids 39: 383-387 (2004) 

  7. Chen SJ, Hsu CP, Li CW, Lu JH, Chuang LT. Pinolenic acid inhibits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 metastasis in vitro. Food Chem. 126: 1708-1715 (2011) 

  8. Hughes GM, Boyland EJ, Williams NJ, Mennen L, Scott C, Kirkham TC, Harrold JA, Keizer HG, Halford JC. The effect of Korean pine nut oil (PinnoThinTM) on food intake, feeding behaviour and appetite: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Lipids Health Dis. 7: 6 (2008) 

  9. Le NH, Shin S, Tu TH, Kim CS, Kang JH, Tsuyoshi G, Teruo K, Han SN, Yu R. Diet enriched with korean pine nut oil improves mitochondria oxidative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 and brown adipose tissue in diet-induced obesity. J. Agr. Food Chem. 60: 11935-11941 (2012) 

  10. Pasman WJ, Heimerikx J, Rubingh CM, van den Berg R, O'Shea M, Gambelli L, Hendriks HF, Einerhand AW, Scott C, Keizer HG, Mennen LI. The effect of Korean pine nut oil on in vitro CCK release, on appetite sensations and on gut hormones in post-menopausal overweight women. Lipids Health Dis. 7: 10 (2008) 

  11. Yu JH, Kim MS. Molecular mechanisms of appetite regulation. Diabetes Metab. J. 36: 391-398 (2012) 

  12. Fisher RM, Eriksson P, Hoffstedt J, Hotamisligil GS, Thrne A, Rydn M, Hamsten A, Arner P. Fatty acid binding protein expression in different adipose tissue depots from lean and obese individuals. Diabetologia. 44: 1268-1273 (2001) 

  13. Furuhashi M, Tuncman G, Grgn CZ, Makowski L, Atsumi G, Vaillancourt E, Kono K, Babaev VR, Fazio S, Linton MF, Sulsky R, Robl JA, Parker RA, Hotamisligil GS. Treatment of diabetes and atherosclerosis by inhibiting fatty-acid-binding protein aP2. Nature 447: 959-965 (2007) 

  14. Nugara RN, Inafuku M, Iwasaki H, Oku H. Partially purified Peucedanum japonicum Thunb extracts exert anti-obesity effects in vitro. Nutrition 30: 575-583 (2014) 

  15. Watkins BA, Shen CL, McMurtry JP, Xu H, Bain SD, Allen KG, Seifert MF. Dietary lipids modulate bone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sulin-like growth factor-I concentration and formation rate in chicks. J. Nutr. 127: 1084-1091 (1997)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1.jsp. Accessed April. 17, 2014. 

  17. Magun R, Gagnon A, Yaraghi Z, Sorisky A.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neuronal apoptosis inhibitory protei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Diabetes 47: 1948-1952 (1998) 

  18. Yeh WC, Bierer BE, McKnight SL. Rapamycin inhibits clonal expansion and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92: 11086-11090 (1995) 

  19. Kang ES, Ham SA, Hwang JS, Lee CK, Seo HG. Effects of Garcinia cambogia extract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lipotoxicity. Korean J. Food Sci. An. 33: 411-416 (2013) 

  20. Lee SM, Kang YH, Kim DJ, Kim KK, Lim JG, Kim TW, Choe M.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among water extracts and sugar immersion extracts of green pepper, purslane and shiitak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 101-108 (2014) 

  21. Baek J, Lee J, Kim K, Kim T, Kim D, Kim C, Tsutomu K, Ochir S, Lee K, Park CH, Lee YJ, Choe M. Inhibitory effects of Capsicum annuum L. water extracts on lipoprotein lipase activity in 3T3-L1 cells. Nutr. Res. Pract. 7: 96-102 (2013) 

  22. Feng Z, Hai-ning Y, Xiao-man C, Zun-chen W, Sheng-rong S, Das UN. Effect of yellow capsicum extract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Nutrition. 30: 319-325 (2014) 

  23. Acheampong A, Leveque N, Tchapla A, Heron S. Simple complementary liquid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approache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riacylglycerols in Pinus koraiensis seed oil. J. Chromatogr. A. 1218: 5087-5100 (2011) 

  24. Wolff RL, Bayard CC. Fatty acid composition of some pine seed oils. J. Am. Oil. Chem. Soc. 72: 1043-1046 (1995) 

  25. White UA, Stephens JM. Transcriptional factors that promote formation of white adipose tissue. Mol. Cell Endocrinol. 318: 10-14 (2010) 

  26. Ahmadian M, Suh JM, Hah N, Liddle C, Atkins AR, Downes M, Evans RM. PPAR $\gamma$ signaling and metabolism: the good, the bad and the future. Nat. Med. 19: 557-566 (2013) 

  27. Nakamura MT, Yudell BE, Loor JJ.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by long-chain fatty acids. Prog. Lipid Res. 53: 124-14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